종합(청년층 정치의식 1).jpg

호주 콘텐츠를 다루는 공영 라디오 'triple j'의 'What’s Up In Your World' 조사 결과 18~29세 젊은층은 정치인을 거의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의 도로를 건너는 사람들. 사진 : Flickr / David Rogers-Worrall

 

공영 라디오 ‘triple j’ 조사, ‘호주인 이익 위해 일한다’는 응답자, 2%에 불과

 

“그냥 창피하고 민망한 따름이다...”(just embarrassing).

비상업용 라디오 방송인 호주 공영 ‘triple j’가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호주 정치-정치인’ 관련 조사 결과를 두고 한 말이다.

지난 4월, 이 라디오 방송이 18세에서 29세 사이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What’s Up In Your World 조사 중 정치인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결과 이 연령층의 단 2%만이 ‘정치가들이 젊은 호주인들의 이익을 위해 일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이었다.

‘triple j’는 정부가 자금을 제공하는 공영 라디오 방송으로, ABC 방송(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의 한 부서이다.

이번 조사 대상자인 호주 전역 1,600명의 청년들은 ‘정치적으로는 더 적극적이지만 주요 정당의 지도력에는 크게 실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78%는 연방 정치에 대해 ‘극도로’ 또는 ‘약간의 관심’이 있다는 답변이었다. 이는 2년 전인 2020년 조사에서 나타난 68%에 비해 증가한 비율이다.

하지만 젊은이들이 호주 정치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은 거의 일치했다. ‘모든 젊은이들’이라 할 수 있는 98%가 ‘정치인은 호주라는 국가, 지구 환경, 청년들, 호주 원주민 또는 호주로 유입된 이민자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조사에서 두드러진 점은, 국가 이익을 위해 일해야 할 정치인에 대한 ‘신뢰 하락’이었다. 2020년 조사에서 이 부분(정치인은 국가 이익을 위해 일한다)에 동의하는 젊은이들은 거의 30%에 이르렀으나 올해 조사에서 ‘그렇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청년들은 고작 13%에 불과했다.

 

종합(청년층 정치의식 2).jpg

호주국립대학교 정치학부 인티파 초드허리(Intifar Chowdhury. 사진) 부강사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젊은 세대와 의회에서 이들을 대표하는 사람들 사이의 생각의 격차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 :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조사 결과 올해 연방 선거에서 젊은 유권자들이 꼽은 상위 5개 안건은 환경, 기후변화, 보건, 정신건강 그리고 주택문제였다. ‘triple j’는 또한 어느 정당 및 후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한 유권자와 아직 결정하지 못한 이들이 보는 핵심 안건의 우선순위가 다른지를 분석했지만 이 5개의 안건은 두 진영 모두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였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 중 3분의 1은 각 정당이 제각각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그렇다고 큰 차이는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호주 청년세대,

‘정치’에는 관심 많아

 

‘triple j’의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정치학부 인티파 초드허리(Intifar Chowdhury) 부강사는 “열정적이고 과소평가된 젊은 세대의 이야기를 말해주는 데 도움이 된다”고 진단했다.

그녀는 “조사 결과의 방향에 대해서는 놀랍지 않지만 그 규모는 그렇지 않다”면서 “이는 젊은 세대와 의회에서 이들을 대표하는 사람들 사이의 생각의 격차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초드허리 부강사는 “정치 체제의 좌절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며, 의회에서 청년 대표성이 결여된 것도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가 이런 추세를 꼽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대표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한 초드허리 부강사는 “청년 세대의 고민을 이해하려면 그들의 삶에 투자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면서 “이는 서술적이고 실질적인 대표성의 관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정당에 실망했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퍼스(Perth, Western Australia) 거주 샐리 앤더슨(Sally Anderson. 23)씨는 젊은이들을 위한 주요 정당의 정책에 실망했다고 털어놓았다.

“나는 정치인들이 청년세대와 지구 환경을 위해 행동하지 않는다고 본다. 지금 우리가 겪는 기후 위기는 현실이다. 이런 점이 당혹스럽다”라고 말한 그녀는 “엄밀히 말해 우리(호주)의 정치인들은 지구 환경을 위해, 기후변화를 위해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며, 또한 젊은 세대도 그들의 관심에서 소외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종합(청년층 정치의식 3).jpg

퍼스(Perth)에 거주하는 샐리 앤더슨(Sally Anderson. 23, 사진)씨. 그녀는 젊은층이 원하는 바를 외면하는 거대 정당에 실망했다고 말했다. 사진 : Sally Anderson

   

올해 연방 선거의 주요 안건으로 앤더슨씨는 ‘여성 안전과 처우’를 꼽았다. 하지만 이 문제를 다룬 주요 정당은 없다. “특히 캔버라 의회에서 일하는 여성에 대한 대우, 그들이 경험한 일(성 추행 등)은 개탄스러울 뿐”이라는 그녀는 “자유당은 물론 야당(노동당)에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triple j’의 ‘What's Up In Your World’ 조사는 지난 4월 6일에서 26일 사이에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triple j’가 제시한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했으며, 조사 대상은 일반 인구를 반영하기 위한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았지만 나이, 성별 및 거주 지역은 감안했다. 이 조사는 전 계층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했지만 이 기사에 언급된 결과는 18~29세 사이 청년들 1,659명의 응답 내용을 집계한 것이다.

 

▲ 호주 정치인들은 국가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동의 안 함 : 73%

-동의 : 13%

-중립 : 13%

-모르겠다 : 1%

 

▲ 호주 정치인들은 청년층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동의 안 함 : 94%

-동의 : 2%

-중립 : 4%

 

▲ 호주 정치인들은 지구 환경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동의 안 함 : 96%

-동의 : 1%

-중립 : 3%

 

▲ 호주 정치인들은 호주 원주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동의 안 함 : 89%

-동의 : 4%

-중립 : 7%

 

■ 청년층의 정치인/정책에 대한 생각

(2020년 조사-동의 및 강하게 동의 / 2022년 조사-동의 및 강하게 동의)

▲ 주요 정당간 차이가 없다

30% / 34%

 

▲ 과학, 기술 발전을 지원하는 호주의 정책을 신뢰한다

30% / 18%

 

▲ 우리(호주) 정치인들이 국가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일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29% / 13%

 

▲ 호주 정치인들은 청년층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9% / 2%

 

▲ 호주 정치인들은 호주 원주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8% / 4%

 

▲ 호주 정치인들은 이민자들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7% / 3%

 

▲ 호주 정치인들은 지구 환경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4% / 1%

-2020년 조사 응답자는 2,895명이었으며 2022년 조사 응답자는 1,659명이었음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청년층 정치의식 1).jpg (File Size:98.1KB/Download:4)
  2. 종합(청년층 정치의식 2).jpg (File Size:48.2KB/Download:5)
  3. 종합(청년층 정치의식 3).jpg (File Size:77.2KB/Download: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54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3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2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1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0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9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8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7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6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5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4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3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2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1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0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9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8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0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20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7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6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5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4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5913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2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1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10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9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8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7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6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5905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