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센서스 데이터 1).jpg

지난해 8월 실시된 2021 인구조사에 대한 첫 번째 개괄적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르면 호주 인구는 2,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무종교인이 증가하는 가운데 다문화 비율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사진은 한 교회 예배당. 2021년 센서스 결과, 기독교 지배력은 더욱 약화됐지만 아직도 호주에서 가장 일반적인 종교(43.9%)임을 보여주었다. 사진 : Flickr / Greg Westfall

 

통계청의 지난해 인구조사 첫 분석자료, 향후 생활 관련 항목별 내용 소개 예정

 

호주인들이 점차 종교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이민자 가정이 늘어나는 등 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8월 실시한 2021 인구조사 결과 호주 인구는 2,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그 어느 때보다 다문화 이민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지난 6월 28일(화) 첫 번째로 내놓은 2021 센서스 분석에 따르면 처음으로 호주 전체 인구의 절반 미만이 기독교 신앙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기독교는 여전히 호주의 가장 일반적인 종교(전체 인구의 43.9%)였다.

이런 가운데 종교를 갖고 있지 않다는 인구는 2016년 조사 당시 30.1%에서 지난해 센서스에서는 38.9%로 증가했다. 다문화 비율도 크게 늘어나 거의 절반에 이르는 호주인의 부모는 해외에서 출생했으며, 전체적으로 4분의 1 이상이 해외 출생자였다.

매 5년마다 실시되는 호주 전국 가구 설문조사인 2021 센서스는 COVID-19 상황이 악화되던 지난해 8월 진행됐다.

당시 호주에서 가장 큰 두 대도시(시드니와 멜번)는 봉쇄조치가 취해진 상태였으며 NSW, 빅토리아(Victoria), ACT 일부 지역 또한 록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ABS의 선임 인구통계학자인 데이빗 그루언(David Gruen) 박사는 “이 같은 상황에서도 가구 응답률은 5년 전 95.1%에서 96.1%로 1%포인트 높아져 성공적으로 실시됐다”고 말했다.

지난 해 8월 조사에서 온라인을 통해 설문에 응답한 가구는 5가구 중 4가구에 달했다. ABS는 이날(6월 28일), 개괄적인 센서스 분석 자료를 내놓은 데 이어 향후 몇 달에 걸쳐 각 부문별 조사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다.

ABS의 센서스 조사는 단순히 호주 인구만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호주인의 생활 전반에 대한 확인을 통해 정부 정책 및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기본 정보로 활용하며, 연구기관이나 기업들이 각 지역사회 상황을 파악하는 데이터로 제공된다.

 

기독교 지배력,

1966년 이후 ‘약화’

 

호주인의 종교 부문에서 기독교의 지배력이 약화를 보인 것은 1966년 조사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호주인의 약 90%는 기독교 신앙을 갖고 있던 상황이었다.

 

■ 호주 국민들의 신앙

 

종합(센서스 데이터 2).jpg

1970년대부터 기독교 인구는 계속 감소했으며, 반면 무종교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21년 1월 현재, 호주의 기독교 인구 비율은 43.9%, 무종교는 38.9%이다. Source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이에 대해 ABS는 무신론과 세속적 믿음이 강해진 때문으로 분석하면서, 또한 1960년대 이후 늘어난 이민자 유입이 호주인의 신앙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2021년 센서스를 통해 나타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종교는 힌두교(인구의 2.7%)와 이슬람교(인구의 3.2%)였다. 다만 이 종교를 갖고 있는 인구는 여전히 작은 비율이다.

지난해 센서스는 호주에서 동성결혼이 합법화된 후 첫 조사로, 이에 대한 조사도 병행됐으며, 이로써 정식 신고된 동성결혼은 거의 2만4,000건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호주인들에게 ‘결혼’이라는 제도 자체가 점차 덜 보편화되고 있음도 엿볼 수 있다. 한 세대 전(1991년)까지만 해도 15세 이상 호주인의 56.1%는 정부 당국에 정식 혼인신고를 하고 가정을 꾸린 상태였다. 하지만 지금, 이 비율은 46.5%로 하락했다.

 

인도 출신 이민자

크게 늘어나

 

호주는 오랜 기간, 전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이민국가 중 하나로 꼽혀 왔다. 그리고 대부분의 다른 이민국가에 비해 더 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였다.

지난해 센서스 결과를 보면 호주 인구의 거의 절반(48.2%)이 1세대 또는 2세대 이민자였으며 부모 중 한쪽은 해외에서 출생한 사람이었다. 이는 30년 전의 41.1%와 크게 비교되는 수치이다. 해외에서 태어난 호주인은 전체 인구 중 27.6%였으며, 이들 가운데 가장 많은 수가 영국 태생이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수년 사이 인도에서의 유입이 크게 증가해 지난해 조사 결과를 보면 인도는 중국, 뉴질랜드 태생을 제치고 두 번째로 많은 호주 유입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

 

종합(센서스 데이터 3).jpg

호주에서 동성결혼이 허용된 이후 첫 인구조사였던 2021 센서스에는 이 부문에 대한 항목이 포함됐다. 조사 결과 동성결혼 보고는 거의 24,000건에 달했다. 사진 : Pixabay / briannad26

   

지난해 조사에서는 또한 각 개개인에게 출생 국가가 아닌, 조상의 국가가 어디인지를 답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 결과 영국(33%)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호주(29.9%), 아일랜드(9.5%), 스코틀랜드(8.6%), 중국(5.5%)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군 복무 여부,

설문 항목에 추가돼

 

2021년 센서스에서는 또한 국민들의 장기 질병 및 군 복무 관련 정보를 처음으로 수집했다. 그 결과 가장 많이 보고된 질병은 정신질환, 관절염 및 천식이었다. 이 같은 장기 질병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여성에게서 높았다.

15세 미만 어린이 가운데는 천식이 가장 흔한 질병으로 조사돼 남자 아이의 7.4%, 여자아이는 5.3%가 이 질병의 영향 하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런 한편 50만 명 이상의 호주인(581,139명)이 센서스의 관련 항목에서 호주방위군(Australian Defence Forces. ADF)에 복무했거나 현재 복무 중이라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대다수는 남성(86.6%)이었으며, 현역이 아닌 전직(85.4%)이 대부분이었다.

ABS가 지난해 센서스에서 이 부문 항목을 추가한 것은 지역사회의 재향군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취지였다.

그루언 박사는 “ADF 복무 여부 관련 정보는 다른 정부 기록과 함께 재향군인 대상의 서비스를 계획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센서스 데이터 1).jpg (File Size:130.0KB/Download:4)
  2. 종합(센서스 데이터 2).jpg (File Size:33.4KB/Download:4)
  3. 종합(센서스 데이터 3).jpg (File Size:76.2KB/Download: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7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9월 22일, 여왕 서거 추모하는 일회성 공휴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6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왕위 승계 1순위 찰스, 영국 국왕으로 공식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5 호주 연방정부 이민 시스템 변경... 논란 많았던 ‘투자자 비자’ 취소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4 호주 ‘pandemic migration’... “지방 지역에 문화충돌-계급격차 발생시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3 호주 ‘악수와 포옹’, 다시 일상적 행동이 되고 있지만... 준비는 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2 호주 시드니 중간 가격 이하인 100만 달러로 어떤 유형의 주택 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1 호주 노동당 정부의 기후 관련 정책... ‘탄소배출 43%’ 목표, ‘법’으로 명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0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1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8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7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6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5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3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2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1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0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8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600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