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준금리).jpg

호주 중앙은행(RBA)이 3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인플레이션 상승을 늦추고자 한 결정이지만 경기침체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다. 사진은 울워스 슈퍼마켓의 한 쇼핑 고객. 사진 : Woolworths Group

 

현재 1.35%로 3개월 사이 세 차례 올라, 연말까지 물가상승 7% 이를 듯

 

호주 중앙은행(Reserve Bank of Australia. RBA)이 이달 또 기준금리를 올리기로 하고, 50베이시스포인트 높아진 1.35%로 결정했다. 이는 3개월 사이 세 차례에 걸쳐 1.25%포인트가 높아진 것이다.

 

▲ 금리 인상 배경은= RBA는 인플레이션 상승 속도를 늦추고 가계 지출을 억제하고자(현재는 의도대로 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다. 더 많은 지출을 자제한다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줄어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판단에서이다. 아울러 COVID-19 전염병의 영향으로 위축될 수 있는 경제를 보호하고자 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유지했음을 감안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준금리가 낮은 수준을 이어갈 당시, 상승될 시기를 보고 있던 셈이다. RBA 필립 로우(Philip Lowe) 총재는 “호주 경제 회복력과 높은 인플레이션은 이러한 특별 지원(낮은 기준금리)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 RBA의 기준금리 결정일은= RBA는 매월 첫주 화요일, 현금 이자율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통화정책 회의를 갖는다.

 

▲ 기준금리 인상은 예견된 것인가=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지난 달(6월)과 같은 비율(0.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었다. 금리는 지난 5월 0.25%포인트에 이어 지난 달(6월) 0.5%포인트, 그리고 이달 첫주 화요일에 다시 0.5%포인트 인상이 결정됐다.

 

▲ 얼마나 더 상승될까= 지난 달(6월) 로우 총재는 호주 기준금리가 2.5%까지 오를 수 있음을 언급했다. 다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음을 덧붙였다.

이달, 세 번째 연속 인상을 결정하면서 로우 총재는 “RBA 이사회는 앞으로 몇 달 동안 호주의 통화 상황을 정상화 하는 과정에서 추가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향후 금리인상 시기와 상승폭은 경제 데이터와 인플레이션, 노동시장 전망에 대한 이사회의 평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인상과 관련해 ABC 방송 재무 전문기자인 앨리샤 배리(Alicia Barry)씨는 “RBA가 ‘선행적으로’ 0.5%포인트 인상을 연이어 결정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추후 인상폭은 0.25%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호주의 경기침체 가능성은= ABC 방송 ‘Business’ 프로그램 담당기자인 이안 버렌더(Ian Verrender)씨는 경기침체 위험을 언급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에 제동을 걸고자 할 때마다 대부분 경제가 침체되었음을 감안할 때 호주에서도 이런 상황이 실제로 일어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주택담보대출이 없는 경우에도 영향이 미칠까?= ABC 방송 ‘Business’ 프로그램의 또 다른 기자인 가레스 허친스(Gareth Hutchens)씨는 “기준금리 인상은 모기지(mortgage)가 없는 이들에게도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개인대출이나 변동 이자율의 자동차 대출(car loan)에 대해 금융기관은 이자율을 올릴 수 있다. 반대로 저축계좌가 있는 이들은 저축에 대한 이자를 더 얻게 된다.

허친스 기자는 “신용카드 이자율은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변화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며 “기준금리와 관계없이 신용카드 이자율은 크게 높다”고 덧붙였다.

 

▲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은= 지난 달 RBA의 로우 총재는 올해 4분기, 인플레이션이 약 7%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7월 RBA 통화정책 회의가 있던 날(7월 5일) 그는 “인플레이션이 내년 목표 범위인 2~3%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호주의 인플레이션은 5.1%에 머물고 있다. 이는 올해 3월 분기까지 12개월 동안의 수치이다. 6월 분기 수치는 이달 27일에야 확인될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호주 통계청(ABS)에서 계산하며, 식품 및 무알코올 음료, 주택, 교통비 등 11개 범주의 표준 품목 가격을 기반으로 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준금리).jpg (File Size:84.2KB/Download: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7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9월 22일, 여왕 서거 추모하는 일회성 공휴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6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왕위 승계 1순위 찰스, 영국 국왕으로 공식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5 호주 연방정부 이민 시스템 변경... 논란 많았던 ‘투자자 비자’ 취소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4 호주 ‘pandemic migration’... “지방 지역에 문화충돌-계급격차 발생시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3 호주 ‘악수와 포옹’, 다시 일상적 행동이 되고 있지만... 준비는 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2 호주 시드니 중간 가격 이하인 100만 달러로 어떤 유형의 주택 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1 호주 노동당 정부의 기후 관련 정책... ‘탄소배출 43%’ 목표, ‘법’으로 명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0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1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8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7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6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5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3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2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1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0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8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600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