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임대료 1).jpeg

최근 수년 간 실질임금 정체 속에서 생활비 부담이 가증되는 가운데 올해 들어 가파른 임대료 상승으로 시드니 지역 세입자들이 더욱 큰 가계재정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임대주택 인스펙션 현장. 사진 : Real Estate 뉴스 동영상 캡쳐

 

‘도메인’의 6월 분기 임대 보고서... 세입자들, 기록상 가장 높은 임대료 직면

 

광역시드니의 세입자들이 기록상 가장 높은 주택 임대료에 직면한 가운데 전문가들이 심각한 주거 스트레스를 경고하고 있다. 게다가 올해 봄 시즌에는 유닛 임대료 또한 최고치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6월 분기 임대보고서(Domain Rent Report)에 따르면 6월 분기에만 시드니 단독주택(house) 임대료는 주(per week) 20달러, 3.3%가 높아져 중간 임대료는 주 620달러가 됐다. 또 유닛 임대료는 같은 기간 주 25달러, 5%가 올라 중간 임대료는 525달러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시드니 지역 단독주택 및 유닛 임대료는 6월까지 연간 11%가 높아져 같은 기간의 임금상승률을 거의 5배가량 앞질렀다. 이로써 임대료는 고유가와 기타 높은 생필품 가격에 직면한 임대 가정의 가장 큰 생활비 부담 요인 중 하나가 됐다.

이 같은 임대료 상승은 시드니 임대주택 공실률이 사상 최저 수준인 1%대를 유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다 일부 투자자들이 임대용으로 구입했던 주택을 매각하고 있으며 유학생 및 해외 근로자들의 시드니 복귀, 팬데믹 사태를 겪으면서 공동 주택에 비해 독립생활을 선호하는 새로운 가정이 형성되고 있는 점도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도메인’ 사의 통계분석 책임 연구원인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현재 상황은 전염병 대유행 시작 당시와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고 말했다. “2020년 3월과 2022년 6월의 시드니 지역 임대료를 비교하면 19.2%가 높아진 수치”라는 게 파월 박사의 말이다.

반면 같은 기간, 유닛 임대료 상승은 1% 수준에 머물렀다. 파월 박사는 “이처럼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를 보이고 또 점차 작은 규모의 주택을 임대하려는 이들이 늘어남에 따라 올해 초부터는 유닛 임대료 상승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주택 임대료는 지난 1년 반 기간 사이, 분기별 집계에서 최고치를 기록했다”면서 “특히 2022년 들어 임대 경제성 제약으로 인해 임차인들의 수요가 단독주택에서 유닛으로 바뀌는 것을 확실하게 목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월 박사에 따르면 유닛 임대료가 현재와 같은 속도로 오르는 것은 지난 14년 만에 처음이다. “현재의 상승률이 계속될 경우 9월 분기 유닛 임대료는 최고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게 그녀의 예측이다.

 

부동산(임대료 2).jpg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6월 분기 임대보고서(Domain Rent Report)에 따르면 6월까지 3개월 사이 시드니 단독주택(house) 임대료는 주(per week) 20달러, 3.3%가 높아져 중간 임대료는 620달러가 됐다. 이는 전체 임대주택 중 주 620달러 이상을 지불해야 하는 주택이 더 많다는 의미이다. 사진 : Real Estate 뉴스 동영상 캡쳐

   

파월 박사는 이어 “여러 필수 소비재 및 서비스 비용 상승으로 인해 세입자 가계는 더욱 극심한 임대료 부담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리는 더 많은 가구가 임대 스트레스에 처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는 그녀는 “이는 시드니에서 볼 수 있는 광범위한 비용 상승”이라며 “현재 임대료가 최고치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 있지만 생활필수품 가격 인상은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웨스트팩(Westpac) 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매튜 하산(Matthew Hassan) 연구원은 “(시드니 지역 임대료 상승에) 유학생 및 기타 이민자의 시드니 복귀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으며, 현재 그 비율은 COVID-19 이전 수준의 30~40%에 이른다”고 보았다.

이너웨스트(inner west) 지역에 거주하는 세입자 제스 브루커(Jess Brooker)씨와 그의 파트너는 함께 거주하기 적합한 임대주택을 구하는 데 2개월이 걸렸다. 또한 애초 예상했던 주(per week) 600달러를 700달러로 올린 후에야 임대가 가능했다. 이는 수입의 30~40%를 지출하는 꼴이다.

브루커씨는 “초기 예상했던 가격대에서는 거주할 만한 주택을 구할 수 없었다”면서 “(본인은) 재택근무를 하고 여자 친구는 사무실에서 풀타임으로 일하기 때문에 침실 2개가 있는 주택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임대주택을 조사하면서 스크린 도어 상태, 실내의 곰팡이 발생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었지만 부동산 에이전트는 “현 상태로 임대하는 것이 좋다”고 반 강제로 말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임대를 원하는 다른 이에게 돌아갈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현재 시드니 지역의 임대 시장은 수요가 너무 많아져 브루커씨 커플은 인스펙션을 하기도 전에 보증금을 예치할 수밖에 없었다.

시드니 이너웨스트는 6월 분기 임대료 상승률이 가장 높아 중간 임대료는 6월까지 3개월 동안 6.7%가 오른 주(per week) 800달러에 달했다.

NSW 주 세입자연합(Tenants’ Union of NSW)의 레오 패터슨 로스(Leo Patterson Ross)씨는 “시드니는 근본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임대시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팬데믹 기간 동안의 임대료 하락은 사람들이 경제 위기에 빠졌기 때문”이라며 “온라인에 업로드 되는 저렴한 임대료의 주택이 풍부해서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시드니가 4차 COVID 감염 파동에 직면했을 때 공식적으로 임대 구제조치가 없었고, 향후 몇 개월 동안에도 임금침체 및 경제 불확실성으로 임차인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을 우려했다.

전국 체인 부동산 중개회사인 ‘LJ Hooker Group’의 임대부동산 관리 책임자 닉 조지스(Nick Georges)씨는 “임대료가 오르는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가장 큰 부분은 잠재적 구매자를 차단한 이 도시의 전례 없는 주택시장 붐”이라고 진단했다.

 

부동산(임대료 3).jpg

임대료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임대주택 부족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수요가 많은 지역에서는 주택을 얻기 위해 6개월가량의 임대료를 사전 지불하는 경우도 거의 일반화되고 있다. 사진 : Real Estate 뉴스 동영상 캡쳐

 

그는 “젊은 가족들은 ‘주택 구입을 결정하기 전에 임대주택에 거주하면서 그 동안 기준금리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살펴보겠다’는 말을 한다”면서 “현 주택시장은 주택들이 구입하려는 이들로 채워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유학생이나 기타 이민자들이 호주로 복귀하고 있지만 이들로 인해 임대료가 빠르게 상승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조지스씨는 이어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이후 투자자들이 재투자를 위해 소유하고 있는 주택을 판매함으로써 임대 공급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특히 임대 수요가 높은 노스쇼어(north shore)와 같은 지역(region)의 경우에는 예비 임차인이 임대주택을 확보하고자 6개월에서 12개월의 임대료를 미리 지불하는 것이 거의 일반화됐다”고 말했다.

 

■ 각 도시 중간 임대료- House

(도시 : 22년 6월 / 22년 3월 / 21년 6월 / 분기별 상승률 / 연간 상승률)

Sydney : $620 / $600 / $550 / 3.3% / 12.7%

Melbourne : $460 / $450 / $430 / 2.2% / 7.0%

Brisbane : $520 / $500 / $445 / 4.0% / 16.9%

Adelaide : $480 / $460 / $430 / 4.4% / 11.6%

Perth : $495 / $480 / $450 / 3.1% / 10.0%

Canberra : $690 / $680 / $620 / 1.5% / 11.3%

Darwin : $600 / $600 / $580 / 0.0% / 3.5%

Hobart : $540 / $525 / $500 / 2.9% / 8.0%

Combined Capitals : $515 / $500 / $460 / 3.0% / 12.0%

Source: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2

 

■ 각 도시 중간 임대료- Unit

(도시 : 22년 6월 / 22년 3월 / 21년 6월 / 분기별 상승률 / 연간 상승률)

Sydney : $525 / $500 / $470 / 5.0% / 11.7%

Melbourne : $410 / $390 / $370 / 5.1% / 10.8%

Brisbane : $450 / $430 / $400 / 4.7% / 12.5%

Adelaide : $380 / $370 / $350 / 2.7% / 8.6%

Perth : $400 / $400 / $380 / 0.0% / 5.3%

Canberra : $550 / $540 / $500 / 1.9% / 10.0%

Darwin : $480 / $490 / $443 / −2.0% / 8.5%

Hobart : $450 / $450 / $405 / 0.0% / 11.1%

Combined Capitals : $460 / $445 / $410 / 3.4% / 12.2%

Source: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2

 

■ 시드니 지역별 임대료- House

(SA4 통계구역 : 22년 6월 / 분기 상승률 / 연간 상승률)

Central Coast : $560 / 0.0% / 12.0%

Sydney-Baulkham Hills and Hawkesbury : $720 / 2.9% / 10.8%

Sydney-Blacktown : $510 / 6.3% / 13.3%

Sydney-City and Inner South : $850 / 3.7% / 11.8%

Sydney-Eastern Suburbs : $1,200 / 0.0% / 9.1%

Sydney-Inner South West : $620 / 6.0% / 12.7%

Sydney-Inner West : $800 / 6.7% / 14.3%

Sydney-North Sydney and Hornsby : $1,050 / 5.0% / 16.7%

Sydney-Northern Beaches : $1,195 / 3.9% / 13.8%

Sydney-Outer South West : $500 / 4.2% / 11.1%

Sydney-Outer West and Blue Mountains : $500 / 4.2% / 11.1%

Sydney-Parramatta : $530 / 6.0% / 10.4%

Sydney-Ryde : $700 / 4.1% / 11.1%

Sydney-South West : $550 / 5.8% / 14.6%

Sydney-Sutherland : $825 / 5.8% / 10.0%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2

 

■ 시드니 지역별 임대료- Unit

(SA4 통계구역 : 22년 6월 / 분기 상승률 / 연간 상승률)

Central Coast : $450 / 0.0% / 7.1%

Sydney-Baulkham Hills and Hawkesbury : $540 / 4.9% / 8.0%

Sydney-Blacktown : $420 / 5.0% / 10.5%

Sydney-City and Inner South : $600 / 3.4% / 9.1%

Sydney-Eastern Suburbs : $650 / 3.2% / 11.1%

Sydney-Inner South West : $440 / 4.8% / 10.0%

Sydney-Inner West : $520 / 6.1% / 11.8%

Sydney-North Sydney and Hornsby : $570 / 3.6% / 11.8%

Sydney-Northern Beaches : $640 / 2.4% / 1.6%

Sydney-Outer South West : $400 / 1.3% / 5.3%

Sydney-Outer West and Blue Mountains : $370 / -2.6% / 0.0%

Sydney-Parramatta : $450 / 4.7% / 12.5%

Sydney-Ryde : $500 / 5.3% / 11.1%

Sydney-South West : $350 / 2.9% / 6.1%

Sydney-Sutherland : $500 / 0.0% / 3.1%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2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임대료 1).jpeg (File Size:164.8KB/Download:2)
  2. 부동산(임대료 2).jpg (File Size:50.7KB/Download:1)
  3. 부동산(임대료 3).jpg (File Size:114.6KB/Download: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7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9월 22일, 여왕 서거 추모하는 일회성 공휴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6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왕위 승계 1순위 찰스, 영국 국왕으로 공식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5 호주 연방정부 이민 시스템 변경... 논란 많았던 ‘투자자 비자’ 취소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4 호주 ‘pandemic migration’... “지방 지역에 문화충돌-계급격차 발생시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3 호주 ‘악수와 포옹’, 다시 일상적 행동이 되고 있지만... 준비는 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2 호주 시드니 중간 가격 이하인 100만 달러로 어떤 유형의 주택 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1 호주 노동당 정부의 기후 관련 정책... ‘탄소배출 43%’ 목표, ‘법’으로 명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0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1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8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7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6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5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3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2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1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0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8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600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