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채소 섭취 1).jpg

호주 보건복지연구원(AIHW)이 매 2년마다 내놓는 국가 건강 관련 최근 보고서(National Health Report)에 따르면, 하루 권장되는 양의 야채를 섭취하는 성인은 10명 중 1명 미만이다. 전문가들은 채소가 결코 간단한 먹거리는 아니지만 매일의 식단에서 빠뜨리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진 : Pixabay / JillWellington

 

AIHW 보고서, 남성 96%-여성 87%... 전문가들, “통조림-냉동야채라도...” 권장

 

우리가 섭취하는 갖가지 야채는 인체에 좋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훌륭한 식재료이다. 하지만 최근 호주 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 호주 성인은 하루 권장되는 양의 채소를 섭취하지 않는다.

AIHW는 매 2년마다 국가 보건 관련 보고서(National Health Report)를 통해 호주인의 건강 상태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올해 이 보고서의 전반적인 내용은 <한국신문> 7월 15일 자 참조). AIHW의 올해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성인들 중에서 매일 충분한 양의 채소를 섭취하는 이들은 10명 중 1명이 채 안 된다. 남성의 96%, 여성의 87%가 권장되는 양의 채소를 먹지 않거나 미처 섭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야채 섭취 부족 이유는

 

성인들이 식단에 야채를 충분히 포함시키지 않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들의 바쁜 일상이 한 요인이라고 진단한다.

공인 스포츠 영양사인 가예 루더포드(Gaye Rutherford)씨는 “야채는 간단한 음식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동 중이거나 휴대가 간편한 음식을 원하는 이들이 찾는 먹거리 리스트 상단에 있는 음식이 아니다”는 그는 “(식사를 할 수 있는) 시간 제약이 종종 야채를 곁들여 식단을 차리거나 곁들임 요리(side dish)로 먹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에다 신선한 농산물의 저렴하지 않은 가격 또한 일부 사람들로 하여금 건강한 식습관을 갖지 못하게 하는 또 다른 이유이며, 과일이나 야채를 손쉽게 구할 수 없는 환경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지난해부터 이어진 호주 동부 전역의 홍수와 장기간의 습한 날씨는 아이스버그 상추(iceberg lettuce. 잎이 공처럼 단단히 말려 있는 상추)와 같은 일부 채소의 가격을 크게 올려놓았으며, 전반적으로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는 각 가정에 또 하나의 재정 압박 요소가 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야채 섭취를 미루어서는 안 된다며 특히 제철 채소를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한다.

 

종합(채소 섭취 2).jpg

채소를 즐기는 식습관은 어린 나이 때부터 키워주는 것이 좋다. 야채와의 친근성은 성인이 되어서도 이어지기 때문이다. 사진 : Pixabay / martinvorel_com

   

과일 및 야채 도매업체 매니저인 벤 존슨(Ben Johnson)씨는 “한때 기후 여건으로 인해 일부 제철 채소를 볼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면서 “호주 동부 기후 상황으로 소비자나 접객 서비스 업체들은 ‘늘 신선하고 저렴한’ 계절성 채소를 재평가하게 됐다”고 말했다.

 

권장 야채 섭취 방법은

 

신선 채소를 준비할 수 없을 경우, 통조림이나 냉동야채를 선택하는 것은 예산을 크게 낭비하지 않고 5인분 정도의 야채를 식단에 포함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다. 약 2달러에 구매할 수 있는 통조림 토마토나 병아리콩(chickpea)을 이용하면 많은 양의 토마토 또는 병아리콩 수프를 만들 수 있다.

영양사들은 이처럼 야채를 챙기는 식습관을 성인이 되어서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린 나이부터 건강식과 강한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루더포드씨는 본인의 이야기를 전제로 “어린 시절, 채소를 직접 기르며 자랐고 그때부터 야채는 소중한 식재료가 되어 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모든 어린이들에게 루더포드씨와 같은 여건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타스마니아(Tasmania)의 한 비영리 단체는 15개 학교에 점심 도시락을 제공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School Food Matters’라는 이름의 이 단체에서 봉사하는 커스티 그리어슨(Kirsty Grierson)씨는 “(채소 위주의)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는 학생들의 자신감을 키우고 또 본인들 스스로 무엇을 먹고 있는가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녀의 음식 접시에 더 많은 야채를 담으려는 부모에게는 요리 방법이 큰 차이를 만들 수도 있다. 이 단체의 줄리 던바빈(Julie Dunbabin)씨는 “(요리 방법에 따라) 음식 접시에 담기는 야채의 모습이, 먹기도 전에 포크를 내려놓게 만들기도 한다”며 “배추는 실제로 아주 밝은 녹색 채소이며 콜리플라워는 제대로 요리할 경우 아름다운 모습의 야채라는 것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것은 (어린이들의 채소 식습관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채소 섭취 1).jpg (File Size:151.4KB/Download:1)
  2. 종합(채소 섭취 2).jpg (File Size:66.3KB/Download: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7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9월 22일, 여왕 서거 추모하는 일회성 공휴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6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왕위 승계 1순위 찰스, 영국 국왕으로 공식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5 호주 연방정부 이민 시스템 변경... 논란 많았던 ‘투자자 비자’ 취소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4 호주 ‘pandemic migration’... “지방 지역에 문화충돌-계급격차 발생시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3 호주 ‘악수와 포옹’, 다시 일상적 행동이 되고 있지만... 준비는 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2 호주 시드니 중간 가격 이하인 100만 달러로 어떤 유형의 주택 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1 호주 노동당 정부의 기후 관련 정책... ‘탄소배출 43%’ 목표, ‘법’으로 명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0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1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8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7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6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5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3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2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1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0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8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600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