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Fremantle 1).jpg

서부호주 퍼스(Perth, Western Australia) 도심에서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는 프리맨틀(Fremantle)은 식민지 시절, 서부호주에서 가장 먼저 백인이 정착한 역사 도시이며 오늘날에는 이 유산을 기반으로 한 여행지로 명성을 얻고 있다.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Time Magazine’은 호주의 유명 산호초 지대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와 함께 프리맨틀을 ‘전 세계 50대 최고 여행지’ 목록에 올렸다. 사진은 주말(금-토요일)에 열리는 프리맨틀 마켓(Fremantle Markets). 사진 : City of Fremantle

 

미국 ‘Time Magazine’, “먹고 마시고, 호주인이 되어볼 수 있는 곳”으로 묘사

현지인들, “과소평가된 도시”... 동부 ‘Great Barrier Reef’도 이 목록에 올라

 

서부호주 퍼스(Perth, Western Australia)에서 약 20킬로미터 거리에 있는 항구도시 프리맨틀(Fremantle)은 WA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다. 1829년, 지금의 서부호주에 정착한 백인들이 처음 거주한 곳으로, 그 오랜 시간을 보여주는 풍성한 역사-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부호주 최초의 교도소이자 죄수들을 동원해 건설한 프리맨틀 감옥, 17세기 네덜란드 선박 바타비아(Batavia) 난파선, 당시 세워진 건축물 등 과거의 유산들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사우스 테라스(South Terrace, Fremantle) 거리는 여행자들에 힘입어 카페와 레스토랑, 와인 바 등이 이어진 ‘Cappuccino Strip’으로 변모, 또 하나의 관광 명소가 됐다.

 

종합(Fremantle 2).jpg

‘타임’ 지는 프리맨틀을 최고 여행자 중 하나로 선정하면서 “먹고 마시고, 호주인이 되어볼 수 있는 곳”으로 묘사했다. 사진은 하늘에서 본 프리맨틀 시 풍경. 사진 : City of Fremantle

   

지금도 퍼스의 해안 관문 역할을 하는 프리맨틀이 동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와 함께 미국의 세계적 시사 주간지 ‘타임’(Time Magazine)이 꼽은 ‘전 세계 50대 최고 여행지’(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타임’ 지는 이 도시에 대해 “먹고 마시고, 호주인이 되어볼 수 있는 곳”으로 묘사했다. 이어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거의 700일에 걸쳐 록다운이 됐던 항구도시 프리맨틀은 현재 갖가지 먹거리를 즐기려는 이들로 분주하다”고 전했다. 전염병 사태 이후 WA 주는 호주 전역에서 가장 긴 시간 동안 주 경계(State Border)를 봉쇄한 바 있다.

 

종합(Fremantle 3).jpg

프리맨틀, 사우스 테라스(South Terrace, Fremantle) 거리. 카페와 레스토랑, 와인 바 등이 이어진 ‘Cappuccino Strip’으로, 저녁이면 퍼스 지역민은 물론 여행자의 발길이 몰리는 곳이다. 사진 : Western Australia 관광청

   

이번 타임 지의 선정에 대해 프리맨틀 상공회의소(Fremantle Chamber of Commerce)의 대니샤 퀸란(Danicia Quinlan) 회장은 “매우 흥미로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항구도시로서 프리맨틀이 갖고 있는 참모습을 사랑한다”며 “집 앞으로 놀랍도록 아름다운 바다가 펼쳐져 있는, ‘웨스트 엔드’(West End. WA의 퍼스를 의미)의 유산이 있는 프리맨틀이야 말로 (여행자들이) 방랑을 즐기고 탐험하기에도 좋은 곳”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퀸란 회장은 “Freo(프리맨틀을 일컫는 서부호주 지역민들의 토속어)는 모든 이들을 위한 무언가를 갖고 있다”면서 “이곳에 자리한 노틀담대학교(University of Notre Dame)가 이 도시를 보다 활기 있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프리맨틀은 우리에게 너무 과소평가된 자산”이라고 평가한 그녀는 “노틀담대학교는 이곳의 역사적 건축물에 많은 투자를 했고 학생들로 다시 채움으로써 (이 도시의) 큰 차이를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종합(Fremantle 4).jpg

프리맨틀은 퍼스의 해안 관문으로서도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사진 : Fremantle Port Authority)

   

프리맨틀 시의 프랭크 모플린(Frank Mofflin) 부시장은 프리맨틀에 대해 “진정한 협력적 커뮤니티의 혜택을 받은 도시”라고 말했다. “이 곳의 다양한 커뮤니티가 도시를 형성하고 여러 활동을 전개하며 비즈니스 및 흥미로운 여행지로 만들고자 함께 노력한다”는 것이다.

한편 가장 최근인 지난 5년 사이, 프리맨틀 시에서는 2억7,000만 달러를 들여 도심(CBD) 킹스 스퀘어(Kings Square) 개발을 진행했으며 유산 목록에 오른(heritage-listed) ‘Whalers Tunnel’의 안정화 작업을 진행해 왔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Fremantle 1).jpg (File Size:150.2KB/Download:1)
  2. 종합(Fremantle 2).jpg (File Size:114.8KB/Download:2)
  3. 종합(Fremantle 3).jpg (File Size:111.6KB/Download:2)
  4. 종합(Fremantle 4).jpg (File Size:83.5KB/Download: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7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9월 22일, 여왕 서거 추모하는 일회성 공휴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6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왕위 승계 1순위 찰스, 영국 국왕으로 공식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5 호주 연방정부 이민 시스템 변경... 논란 많았던 ‘투자자 비자’ 취소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4 호주 ‘pandemic migration’... “지방 지역에 문화충돌-계급격차 발생시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3 호주 ‘악수와 포옹’, 다시 일상적 행동이 되고 있지만... 준비는 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2 호주 시드니 중간 가격 이하인 100만 달러로 어떤 유형의 주택 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1 호주 노동당 정부의 기후 관련 정책... ‘탄소배출 43%’ 목표, ‘법’으로 명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0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1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8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7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6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5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3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2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1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0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8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600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