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재택근무시간 1).jpg

팬데믹 사태를 기해 호주 직장인의 재택근무 비율이 크게 증가했으나 이들 대다수는 직장에서보다 집에서의 업무 수행 과정에서 더 부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Pixabay / VisionPics

 

라트로보대학교 조사... ‘직장과 가정생활의 경계 모호-동료들로부터의 고립감’ 느껴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이 가져온 직장문화의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재택근무의 확산일 것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재택근무를 하는 호주 직장인 비율은 팬데믹 시작 당시 8% 수준이었으나 2년여 만에 약 40%로 늘어났다. 또한 전염병 사태가 진정된 이후에도 이 같은 흐름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올 겨울 시즌의 새로운 감염자 파동으로 인해 원격근무를 하다 사무실로 복귀한 일부 직장인들은 다시 집에서 근무하는 방식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재택근무의 가장 큰 장점은 매일 출퇴근에서의 혼잡을 겪지 않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일 게다. 하지만 멜번(Melbourne) 소재 라트로보대학교(La Trobe University) 연구에 따르면, 재택근무를 했던 대다수 직장인이 부정적인 경험을 했다.

동 대학교가 실시한 설문에 응답한 이들은 직장과 가정생활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동료들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것 같은 감정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라트로보대학교 ‘인체 및 인간공학 연구센터’(Centre for Ergonomics and Human Factors)의 조디 오크만(Jodi Oakman) 교수는 “많은 응답자들이 피로감과 함께 체력저하를 호소했다”고 말했다.

오크만 교수는 “직장으로 출근을 해야 할 때는 부수적인 움직임이 많다”면서 “회의에 가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추가 단계를 수행하는 반면 집에서는 거의 그럴 일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쁜 소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설문에 참여한 일부는 회사 사무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오크만 교수는 “특정 분야를 연구하는 이들, 정책 개발자들, 이와 유사한 분야 등 상호작용 부분이 필요하지 않는 업무를 하는 이들에게는 재택근무가 아주 이상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반면, 이와 마찬가지로 직장 내 다른 동료들의 의견을 필요로 하는 업무일 경우에는 사무실이 더 나은 근무 환경일 것”이라고 말했다.

 

업무에 대한 새로운 접근

 

설문 응답자의 반응만을 볼 때, 이번 조사는 재택근무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도 불구하고 재택근무를 끝내고 ‘당장’ 사무실로 복귀하는 것이 맞는 판단은 아닐 수도 있다.

 

종합(재택근무시간 2).jpg

호주 노동조합협의회(Australian Council of Trade Unions)의 샐리 맥마누스(Sally McManus. 사진) 사무총장. 그녀는 COVID 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동안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 : Facebook / Sally McManus

   

오크만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고용주에게, 직원의 행복과 생산성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면서 “따라서 이제는 근로자들의 작업 현장에 집중하는 것 이상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근로자들의 건강과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모든 요소들”이라는 것이다.

각 산업별 노동조합과 전문가들은 특히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 파동이 진행되는 동안 근로자가 원할 경우 집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유연성을 요구했었다. 현재 근로자를 보호하는 각 주(State) 또는 연방정부의 보건 명령은 없는 상태이다. 업무 방식에 대한 모든 것은 개별 기업의 결정에 달려 있다. 아울러 팬데믹 기간 동안 고용-업무 관련 계약을 협상하지 않는 한 재택근무가 고려사항일 가능성도 낮다.

호주 노동조합협의회(Australian Council of Trade Unions)의 샐리 맥마누스(Sally McManus) 사무총장은 “근로자들을 사무실로 강제 복귀시키는 것은 현 상황에서 현명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재택근무가

더 효율적이었다”

 

시드니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일하는 필 실베스터(Phil Sylvester)씨는 팬데믹 사태 시작 직후 현재까지 지난 2년 반을 집에서 근무했고, 지금도 재택근무를 하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는 “내가 만들어가는 일과 삶의 균형이 정말 좋다”면서 “이 말은, 아직 취학 연령의 아이들이 있기에 아이들을 학교에 데려다주고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하도록 하는 모든 스케줄이 쉽게 만들어졌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직장까지 출퇴근을 해야 할 가치가 없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재택근무시간 1).jpg (File Size:83.4KB/Download:3)
  2. 종합(재택근무시간 2).jpg (File Size:82.6KB/Download: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5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054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3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2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50 호주 ‘Hi Mum’ 문자 메시지 피해 사례 급증... 지원단체, “손실 규모 빙산의 일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9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8 호주 NSW 정부, 공공부문 직원에 연간 20일의 가정폭력 유급 휴가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7 호주 NSW ‘Childcare’ 비용, 보다 저렴해질 듯... 주 정부, 관련 법안 상정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6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라지만... 시드니 주택 60% 이상, 10년 사이 가격은 두 배 뛰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5 호주 NSW ‘Surf Life Saving’ 봉사자들, 주 전역 해변에서 ‘안전’ 활동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4 호주 6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sea change’가 가능한 해안 타운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604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COVID-19 분석, “아직은 아니지만 끝이 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2 호주 “COVID-19 감염, 다른 전염병 감염 위험 초래하는 면역체계 변화 시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영국 왕실에서 가장 불운했던 이름, ‘King Charles’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4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엘리자베스 2세의 죽음, 왕실의 꿀벌에게도 ‘직접’ 알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9 호주 각 카테고리 영주비자 신청인들,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자의적이다”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8 호주 줄리아 길라드 전 총리, “군주의 죽음은 호주 헌법 검토할 좋은 순간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7 호주 방역을 위한 ‘봉쇄’, 운전습관에도 영향... 도로교통 사망자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6 호주 타스마니아 자유당 정부, ‘포커머신 사전 손실 한도 설정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5 호주 각 기업의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지난 7월까지 전년대비 4.1%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4 호주 일자리 붐, 고용 호황 속에서도 8월 실업률은 3.4%에서 3.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3 호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있을 터이지만, 상승 속도는 점차 줄어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2 호주 NSW 주 정부, ‘Queen Elizabeth II’ 이름의 새 공공광장 조성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1 호주 NSW 주, 기차-버스 등 ‘대중교통 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30 호주 “암 학자들의 하루 한 잔 이상의 차, 사망 위험 낮추는 것과 연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1.
6029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의 서거가 호주에 의미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8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여왕 등장하는 호주 화폐는 어떻게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7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9월 22일, 여왕 서거 추모하는 일회성 공휴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6 호주 Queen Elizabeth II's Death- 왕위 승계 1순위 찰스, 영국 국왕으로 공식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5 호주 연방정부 이민 시스템 변경... 논란 많았던 ‘투자자 비자’ 취소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4 호주 ‘pandemic migration’... “지방 지역에 문화충돌-계급격차 발생시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3 호주 ‘악수와 포옹’, 다시 일상적 행동이 되고 있지만... 준비는 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2 호주 시드니 중간 가격 이하인 100만 달러로 어떤 유형의 주택 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1 호주 노동당 정부의 기후 관련 정책... ‘탄소배출 43%’ 목표, ‘법’으로 명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20 호주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의무 해제, 감염자 격리도 7일에서 5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6019 호주 고령 및 장애연금-간병인, 2주에 $30.90(독신)-$58.80(부부) 수당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8 호주 Jobs Summit 2022- 숙련기술 인력 부족 문제 위해 이민자 상한선, 크게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7 호주 Jobs Summit 2022- 팬데믹 이후 성별 임금격차 다시 확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6 호주 RBA, 5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1994년 이래 가장 공격적 조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5 호주 호주의 계절 상식- 봄은 언제 시작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시점은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4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3 호주 각 산업 부문서 확산되는 인공지능 및 자동화... 여성 일자리, 빠르게 대체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2 호주 공권력 남용? 전염병 대유행 후 NSW 주에서 ‘알몸 검색’ 4,500건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1 호주 휴가용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세... 5년 사이 최고 가격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10 호주 연방정부의 연금 인상과 함께 NSW 주 정부도 ‘생활비 절감 혜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9 호주 “한줌의 땅콩, 체중감소-혈압 저하-심장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008 호주 COVID-19는 언제, 어떻게 종식될까... 최상-최악의 시나리오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600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의 높은 대중적 지지도, 정점에 도달한 것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