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행산업 1).jpg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동안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호주 관광산업, 특히 해외여행이 올해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화복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진은 발리(Bali)의 한 사원. 발리는 글로벌 온라인 여행 서비스 ‘호주 익스페디아’(expedia.com.au)의 숙박 수요 기준으로 올해 1월 10일 현재까지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여행지이다. 사진 : Pixabay / nitsaholidays

 

관련 전문가들 진단... ABS 데이터 상의 지난 연말 여행 활동, 2019년 2월과 유사

 

2023년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던 호주 관광산업, 특히 해외여행이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기록적인 한 해가 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해외여행자 입국에 비교적 덜 개방적이었던 일본, 중국 등이 적극적으로 여행자 유치에 나섰으며, 이런 가운데 관광 목적의 호주인 출국이 늘어나고 있다.

구글(Google)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호주인들의 해외 항공편 및 여행보험에 대한 검색 또한 급증하고 있다.

 

▲ 12월 호주인 여행 활동, 3년 전 수준= 호주 통계청(ABS)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2022년 12월, 호주인 여행 활동은 2019년 2월과 유사한 수준이다.

최대 소비자 권익단체 ‘초이스’(CHOICE)의 금융 및 여행 부문 책임자 조디 버드(Jodi Bird)씨는 이 수치에 대해 “이미 예상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2020년, 몇 차례의 봉쇄기간 동안 항공 산업과 해외여행 업계는 2024년경에야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다”면서 “아마도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는 당시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기반 글로벌 온라인 여행 서비스 사인 ‘Expedia’의 브랜드 관리 책임자 다니엘 핀치(Daniel Finch)씨 또한 유사한 예측을 내놓았다.

 

▲ 크리스마스 시즌의 호주인 해외 출국은= 지난해 11월, 해외로 출국한 호주인 수는 117만7,430명으로, 전달인 10월에 비해 16만2,610명이 늘었다.

ABS의 2022년 12월 데이터는 아직 잠정적이지만 올해 월별 집계에서 가장 큰 수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종합(여행산업 2).jpg

지난 10년간의 호주 방문자 및 호주인의 해외 출국을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는= 지난 1월 10일 현재, ‘호주 익스페디아’(expedia.com.au)의 숙박 수요를 기준으로 호주인이 가장 많이 방문한 상위 목적지는 발리(Bali)였다. 상위 10개 방문국가를 보면,

1 Bali, Indonesia

2 Tokyo, Japan

3 Singapore

4 London, United Kingdom

5 Fiji

6 Phuket, Thailand

7 Queenstown, New Zealand

8 Los Angeles, United States

9 Rome, Italy

10 Bangkok, Thailand로 나타나 있다.

 

이들 목적지 중 상위에 있는 발리와 일본은 해외여행자에 대해 거의 완전히 국경을 개방하면서 해외에서의 방문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합(여행산업 3).jpg

지난해 12월까지 14개월 사이, 호주인 해외 출국자 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Source: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 호주인이 많이 찾은 국내 여행지는= 글로벌 여행 서비스 사인 ‘웹젯’(Webjet) 자료를 보면 지난 12월 1일부터 올해 1월 15일까지 국내 최고 목적지는 멜번이었다. 상위 10개 목적지는,

1 Melbourne

2 Sydney

3 Brisbane

4 Gold Coast

5 Adelaide

6 Perth

7 Cairns

8 Hobart

9 Maroochydore

10 Canberra 순이다.

 

‘Expedia’의 핀치씨는 “QLD의 골드코스트와 선샤인코스트, NSW의 노스코스트를 방문하는 국내 여행자가 급증한 가운데,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 동부 해안 지역 여행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또한 올해 최고의 휴양 목적지가 될 론세스톤(Launceston, Tasmania), 뉴카슬(Newcastle, NSW), 헌터밸리(Hunter Valley, NSW) 지역 방문자 증가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여행산업 4).jpg

해외여행과 함께 국내 여행자 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 여행 서비스 사 ‘웹젯’(Webjet)에 따르면 지난 12월 1일부터 올해 1월 15일까지 가장 많은 이들이 찾은 국내 여행지는 멜번(Melbourne)이었다. 사진은 멜번 도심의 한 그라피티(graffiti) 거리. 사진 : Blender Studios

   

▲ 항공료에 미칠 영향은= 해외여행이 늘어나고 있음은 항공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항공사 분석회사 ‘Cirium’에 따르면 지난 12개월 사이 전 세계적으로 항공사들의 여행자 수용 능력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항공 수요에 따라 탑승권 가격은 계속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Cirium’은 유럽행 항공료의 경우 팬데믹 이전에 비해 21%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로써 왕복 항공권 평균 가격은 1,743달러(2019년)에서 2,109달러(2022년 10월 기준)가 됐다.

호주 공정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ACCC)의 최근 자료는 국내선 항공료가 팬데믹 이전에 비해 크게 올랐음을 보여준다.

 

▲ 항공권 가격 상승 이유는= ACCC의 아나 브레이클리(Anna Brakey) 위원은 “높아진 연료비용, 항공 운영상의 문제에 대응, 각 항공사들이 비행 일정을 축소했다”며 “강한 여행 수요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공급으로 항공권 가격이 인상됐다”고 설명했다.

ACCC에 따르면 승객당 항공사의 평균 수익(모든 운항 유형의 평균 항공료로 산정)은 2019년 10월에 비해 2022년 10월 현재, 27%가 더 높다. 브레이클리 위원은 “우리는 항공사들이 여전히 팬데믹으로 인한 자원 문제를 겪고 있음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종합(여행산업 5).jpg

여행 수요가 증가했지만 높은 연료비, 운영상의 문제 등으로 항공료는 크게 상승했다. 사진 : Unsplash

   

한편 ‘익스페디아’의 핀치씨는 “해외여행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생활비 부담이 여전한 상황에서 국내여행으로 눈을 돌리는 이들도 많을 것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 호주인들이 검색한 해외 목적지는= 구글(Google) 데이터를 보면 올해 1월 1일부터 16일 사이,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국가는 태국이었다. 상위 검색 국가(또는 지역)를 보면,

1 Thailand

2 Japan

3 India

4 Bali

5 Fiji

6 Switzerland

7 Europe

8 Singapore

9 Vanuatu

10 Noumea(남태평양 프랑스령 New Caledonia 섬의 항구 도시) 순이었다.

 

종합(여행산업 6).jpg

호주인들의 해외여행 증가뿐 아니라 여행지 검색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구글'(Google)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16일까지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목적지는 태국이었다. 사진은 태국의 유명 관광지 중 하나인 푸켓(Phuket) 섬. 사진 : Pixabay / Michelle_Maria

   

아울러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와 타스마니아(Tasmania)를 제외한 각 주 및 테러토리의 항공사 검색을 보면 국제선 검색이 국내선보다 많았다. 구글 데이터의 흥미로운 점은, 올해 이 기간(1월 1일부터 16일까지), 크루즈 여행에 대한 검색이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90% 더 높다는 것이다.

전염병 사태 초기, 가장 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발생지 중 하나는 시드니에 정박했던 유람선 ‘Ruby Princess’ 호였다. 이 유람선에 있던 수천 명의 여행자를 시드니에 하선하도록 허용한 후 700명 이상이 감염 상태였던 게 확인됐었다. 당시 이 유람선 승객 중 28명이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한 바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행산업 1).jpg (File Size:200.3KB/Download:8)
  2. 종합(여행산업 2).jpg (File Size:50.8KB/Download:16)
  3. 종합(여행산업 3).jpg (File Size:42.1KB/Download:8)
  4. 종합(여행산업 4).jpg (File Size:141.2KB/Download:10)
  5. 종합(여행산업 5).jpg (File Size:60.6KB/Download:8)
  6. 종합(여행산업 6).jpg (File Size:129.3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08 호주 뱅스타운 ‘브라이언 브라운 극장’, 각 장르의 수준 높은 공연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7 호주 “QLD 거주민, 지난해 최소 한 차례는 COVID-19에 감염되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6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새로운 내용의 ‘Strathfield Festival’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5 호주 “RBA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건축 및 주택대출 승인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6304 호주 Under God... 크리스 민스 47대 주 총리 취임, “충성-직무 충실” 선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303 호주 NSW 주 선거- 공공부문 근로자들의 정부 불신, NSW 주 선거 승패 갈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302 호주 NSW 주 선거- 12년 만의 노동당의 승리 이끈 Chris Minns 대표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301 호주 NSW 주 선거- 12년 만에 주 정부 복귀한 노동당, 주요 정책 약속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300 호주 White Australia to multiculturalism... 호주의 이민국가 형성 과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9 호주 Cost of Living Crisis 영향? NSW 주 중-장년층 남성 자살 비율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8 호주 시드니 각 지역 운전자들, 유료도로 통행료로 연간 수백 만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7 호주 시드니-멜번 등 주요 도시의 주택가격 급등한 ‘스쿨존’ 구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6 호주 음주량에도 빈부격차? 부유한 지역 10대들, 저소득 지역 비해 더 마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5 호주 호주, 전 세계 ‘행복’ 순위 12위... 핀란드 등 북유럽 국민들, ‘가장 행복’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4 호주 NSW 주 각 학교 교장에 대한 학생-학부모 폭력 행위, ‘사상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6293 호주 NSW State Election- 연립의 수성 전략에 노동당, 파상적 공세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92 호주 “호주, 학비대출 확대-취업비자 점검 및 직장 관련 규정 재정비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91 호주 ‘Climate 200’의 일부 주요 후원자, 이번에는 ‘대마초 합법화’에 눈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90 호주 Age-Disability support pension-JobSeeker 보조금, 약 3.7% 인상 지급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9 호주 NSW 주 전역에서 최악의 ‘혼잡도로’는 Parramatta Road at Auburn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8 호주 상원위원회 보고서, ‘주 4일 근무 시범 시행-유급 육아휴직 기간’ 등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7 호주 광역시드니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 일부 교외지역 ‘picking up’ 뚜렷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6 호주 NSW 주의 ‘두뇌 유출’... 매년 10만 명의 거주민, 타 정부관할구역으로 이주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5 호주 일자리 반등으로 실업률 하락... RBA의 ‘기준금리 인상’ 압력 가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4 호주 도심 인근 ‘Enmore Road’, 킹스크로스 대체하는 새 유흥구역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3 호주 브리즈번, 미 주간지 ‘타임’의 ‘World's Greatest Places’ 중 한 곳으로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6282 호주 ‘베이비부머’보다 많아진 젊은이들, NSW 주 선거 결과는 청년 유권자 손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81 호주 WHO의 ‘팬데믹 선포’ 3년... COVID-19가 호주에 남긴 타격과 향후 대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80 호주 NSW State Election... 무소속 후보 ‘약진’ 속, 양대 정당 힘겨운 접전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9 호주 여성 작가 대상의 ‘스텔라 문학상’, 호주인의 독서 습관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8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crisis... 임대 스트레스 벗어나려면 얼마를 벌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7 호주 시간당 10달러? 광역시드니의 노상주차 비용이 가장 비싼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6 호주 “물가지수 정점 불구하고 내년 말까지는 실질임금 혜택 얻지 못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5 호주 QLD의 Bundaberg-Fraser Coast, 지난해 ‘new kids on the block’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4 호주 주택담보대출 상환금 증가율, 임금상승 크게 앞서... 가계 재정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3 호주 ‘tree-sea change’ 바람으로 호황 누렸던 지방 지역 주택가격, 큰 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2 호주 Bankstown Arts Centre, 차세대 아티스트 육성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6271 호주 2022년 연방 선거 이어 2023 NSW 주 선거에서도 ‘Teals’ 바람,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70 호주 Cost-of-living crisis... 10대 청소년들을 취업 전선으로 내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9 호주 NSW 주 선거... 유권자들의 ‘표심’을 지배하는 한 가지는 ‘생활비 부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8 호주 2022년 호주 사망 인구, 예상보다 거의 2만 명 늘어... 절반이 COVID 원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7 호주 long COVID 증상, 지속적 보고... 백신 접종한 이들에게도 흔하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6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4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매물 공급 감소-경매 낙찰률 상승으로 가격 하락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3 호주 예술을 통한 고통의 치유... 행동주의 작가가 선보이는 ‘Devotion’ 메시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262 호주 3월 넷째 주말의 NSW 주 선거... “추측도 없고 기대감도 커지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6261 호주 Sydneysiders, 은퇴 연령 on th up... 1970년대 이후 가장 오래 일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6260 호주 미니멀리즘과 웰빙... 삶에 필요한 물품의 ‘최소화’가 더 나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6259 호주 2023 NSW 주 선거... 2019년 이후 정치 지도, 크게 바뀌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