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회장님의 일당 5억짜리 노역 판결에 



국민들은 분노한다



취향이 독특한 어떤 사람이 혼자 화장실 변기를 소독하고 깨끗한 물로 씻은 뒤에 변기를 핥았다고 하자. 



변기를 핥아 먹은 행동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얼굴을 찌푸리며 잘못된 행동이라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대답해보라고 말하면 딱히 정확한 대답을 내놓지 못한다. 왜냐하면 변기는 소독된 것이라 문제없고, 아무도 그 사람이 변기를 핥아 먹는 것을 보지 않았기 때문에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서적 반응은 이 사람의 행동이 역겨우며 명백히 잘못된 것임을 안다. 정서는 어떤 행동이 옳고 그른지 순식간에 결정한다. 정서는 이성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게 무엇이 옳고 그른지 도덕가치의 기준을 제시한다.



제41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 조지 허버트 부시와 민주당 후보 마이클 듀카키스가 격전을 벌였다. 두 후보는 사형제도 폐지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듀카키스는 사형제도 폐지를 주장했지만, 부시는 사형제도 폐지에 반대했다.



TV 토론에서 부시가 듀카키스에게 “극단적인 예지만 당신 아내를 성폭행하고 살해한 범인이 있다면, 당신은 그 범인의 사형도 반대하시겠습니까?”라고 물었다. 듀카키스가 “네, 그 범인의 사형을 반대합니다. 사형제도가 범죄를 줄인다는 증거는 전혀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결국 선거를 치룬 결과 듀카키스는 참패했다. 유권자들은 사형제도에 대한 찬반 의견보다는 듀카키스의 지나치게 이성적 대답이 위선적이라 느꼈기 때문이었다.



대공황이었던 1935년 1월 가난한 노인이 빵을 훔친 죄로 재판을 받았다. 



사가 노인에게 빵을 왜 훔쳤느냐고 물었다. 노인은 며칠을 굶어 어쩔 수 없이 빵을 훔쳤다고 말했다. 법은 만인에게 공평하게 적용되야 하므로 판사는 노인에게 10달러의 벌금형이나 10일간의 구류형을 내려야 했다. 하지만 불쌍한 노인의 딱한 처지를 생각하면 약자인 그를 보호해야 했다. 판사는 노인에게 10달러 벌금형을 내렸다. 아울러 판사는 노인이 빵을 훔치도록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자신에게 10달러의 벌금과 방청객에게 50센트의 벌금을 물게 했다. 법정에서 57달러 50센트가 걷혔다. 노인은 10달러의 벌금을 내고 47달러 50센트를 받고 눈물을 흘리며 법정을 떠났다.



이 판결을 내린 사람은 바로 라과디아 판사다. 



뉴욕의 중심 관문에는 이 판사의 이름을 딴 라과디아 공항이 있는데 이 공항은 뉴욕시장을 세 번이나 역임했던 라과디아를 시민들이 존경하여 붙인 공항 이름이다.



2010년 광주고등법원은 500억원을 탈세한 혐의로 기소된 사업가에 대해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 벌금 254억원을 선고했다. 



만약 벌금을 내지 않을 경우 하루 일당을 5억원으로 환산해 50일간 노역을 하라는 유치처분도 내렸다. 203일 동안 강제노역을 처분한 1심 때보다 벌금은 절반으로 내리면서 일당은 두 배로 높인 판결이었다.



그는 단 49일만 노역하고 벌금을 전액 탕감받게 된다. 하루 노역비가 일반인(5만 원)의 1만 배에 이르지만 법적으로 하등 문제가 없다. 1심에서 벌금 508억 원에 노역 일당 2억5000만 원으로 선고한 것을 항소심에서 벌금을 절반으로 깎아 일당을 배로 올려줬기 때문이다. 



형법상 3년까지 노역을 시킬 수 있는데도 이를 깡그리 무시했으니 귀신이 곡할 판결이 아닌가. 



이래서 '재판이라 쓰고 개판이라 읽는다'는 비난이 쏟아지는가 보다.



이런 법원의 판결에 대해 시민들은 납득이 안 간다는 반응이 대부분일 수밖에 없다. 불쌍한 사람을 보면 돕고 싶고,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하려는 본능은 이것저것 재는 합리적 판단이 아니라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정서에서 비롯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갖는 정서적 반응은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선천적으로 갖고 있는 선한 마음이다. 



인간의 양심은 차가운 이성이 아니라 뜨거운 정서에 뿌리가 있다.



<유럽 19개국에 배포되는 주간신문 유로저널 . www.eknews.net>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 우리 말 속의 ‘일본말’

    광복 70주년이다. 간악한 일본이 조선을 병탐한 뒤 우리 민족을 능욕했던 35년의 시간이 두 번 지나 70년의 세월이 흘렀다. 35년의 일제강점기동안 일본은 엄청난 양의 ‘그들의 것’을 우리 강토에 심어놓았다. 창씨 개명을 통해 민족정신을 말살했고, 신사참배로 황국신...

    우리 말 속의 ‘일본말’
  • 파미르 여행기 3 file

    7월말의 폭염, 파미르 만년설을 녹이다. ‘하록’마을은 우리나라 강원도 정선처럼 좌우 산꼭대기에 빨래줄을 걸면 걸릴 정도로 산봉우리들로 둘러싸인 마을이었다. 그러나 주변경관은 스위스의 산골 마을을 연상시킬 만큼 예뻤다. 특히, 여행정보센터 앞은 전세계에서 온...

    파미르 여행기 3
  • 막말과 망언

    막말과 망언이 화제다. 미국에서는 대통령 후보의 막말이, 한국에서는 대통령 동생의 망언이 온 나라를 들끓게 하고 있다. 미국은 요즘 공화당 대선 경선에 나선 부동산 갑부 도널드 트럼프의 막말로 뜨겁다. ‘언론은 트럼프에 중독됐다’는 어느 분석가의 말처럼 하루도...

    막말과 망언
  • 일상화된 ‘피비린내’

    1492년 콜럼부스의 배가 카리브 해안에 닿은 것은 역사적인 실수였다. 이 실수를 미국 역사는 ‘위대한 신대륙의 발견’이라 부른다. 광활한 대지 위에서 목가적인 평온함을 영위했던 원주민들에게 탐욕 가득한 유럽인들의 침입은 재앙이었다. 평화롭던 원주민들의 땅에 ...

    일상화된 ‘피비린내’
  • 파미르여행기 2 - 아프칸마약의 북상루트인, 타직-아프칸 국경선 ... file

    [특별기획 : 세계의 지붕, 파미르의 사람들 2 ] 아프칸마약의 북상루트인, 타직-아프칸 국경선 '빤지'강을 따라가다 <두샨베를 벗어나자 양떼를 몰고가는 목동을 자주 만나게 되었다> 파미르를 향해 출발 무더운 황사에 싸인 두샨베를 떠나 드디어 파미르를 향한 대장정...

    파미르여행기 2 - 아프칸마약의 북상루트인, 타직-아프칸 국경선 '빤지'강을 따라가다
  • 파미르 여행기 1 - 혹독한 기후, 그러나 따뜻한 미소를 가진 파미... file

    혹독한 자연환경속에서도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는 곳, 파미르 파미르에는 만남이 있다. 전세계에서 온 여행자와의 만남 혹독한 자연속에서 살아가는 파미르인들과의 만남 파미르 음악과 춤 그리고 음식과의 만남 태초의 자연과의 만남 그리고 앞만 보고 달려온...

    파미르 여행기 1 - 혹독한 기후, 그러나 따뜻한 미소를 가진 파미르인들을 만나러 가는 여행
  • 해킹정국

    바야흐로 해킹정국이다. 국정원의 대통령 선거 개입 의혹에 이어, 국정원이 대선을 목전에 둔 시점에 해킹프로그램을 구입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민을 상대로 불법사찰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힘이 실리고 있다. “대북 정보전을 위한 정당한 활동이었다.” 이병호...

    해킹정국
  • 일본의 꼼수에 넘어간 우리 외교부의 안이한 태도가 더 큰 문제

    일본의 꼼수에 넘어간 우리 외교부의 안이한 태도가 더 큰 문제 일본 산업혁명시설 세계유산 등재의 사후 파장이 만만찮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일은 막판에 'forced to work'라는 문구를 넣고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이 문구를 두고 우리 정부 당국자는 "...

    일본의 꼼수에 넘어간 우리 외교부의 안이한 태도가 더 큰 문제
  • 호락호락하지 않은 깃발

    노예제도를 정당화 하기 위한 미국의 인종차별은 남북전쟁이 끝나고 노예가 해방된 지 150년이라는 시간을 지나왔지만 여전히 현실 속에 건재해왔다. 그 상징이 남부연합기의 존속이었다. 그러나 21세의 어린 백인 우월주의자가 저지른 참극 이후 미국은 150여년의 세월...

    호락호락하지 않은 깃발
  • 민낯 뒤의 가면

    그리스 시대, 배우들은 무대 위에서 ‘가면’을 썼다. 가면을 쓰는 순간, 배우 자신은 가면 뒤에 철저히 가려졌다. 맡은 배역의 인격만이 무대 위에 존재할 뿐이다. 고대의 연극이 가면을 사용한 이유는 배역의 다양성을 표현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두 개의 가면을 쓰면...

    민낯 뒤의 가면
  • "은혜의 나라 인도네시아"에 “보은의 나라 코리아”로 화답하자

    6.25전쟁에 이슬람권 9개국 한강의 기적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줘 결초보은(結草報恩)으로 한국 인도네시아 광복 독립 70년 맞아야 박근혜 대통령이 태어난 1952년, 인도네시아는 한국의 전쟁복구에 써 달라고 현금 143,706달러를 유엔에 보내주었다. 1950년 북한의 도발로...

  • 모방과 표절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 한 때 그를 가리켜 외계인이라는 우스개소리도 있었다. 지구행성에 온 외계인 스티브 잡스가 자신의 별에서 사용하던 물건들을 하나하나 선보인다는 농담이 진담처럼 덧붙여졌다. “우리는 위대한 아이디어를 훔치는 것을 부끄러...

    모방과 표절
  • 리플리 양성소

    알랭들롱이 열연한 영화 ‘태양은 가득히’는 영국의 여류작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쓴 소설 ‘재능있는 리플리씨’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별 볼일 없는 주인공이 재벌 아들인 친구를 죽인 후, 죽은 친구의 신분으로 위장해 새로운 삶을 산다는 내용이다. 주인공 이름도 ...

    리플리 양성소
  • 차세대의 의미와 프랑스 한인사회의 미래 file

    2015년 6월13일은 프랑스 한인사회 역사에서 중요한 날로 기록될 것이다. 이날 개최된 ‘프랑스 한인 차세대 발대식’은 단순한 행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프랑스에서 태어나거나 어릴 때 와서 이곳에서 성장한, 우리 한인사회의 미래를 짊어져 나갈 1.5세, 2세들이 서...

    차세대의 의미와 프랑스 한인사회의 미래
  • 메르스 공포, 정부의 안전 불감증에 국민은 불안하다

    메르스 공포, 정부의 안전 불감증에 국민은 불안하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1937년 닭에서 처음 발견됐다. 모양이 태양의 코로나와 비슷하다 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란 이름을 얻었다. 처음에는 조류만 감염되는 것으로 여겼다. 세월이 흐르면서 개, 돼지, 소 등도 감염된다...

  • 메르스와 사스

    2003년 3월 홍콩의 미국인 사업가가 사망하면서 처음 보고된 사스는 몇 주만에 32개국으로 퍼졌다. 순식간에 전 세계에서 8,400여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10.9%가 사망했다. 전 세계가 사스 공포에 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시 한국은 완벽에 가까운 예방대...

    메르스와 사스
  • 멈추지 않는 총기비극

    1791년 수정헌법 2조를 채택한 ‘건국의 아버지’들이 총기 소유에 어떤 생각을 지녔는지 살펴보면 미국이 왜 ‘총기의 나라’인지 쉽게 알 수 있다. 미국 독립선언서를 만든 토머스 제퍼슨은 “총은 미국인들에게 자유의 무기다”라고 말했고, 권리장전의 기초를 확립한 조지...

    멈추지 않는 총기비극
  • 한인들의 모순된 ‘인종차별’

    [한인들의 모순된 '인종차별'] ‘인종차별의 싸움’으로 축약되는 미국의 근현대사에 ‘최초의 흑인대통령 당선’은 엄청난 반전이었다. 흑인대통령 탄생 7년. 그러나 흑인에 대한 미국 사회의 뿌리깊은 인종편견은 여전히 지워지지 않고 있다. 인종문제로 대규모 폭동이 일...

    한인들의 모순된 ‘인종차별’
  • 희안한 기자회견

    뇌리에 각인되지 않는 광고카피는 죽은 활자에 불과하다. 몇 마디 말에 펄펄 살아 뛰는 생명력을 담아야 하고, 틀을 깨는 한마디로 통쾌한 한 방을 날리거나 숨겨진 마음을 절묘하게 들춰내 짙은 여운을 남겨야 산다. 사람의 마음을 휘어잡는 언어 중에 광고 카피만큼 ...

    희안한 기자회견
  • 진달래민족 (중국 정호원)

    내가 오봉산에서 진달래를 찾아보고자 하는 집착일념은 오랑캐령과 오봉산이 나란히 어깨를 겯고 서있기때문이다. 오랑캐령을 손꼽을라치면 당연히 그리고 자연히 망국대부와 망국멸족의 남부녀대 이주민들을 초들게 된다. 그 망국지민 흰옷의 행렬들이 바로 두만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