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jpeg

시드니 주택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광역시드니 각 지역(region)의 주택 판매자들이 할인된 매매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주택가격이 높은 지역(suburb)에서 두드러진다. 사진은 매매를 알리는 시드니의 한 주택. 사진 : realestate.com.au

 

‘도메인’ 사, 매물 리스트 분석... 북부 및 동부 지역, ‘할인’ 매물 많아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특히 시드니와 멜번 등 주요 대도시의 부동산 시장이 크게 위축된 가운데 시드니의 경우 주택소유자들이 매매를 성사시키고자 기대 가격을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이 매물로 나온 주택의 판매가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7채의 주택 가운데 1채 이상이 시장 가격보다 할인된 금액을 제시했다.

지난 달(7월) 시드니에서 매물로 나온 주택 가운데 14.7%는 하향 조정된 매매가를 내놓았다. 이들 주택가격 할인 비율은 4.3%로, 이를 감안할 때 시드니 주택 중간가격(114만3,012달러)은 5만 달러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최근 수개월 사이 가격조정을 요구받은 주택 수는 늘어났지만 가격 할인율은 올해 초 집계된 4.7%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도메인’ 사의 선임 연구원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시장이 취약해질 때 매매가 제시도 낮아진다”면서 “하지만 우리가 확인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할인율과 큰 폭의 매매가격 하락이 아니라 더 많은 매물 주택들이 할인된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파월 박사는 “우리는 부동산 시장이 바닥까지 추락하거나 일정 가격대가 무너지는 것은 보지 못했다”며 “다만 현 상황에서 판매자들이 매매를 성사시키기 위해 매매가를 보다 현실적으로 바꾸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초, 주택가격 상승세가 멈추고 판매자들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에 대응하면서 매매가격 조정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파월 박사에 따르면 경매 매물 리스트에 올렸다가 매매가 이루어지지 못한 주택일수록 매매가격을 조정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 같은 매매가 할인은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지난 달(7월) ‘도메인’ 사이트에 광고된 매물 가운데 17.3%가 할인 가격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 5월 19.6%보다는 낮아진 것이다.

노던비치 지역의 각 서버브(suburb)를 보면 나라빈(Narrabeen), 모나베일(Mona Vale), 아발론 비치(Avalon Beach)의 할인된 매물주택 비율이 가장 높아 각 24%, 22%, 18%에 달했다. 가격 할인율을 보면 아발론 비치가 가장 높아 기존 가격에서 평균 5.2% 낮은 매매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1-2.jpg

‘도메인’(Domain)이 지난 달(7월) 매물로 나온 주택을 조사한 결과 할인 가격을 제시한 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노던비치(Northern Beaches regoin)로, 전체 매물 중 17.3%가 시장 가격보다 낮은 매매가를 제시했다. 사진은 노던비치의 한 주거지역. 사진 : Destination NSW

 

이 같은 매매가격 할인율을 볼 때 노던비치 지역 주택 중간가격은 4.1% 낮아질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노던비치의 주택 중간가격은 186만5천 달러로, 지난달 매물 주택의 가격 할인율을 감안하면 중간가격은 8만5천 달러 이상 하락한 셈이다.

이 지역 기반의 부동산 회사 ‘Clarke & Humel Property’ 사의 체리 휴멜(Cherie Humel)씨는 “주택을 매매하려는 이들의 가격 기대치가 주춤하고 있다”며 “진정으로 주택 매매를 성사시키고 싶다면 현 시장 상황에 맞춰 개방적인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노던비치에 이어 서부지역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 Bankstown)의 매물 가운데 할인 가격을 제시한 주택 비율은 17%에 달했으며, 어퍼노스쇼어(Upper North Shore. 16.4%), 시드니 도심 및 동부(city and eastern suburbs. 16.2%) 또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매매용 주택의 가격 할인율을 보면 도심 및 동부는 5.3%로, 이는 전월(6월)의 5.5%보다는 약간 낮았다. 벨뷰힐(Bellevue Hill)과 노스 본다이(North Bondi)에서 나온 매물의 중간 할인율은 6.9%였으며, 마트라빌(Matraville)과 포츠포인트(Potts Point)가 6.3%로 집계됐다.

동부 기반의 부동산 회사 ‘Raine & Horne Double Bay’의 릭 세라오(Ric Serrao) 에이전트는 “주택을 판매하려는 벤더(vendor)들이 가격 기대치를 고집하기가 어려워졌다”면서 “6개월 또는 12개월 전 가격을 원했던 이들도 현 상황을 감안, 매물로 내놓은 주택의 판매 제시가격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1-3.jpg

지난 7월 기준으로, 매물 주택 가운데 할인된 가격을 제시한 주택 비율은 시드니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이 많았던 반면 매물 주택의 가격 할인 비율은 도심 및 동부(city and eastern suburbs)가 5.3%로 가장 높았다. 사진은 시드니 동부 지역의 한 테라스 주택.

 

파월 박사는 “고가의 주거 지역이 부동산 시장의 가격 상승과 하락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할 때, 노던비치를 비롯해 도심 및 동부의 매물주택 가격 할인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며 “할인 가격을 제시한 주택 비율이 높은 캔터베리-뱅스타운의 경우에는 신축 아파트 공급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각 도시의 할인가격 매물 비율

(도시 : 2019년 7월 / 2020년 7월)

-Adelaide : 3.1% / 10.1%

-Brisbane : 4.4% / 9.7%

-Canberra : 6.3% / 8.6%

-Darwin : 5.5% / 5%

-Hobart : 2.8% / 5.4%

-Melbourne : 3.1% / 11.5%

-Perth : 5.3% / 10%

-Sydney : 5.1% / 14.7%

Source: Domain, July 2020

 

■ 각 도시의 매물 주택 가격할인 비율

(도시 : 2019년 7월 / 2020년 7월)

-Adelaide : -4.6% / -4%

-Brisbane : -4.8% / -4.6%

-Canberra : -3.4% / -3.2%

-Darwin : -8.2% / -4.6%

-Hobart : -6.7% / -4.6%

-Melbourne : -4.2% / -4%

-Perth : -4.7% / -4.7%

-Sydney : -4.7% / -4.3%

Source: Domain, July 2020

 

■ 시드니 지역별 할인가격 매물 비율

(Region : 비율)

-Northern Beaches : 17.3%

-Canterbury Bankstown : 17.0%

-Upper North Shore : 16.9%

-Lower North Shore : 16.4%

-City and East : 16.2%

-South : 15.2%

-West : 15.0%

-North West : 14.7%

-Inner West : 13.8%

-Central Coast : 13.0%

-South West : 12.6%

-Blue Mountains : 12.0%

Source: Domain

 

■ 시드니 지역별 매물 주택 가격할인 비율

(Region : 비율)

-City and East : -5.3%

-Lower North Shore : -4.8%

-Inner West : -4.7%

-Canterbury Bankstown : -4.6%

-South : -4.6%

-Upper North Shore : -4.5%

-North West : -4.3%

-Central Coast : -4.1%

-Northern Beaches : -4.1%

-West : -3.8%

-Blue Mountains : -3.7%

-South West : -3.5%

Source: Domain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1-1.jpeg (File Size:62.8KB/Download:19)
  2. 1-2.jpg (File Size:114.4KB/Download:19)
  3. 1-3.jpg (File Size:148.3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17 호주 재부각되는 시드니 홈리스 실태…부익부 빈익빈 시드니의 민낯 톱뉴스 17.08.18.
3816 호주 최고의 무대 - 호주 오페라 지평 넓힌 ‘파르지팔’ 톱뉴스 17.08.18.
3815 호주 정신 나간 호주 맥도날드, 이틀 연속 구더기 발견 톱뉴스 17.08.18.
3814 호주 ‘천정부지’ 호주 전기세의 숨겨진 내막 톱뉴스 17.08.18.
3813 호주 교통편의 위주의 주택 개발 공해문제 악화 톱뉴스 17.08.18.
3812 호주 NSW-VIC, 방 남아도는 주택 10만채 톱뉴스 17.08.18.
3811 호주 시민권 취득 강화 법안 “하원통과” 톱뉴스 17.08.22.
3810 호주 바르셀로나 차량 테러 실종 상태 호주 어린이 '사망' 확인 톱뉴스 17.08.22.
3809 호주 호주정부, 차량 테러 방지 대책 발표 톱뉴스 17.08.22.
3808 호주 <뉴스폴>노동당 1순위 지지율 38%로 급상승…올 들어 최고치 톱뉴스 17.08.22.
3807 호주 시드니 채스우드 빅토리아 애브뉴 광장으로 차량 돌진…5명 부상 톱뉴스 17.08.22.
3806 호주 폴린 핸슨 부르카 ‘깜짝쇼’ 비난 비등…지지율은 반등 톱뉴스 17.08.22.
3805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거부 두번째 카운슬 “등장”…또 멜버른 지역 톱뉴스 17.08.23.
3804 호주 북한 “호주, 자살 행위 감행” 맹비난 톱뉴스 17.08.23.
3803 호주 AB, 호주달러 전망 상향…"美달러 회복 가능성 감소" 톱뉴스 17.08.23.
3802 호주 이중국적 논란, 이번에는 상원 ‘실세’ 닉 제노폰 정조준 톱뉴스 17.08.23.
3801 호주 민주평통, 아시아 부의장에 이숙진 전 호주협의회장 임명 톱뉴스 17.08.23.
3800 호주 주택경매 낙찰률, 6월 이후 2개월 만에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3799 호주 해외 여행객 증가로 시드니 국제선 이용객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3798 호주 호주 방문 중인 덴마크 프레데릭 왕자, 브리즈번서 ‘굴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