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전화사기 1).jpg

2021년 한해에만 6만7,000건 이상의 사기성 문자메시지 신고가 접수된 가운데 호주 통신 미디어 당국(ACMA)은 이동통신사들에게 이와 관련한 새 규정을 적용키로 했다. 사진 : Pexels / Charlotte May

 

지난해 호주인 사기 피해액 20억 달러 중 문자메시지 사기로 1천만 달러 손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 행각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호주 통신 미디어 당국인 ‘Australian Communication and Media Authority’(ACMA)가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새 규칙을 발표했다.

ACMA의 이 조치에 따라 모바일 통신사들은 이달 12일(화)부터 문자메시지 사기를 식별, 추적 및 차단하고 다른 모바일 공급사와 사기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은 물론 이를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호주공정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ACCC)에 따르면 지난해 갖가지 사기 행각에 의해 호주인들이 20억 달러 넘는 피해를 입은 가운데 문자메시지 사기에 의한 손실액은 1천만 달러에 이른다. ACCC의 사기 행각 신고 사이트인 ‘Scamwatch’ 데이터를 보면 2021년 한해에만 6만7,000건 이상의 문자메시지 사기 피해 사례가 접수됐다.

연방 통신부 미셸 로랜드(Michelle Rowland) 장관은 이번 새 규정이 사기범들의 비즈니스 모델에 혼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호주인들은 사기성 문자메시지를 받았거나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들었고, 또 얼마나 쉽게 함정에 빠질 수 있는지도 알고 있다”는 로랜드 장관은 “ACMA의 새 규칙은 사기범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방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은행계좌,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 비즈니스에 접근하려는 사기꾼들로부터 취약한 호주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신 제공업체는 ACMA의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최대 25만 달러의 벌금 처분을 받게 된다.

 

통신회사를 위한

사기방지 프로그램

 

문자메시지와 관련한 새 규정은 지난해 사기 전화로 인한 피해가 1억 달러에 이르자 ACMA가 이를 근절하기 위한 조치 후에 나온 것이다.

ACMA의 네리다 올로프린(Nerida O'Loughlin) 위원장은 문자메시지 규칙이 사기범들에게 전화사기 근절을 위한 조치와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말했다. “이는 사기 전화를 막기 위해 우리(ACMA)가 배치한 이전 코드의 도움을 받았기에 호주 소비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ACMA에 따르면 전화사기 방지를 위한 코드로 지난 16개월 사이 호주 소비자들에게 발생한 전화사기 시도는 이전에 비해 약 5억 건이 감소했다.

 

종합(전화사기 2).jpg

지난 2년여 동안 사기범들의 사기행각을 위해 시도한 문자메시지의 대부분은 COVID-19 대유행과 관련된 내용을 미끼로 한 것이었다. 사진 : Australian Cyber Security Centre

   

호주 통신회사연합(Communications Alliance)의 존 스탠턴(John Stanton) 회장은 “사기 전화 차단을 위한 조치가 취해진 이후 사기성 문자메시지 발송 문제가 더욱 악화되었다”면서 “(사기범들의) 이 같은 사기 시도가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막는 것은 간단한 과정이 아니다”고 말했다.

올로프린 위원장은 올해에만 이미 문자메시지 사기로 65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한 상황에서 우선순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사기범들은 매우 민첩하게 움직이므로 업계와 협력하여 그들보다 앞서지 않더라도 사기범들의 행각을 따라잡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로프린 위원장은 “사기행각이 호주인들의 삶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우려했다. 사기범들은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사기 행각으로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훔친 뒤 그들의 은행계좌에 접속하며, 이로써 소비자는 평생 저축한 자금을 한순간에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연방정부,

더 많은 규정 ‘준비 중’

 

전화 및 문자메시지 사기는 호주 소비자들이 ‘Scamwatch’에 가장 많이 신고하는 것 중 하나이지만 소셜 네트워킹, 전자메일 및 앱 사기로 인한 피해액도 매년 수억 달러에 달한다.

연방 금융서비스부 스티븐 존스(Stephen Jones) 장관은 “정부에서도 이런 문제를 잘 인식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규정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십 억 달러의 금전적 손실뿐 아니라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영향을 미친다”는 장관은 “경제적 이유도 중요하지만 호주인 개개인의 안전 또한 중요하다”는 말로 더 많은 조치가 있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ACCC는 사기범들이 특히 취약한 계층을 노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원주민, 장애인 및 다문화 커뮤니티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기범들이 전화 또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훔쳐낸 금액은 약 6,600만 달러로, 이는 2020년 피해액에 비해 거의 두 배에 달한다.

존스 장관은 “이것이 바로 정부가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사기라는 암을 없애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전화사기 1).jpg (File Size:66.8KB/Download:10)
  2. 종합(전화사기 2).jpg (File Size:40.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6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5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4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3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2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1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5270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5269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8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7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6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5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4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5263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2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1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5260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9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5258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