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전화사기 1).jpg

2021년 한해에만 6만7,000건 이상의 사기성 문자메시지 신고가 접수된 가운데 호주 통신 미디어 당국(ACMA)은 이동통신사들에게 이와 관련한 새 규정을 적용키로 했다. 사진 : Pexels / Charlotte May

 

지난해 호주인 사기 피해액 20억 달러 중 문자메시지 사기로 1천만 달러 손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 행각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호주 통신 미디어 당국인 ‘Australian Communication and Media Authority’(ACMA)가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새 규칙을 발표했다.

ACMA의 이 조치에 따라 모바일 통신사들은 이달 12일(화)부터 문자메시지 사기를 식별, 추적 및 차단하고 다른 모바일 공급사와 사기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은 물론 이를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호주공정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ACCC)에 따르면 지난해 갖가지 사기 행각에 의해 호주인들이 20억 달러 넘는 피해를 입은 가운데 문자메시지 사기에 의한 손실액은 1천만 달러에 이른다. ACCC의 사기 행각 신고 사이트인 ‘Scamwatch’ 데이터를 보면 2021년 한해에만 6만7,000건 이상의 문자메시지 사기 피해 사례가 접수됐다.

연방 통신부 미셸 로랜드(Michelle Rowland) 장관은 이번 새 규정이 사기범들의 비즈니스 모델에 혼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호주인들은 사기성 문자메시지를 받았거나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들었고, 또 얼마나 쉽게 함정에 빠질 수 있는지도 알고 있다”는 로랜드 장관은 “ACMA의 새 규칙은 사기범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방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은행계좌,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 비즈니스에 접근하려는 사기꾼들로부터 취약한 호주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신 제공업체는 ACMA의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최대 25만 달러의 벌금 처분을 받게 된다.

 

통신회사를 위한

사기방지 프로그램

 

문자메시지와 관련한 새 규정은 지난해 사기 전화로 인한 피해가 1억 달러에 이르자 ACMA가 이를 근절하기 위한 조치 후에 나온 것이다.

ACMA의 네리다 올로프린(Nerida O'Loughlin) 위원장은 문자메시지 규칙이 사기범들에게 전화사기 근절을 위한 조치와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말했다. “이는 사기 전화를 막기 위해 우리(ACMA)가 배치한 이전 코드의 도움을 받았기에 호주 소비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ACMA에 따르면 전화사기 방지를 위한 코드로 지난 16개월 사이 호주 소비자들에게 발생한 전화사기 시도는 이전에 비해 약 5억 건이 감소했다.

 

종합(전화사기 2).jpg

지난 2년여 동안 사기범들의 사기행각을 위해 시도한 문자메시지의 대부분은 COVID-19 대유행과 관련된 내용을 미끼로 한 것이었다. 사진 : Australian Cyber Security Centre

   

호주 통신회사연합(Communications Alliance)의 존 스탠턴(John Stanton) 회장은 “사기 전화 차단을 위한 조치가 취해진 이후 사기성 문자메시지 발송 문제가 더욱 악화되었다”면서 “(사기범들의) 이 같은 사기 시도가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막는 것은 간단한 과정이 아니다”고 말했다.

올로프린 위원장은 올해에만 이미 문자메시지 사기로 65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한 상황에서 우선순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사기범들은 매우 민첩하게 움직이므로 업계와 협력하여 그들보다 앞서지 않더라도 사기범들의 행각을 따라잡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로프린 위원장은 “사기행각이 호주인들의 삶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우려했다. 사기범들은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사기 행각으로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훔친 뒤 그들의 은행계좌에 접속하며, 이로써 소비자는 평생 저축한 자금을 한순간에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연방정부,

더 많은 규정 ‘준비 중’

 

전화 및 문자메시지 사기는 호주 소비자들이 ‘Scamwatch’에 가장 많이 신고하는 것 중 하나이지만 소셜 네트워킹, 전자메일 및 앱 사기로 인한 피해액도 매년 수억 달러에 달한다.

연방 금융서비스부 스티븐 존스(Stephen Jones) 장관은 “정부에서도 이런 문제를 잘 인식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규정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십 억 달러의 금전적 손실뿐 아니라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영향을 미친다”는 장관은 “경제적 이유도 중요하지만 호주인 개개인의 안전 또한 중요하다”는 말로 더 많은 조치가 있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ACCC는 사기범들이 특히 취약한 계층을 노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원주민, 장애인 및 다문화 커뮤니티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기범들이 전화 또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훔쳐낸 금액은 약 6,600만 달러로, 이는 2020년 피해액에 비해 거의 두 배에 달한다.

존스 장관은 “이것이 바로 정부가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사기라는 암을 없애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전화사기 1).jpg (File Size:66.8KB/Download:8)
  2. 종합(전화사기 2).jpg (File Size:40.3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77 호주 라이드 지역구 빅터 도미넬로 의원, 은퇴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5976 호주 ‘쉐어하우스’ 세입자들, 겨울 시즌 하루 17시간 ‘최저 건강온도’에서 보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5975 호주 전염병 대유행 이후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 돕는 인터넷 사이트,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74 호주 호주 최고의 엔터테이너 중 하나인 주디스 더엄씨, 7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73 호주 생후 6개월-5세 사이 취약 영유아 대상으로 COVID-19 백신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72 호주 NSW 주의 ‘포커머신’ 도박자들, 지난 30년간 1,35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71 호주 인플레이션 상승-실질임금 하락했으나 일부 기업 이익은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70 호주 전염병 대유행 이후 진단 지연됐던 말기환자 치료 수요,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69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위축됐지만... NSW 주 지방 지역 주택가격 ‘지속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68 호주 호주, “비자발급 지연으로 해외 재정 관련 전문인력 유치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67 호주 NSW 주 정부, 일선 가정-성폭력 지원 단체에 추가 기금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66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일반 및 재활용 폐기물 분리 수거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5965 호주 알바니스 총리,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 관련 ‘국민투표’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64 호주 호주 어린이들의 새 영웅으로 부상한 원주민 소녀 전사 ‘와일라’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6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포인트 또 인상, 4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62 호주 가계생활비 부담 크게 증가... 호주 중앙은행은 이를 어떻게 대처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61 호주 항체 관련 혈액검사... 호주 성인 COVID-19 감염 비율 최소 46%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60 호주 NSW 교육부, 초등학교 내 방과 전후 돌봄 서비스 확충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59 호주 호주 물가상승률 6.1%로 치솟았지만... “최고점 지나고 있다”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58 호주 6월 분기 시드니-멜번 중간 주택가격, 2019년 초반 이후 처음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5957 호주 전례 없은 ‘주거 위기’ 속, 호주 전역의 빈 주택 수 100만 채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6 호주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인한 한 개인의 ‘잔혹하게 현실적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5 호주 올 하반기의 호한경제협력위원회 회의, 핵심은 ‘녹색 에너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4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3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2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1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50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9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8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7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6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5945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4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3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2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1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40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9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8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593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3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592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