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Salvation Army).JPG

호주 구세군(Salvation Army)이 금주 월요일(16일) 주요 연례행사 중 하나인 ‘Red Shield Appeal’을 발표했다. 라이카트(Leichhardt) 소재 ‘MultiConnexions’ 사에서 진행된 론칭에서 지역개발부 피오나 내쉬(Fiona Nash) 장관, 주요 후원사인 ‘MultiConnexions’ 사 아사프(Assaf) 대표, 구세군 지역 다문화 본부 넷산 키스탄(Nesan Kistan) 대령 등 관계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오는 5월28-29일... 어려운 이웃 지원 위한 모금

 

호주 구세군(The Salvation Army)이 금주 월요일(16일) 주요 연례행사 중 하나인 ‘Red Shield Appeal’을 발표했다.

이는 동 기관이 매년 시행하는 기금 모금 행사로, 사회적 혜택에서 소외된 빈민, 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자선사업 일환이다.

이날 호주 구세군은 올해 기금 목표액 7천400만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지역사회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매년 5월 마지막 주말을 기해 모금 활동을 벌이는 구세군은 올해에도 오는 28-29일(토-일요일) 양일간 각 가정을 돌며 모금활동을 전개한다. 이날 모금활동 자원봉사자는 구세군 뱃지를 착용하고 각 가정을 직접 방문, 희망의 기금을 모으게 된다.

라이카트(Leichhardt) 소재 ‘MultiConnexions’ 사에서 진행된 이날 론칭에는 연방 지역개발부 피오나 내쉬(Fiona Nash) 장관을 비롯해 구세군 지역 다문화부 담당 넷산 키스탄(Nesan Kistan) 대령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지역 다문화 본부 키스탄 대령은 “호주 구세군이 다문화 지역사회에 확고하게 자리잡은 것은 ‘Red Shield Doorknok’ 모금 활동에 시간을 봉사하고 성금을 기부하는 호주 대중의 지원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감사를 표했다.

지난 20년간 이 행사의 주요 스폰서로 참여해 온 ‘MultiConnexions’ 사의 조셉 아사프(Joseph Assaf) 회장은 “호주 구세군과 오랜 인연을 맺어온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Red Shield Appeal’ 모금 행사의 핵심 지원자 중 하나이기도 한 아사프 회장은 20년 전 인연을 맺은 이래 적극적으로 이 활동을 이끌어왔다.

그는 “구세군은 출신 국가와 상관없이 모두를 위한 군대”라면서 “종교, 문화적 배경을 막론하고 지역사회의 경계를 넘어 어려운 이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실제로 그런 활동을 하는 구세군이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호주 구세군이 다문화 사회를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노숙자 지원 △여성과 어린이 서비스 △Moneycare를 통한 재정 상담 △중독재활 서비스 △Salvos Legal Humanitarian을 통한 법률 지원 △영어 및 운전 강습 △기타 서비스 등이 두루 포함되며 오는 5월 28-29일 ‘Red Shield Appeal’에서 모아진 기금은 이 같은 서비스에 충당된다.

한편 구세군 한인교회를 통해 이날 자원봉사를 희망하는 이들은 벨모어 소재 교회(286 Burwood Rd, Belmore)로 오전 9시까지 가면 된다. 교회 측은 약 15분간의 교육을 실시한 후 인근 지역에서 3시간의 모금활동을 할 수 있다. 참여한 봉사자에게는 봉사활동 증명서(Certificate)가 발급된다(문의 김환기 사관 / 0432 765 722).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Salvation Army).JPG (File Size:49.5KB/Download:3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7 호주 NSW, ‘강압적 통제’를 ‘범죄’로 명시한 법안 통과... 정부관할 구역 중 최초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56 호주 시드니 시티, 2025년 중반까지 야외 테이블 설치, ‘무료 허용’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55 호주 저소득 계층-이민자-태평양 도서민들... 팬데믹 사태의 가장 큰 희생자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54 호주 캔터베리 지역 예술가들이 모색한 ‘불확실성 시대에서 찾은 기쁨’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3 호주 NSW 주 정부, 구직 사이트 ‘Seek’와 공조해 유학생 일자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2 호주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공공건물, NSW 주 의회 의사당 200년의 이야기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1 호주 “이제는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tree-changer’들의 도시 탈출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0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9 호주 가계 생활비 부담? “초과시간 근무 보상으로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8 호주 호주인들, “여행 계획에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여행업, 빠르게 회복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7 호주 올해 연방선거의 새 바람 ‘teal’, ACDC의 ‘올해의 단어’에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6 호주 본다이에서 바이런으로... 광역시드니 부유 교외지역 인구, 점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5 호주 CB 카운슬의 새 도시계획, ‘Australian Urban Design Awards’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4 호주 NSW 주 반려견들, “보다 공격적”... 무책임한 사육자-COVID 상황서 기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3 호주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아직 견고하지만... 생활비 상승에는 여전히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2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1 호주 시드니, 전 세계 172개 도시 중 ‘생활비 가장 높은 도시’ 열 번째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0 호주 NSW 주 정부 ‘농업관광’ 관련 규제 완화... 농장주들, 추가 수입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9 호주 주택시장 침체 1년... 내년에는 가격 오를까? “답은 이자율에 달려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8 호주 영어 외 언어로 된 구인광고 절반 이상의 제시 급여, 최저임금에 못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