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음주폭행사건).jpg

NSW 주 경찰청 범죄통계조사국의 시드니 도심 폭력발생 집계 결과 대표적 유흥업소인 킹스크로스(Kings Cross) 지역의 허가된 주류 업소에서의 폭력사고 발생은 지난 2년간 30%가량 줄어들었다. 사진은 킹스크로스의 한 거리 풍경.

 

NSW 범죄통계조사국 집계... 정부 강력 대책으로

 


지난 2년 사이 시드니 도심과 킹스크로스(Kings Cross) 지역 주류 판매 허가업소에서의 폭력사고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NSW 범죄통계조사국(Bureau of Crime Statistics and Research)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킹스크로스 지역의 펍(Pub)아니 클럽(Club)에서의 폭력사고는 30% 가량, 시드니 도심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지역 15%, 그리고 주 전체적으로 유흥업소에서의 폭력사고는 6%가 감소했다.

 

시드니 지역의 대표적 유흥지역인 킹스크로스에서의 폭력사고가 감소한 것은 주 정부가 시행한 새로운 법 시행 및 최근 킹스크로스 지역의 주류제공 제한 조치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범죄통계조사국의 돈 웨더번(Don Weatherburn) 박사는 이 같은 범죄 수치에 대해 얼마 전부터 향상된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NSW 주의 폭력사건 발생 흐름을 보면 지난 2008년까지는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이후부터는 꾸준히 감소해 왔다”면서 “특히 주류 허가업소에서의 감소가 두드러진다”고 설명했다.

 

NSW 경찰청의 앤드류 사이피오네(Andrew Scipione) 청장은 이 같은 범죄수치 하락에 대해 “경찰이 폭력 및 지나친 음주에 대해 강력히 단속한 데서 기인한다”고 말했다.

 

사이피오네 청장은 “경찰의 과제는 어디서든 폭력발생을 저지하는 것”이라면서 “우리(경찰)는 지속적으로 음주 관련 폭력 예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술 취한 이들이 다른 이들에게 위해를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음주 관련 폭력사건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가정폭력은 2.5%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피오네 청장은 “부모가 자녀 폭행하거나 성장한 자녀가 부모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등 가정폭력 그 자체에 대해 무거운 책임이 부과될 것”이라며 “가정폭력 피해 당사자는 더 이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경찰에 꼭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37 호주 1995년 발행 ‘$5’ 희귀지폐 있으면... 일단 보관하시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36 호주 높은 생활비 압박 불구하고 더 많은 호주인들, ‘개인의료보험’ 가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35 호주 City of Canterbury Bankstown, 연례 ‘Meals on Wheels’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12.14.
5134 호주 부동산 개발자 등의 지방의회 의원 출마 ‘금지’ 관련 논쟁 ‘재점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33 호주 NSW 주에서 허용된 ‘voluntary assisted dying’, 그 적용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32 호주 기록적 인구 증가-높은 주택 임대료-인플레이션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31 호주 광역시드니 3분의 2 이상 교외지역 단독주택 가격, 1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30 호주 일부 도시 외 주택가격 ‘안정’ 추세, 아파트 임대료는 지속적 ‘상승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29 호주 미환급 ‘메디케어’ 혜택 2억3,000만 달러... 환자 은행정보 ‘부정확’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28 호주 Sold to the university... 대학들, 국제학생 에이전트에 1억 달러 이상 지불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27 호주 RBA, 내년 2월 통화정책 회의까지 현 4.35%의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26 호주 ‘Shockingly poor’... 호주 학교들의 과학 커리큘럼 학업성과 ‘실패’ 원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5125 호주 향후 40년 사이 호주인구 4천 만 명 넘어설 듯... 멜번, 최대 도시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24 호주 사이버 범죄자들, ‘가짜’ 은행 로그인 페이지 유포... 금융정보 빼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23 호주 생활비 압박 반영한 ‘Cozzie Livs’, 매콰리 사전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22 호주 2021 센서스 자료 분석, 시드니 주택 4분의 1 이상 ‘여분의 침실’ 2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21 호주 호주에서 가장 복잡한 지하 교차로, ‘Rozelle Interchange’ 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20 호주 시드니 일부 유명 사립학교, 내년도 학비 인상 전망... 최대 9%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19 호주 시드니의 크리스마스 트리, “뉴욕 록펠러 센터의 그것에는 없는 ‘뭔가’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5118 호주 RBA가 우려하는 호주의 생산성 둔화, 단지 근로자의 게으름 때문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