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공사 피해 1).jpg

시드니 도심 경전철 공사가 지연되면서 공사 구간 소매업체들이 영업부진을 하소연하는 가운데, 올해 크리스마스 시즌 대목 또한 작년처럼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숨짓고 있다. 사진은 서리힐(Surry Hills)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엠마누엘 찌르찔라키스(Emanuel Tzirtzilakis)씨. 그는 경전철 공사 개시 후 매출이 30% 이상 감소했다고 말했다.

 

경전철 공사로 인한 매출 부진, 암울한 두 번째 X-mas...

 

시드니 도심 지역 교통란 해소 방안의 일환으로 주 정부가 추진한 도심 경전철 라인 공사가 지난 2015년 10월 시작된 이래 공사 구간의 도로 폐쇄, 소음 등으로 해당 지역 소매상들이 매출 부진으로 한숨짓고 있다.

경전철 라인이 확정된 지역은 시드니 도심 가운데서도 최고의 상권을 보이던 곳이며, 이에 따라 소매점 임대료 또한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그런 반면 경전찰 라인 공사로 보행이 통제되거나 보행자를 위한 임시 보도가 마련되었다고는 하지만 공사장의 소음으로 손님이 끊겨 매출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주 교통부가 애초 계획했던 것보다 공사 기간이 연장되면서 해당 지역 소매점 가운데는 줄어든 매출을 감당하지 못한 채 업소를 폐쇄하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전철 라인 공사가 시작된 이후 세 번째 크리스마스 ‘대목’을 앞둔 소매점 운영자들의 한숨은 올해 더욱 깊어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시드니 도심 경전철 라인은 서큘라키(Circular Quay)에서 킹스포드(Kingsford)까지 12킬로미터 길이로, 현재 각 구역별로 공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도심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 상의 소매점들이 가장 큰 영업부진을 겪고 있다.

NSW 교통부가 애초 밝힌 주요 구역 공사 계획 가운데 조지 스트리트는 가장 먼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으로, 2015년 공사를 시작한 이후 2016년 8월 첫 보행자 블록 공사를 완료하고 8개월 뒤인 2017년 5월 마지막 보행자 블록 공사를 마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도중에 공사가 지연되면서 소매업소들은 장기화된 매출 부진을 견디기 힘들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종합(공사 피해 2).jpg

시드니 도심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 상의 경전철 공사 구간들. 주변 업소들은 내년에도 영업부진을 초래한 이 공사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며 울상 짓는다.

 

종합(공사 피해 3).jpg

퀸 빅토리아 빌딩(Queen Victoria Building) 앞의 공사 현장. 통행자 안전을 위한 가림막을 설치하고 ‘내일’의 변화된 시드니를 알리는 광고 현수막을 걸어두었지만 매출감소로 고통 받는 소매업들 입장에서는 당장 ‘오늘’이 걱정이다.

 

도심 킹 스트리트(King STreet)와 마켓(Market) 스트리트 사이, 조지 스트리트 구간에 자리한 소매업체들은 애초 지난해 8월 끝내기로 했던 공사가 아직까지 지연되면서 매출부진으로 인한 타격을 감수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지난해 연말 대목을 망친 이들은 올해 크리스마스 시즌을 기다렸지만 이마저 기대하기 어렵다며 울상을 짓고 있다.

이곳의 ‘줄리크’(Jurlique) 화장품 소매업체 매니저 엘리 유(Ellie Yu)씨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도로상의 보행자 감소로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녀는 “올해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매출은 더욱 악화됐다”며 “올해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영향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도심의 소매업체들은 특히 시드니사이더 고객뿐 아니라 특히 급증한 아시아 여행자로 인한 특수도 전혀 없다고 울상이다. 공사 현장의 소음과 먼지, 통행 상의 불편 등으로 여행객들이 아예 도심으로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경전철 공사가 진행되는 지역의 소매업체 영업 타격은 비단 도심만이 아니다. 공사 과정이 복잡한 도심 외 지역, 서리힐(Surry Hills) 등 또한 상당한 진척이 이루어졌으나 이 구간들 역시 애초 계획보다 늦어져 소매업체들의 타격은 마찬가지이다.

현재 31개 공사 구간 중 7개 구간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상태이지만 선로 작업이 완료되었다 해도 도로포장이나 도로 경계선(kerb) 작업이 남아 있다.

조지 스트리트 상의 핵심 구간 중 하나인 퀸 빅토리아 빌딩(Queen Victoria Building. QVB) 맞은편의 다운타운 선물점(Downtown Souvenirs)은 경전철 공사가 시작된 이후 매출이 40% 넘게 감소했다. 그런 상태로 현재까지 2년여를 버티고 있는 것이다.

QBV에 있는 보석 영업장인 ‘Martin & Stein’ 사의 한 관계자는 조지 스트리트 동쪽과 서쪽이 차단되어 손님들의 발길이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이 업소 운영자인 애너미 스타인(Annemie Stein)씨는 “QBV 앞 공사가 이달 끝난다고 하지만 실제로 공사가 마무리될런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리힐에서 ‘Ouroboros Wholefoods’라는 이름의 카페를 운영하는 엠마누엘 찌르찔라키스(Emanuel Tzirtzilakis)씨는 경전철 공사가 시작된 이후 카페 앞에 파인 커다른 웅덩이로 인해 손님들의 발길이 크게 줄었다. “공사 시작 이후 매출이 30% 넘게 줄었다”는 그는 “저 웅덩이를 보며 ‘그랜드 캐니언’이라 말한다”고 했다. 건널 수 없는 거대한 협곡을 만들어 손님들이 카페로 들어오지 않는다는 얘기다.

시드니 경전철 컨소시엄인 ‘ALTRAC’은 애초 내년 4월 모든 공사를 완료하고 6월 경전철 시험 운행을 실시한다는 계획이었다. ‘ALTRAC’ 측은 “공사를 시작하면서 상당한 어려움이 발견됐고 이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알려왔다”면서 “경전찰 라인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현재까지 당초 예상하지 못했던 1천400여 건의 새로운 처리작업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NSW 주 교통부는 “공사 구간의 비즈니스 업체 확인, 이들 업소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간판과 전화번호 들을 안내하는 등 건설현장 주변 업소들의 영업 활성화를 유지코자 노력해 왔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시드니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 시의원이자 조지 스트리트 상에서 ‘VIVO’ 카페를 운영하는 안젤라 비둘카스(Angela Vithoulkas)씨는 “이 지역 스몰 비즈니스 업주들이 원하는 것은 아주 간단하다”며 “그것은 ‘언제 공사가 마무리 되는가’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내 입장에서도 세 번째의 우울한 크리스마스가 될 것”이라며 “아직도 공사는 끝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종합(공사 피해 4).jpg

시드니 도심 경전철 라인 맵.

 

■ 당초 시드니 경전철 주요 공사 일정

-2015년 9월 : 무어파크 웨스트(Moore Park West) 공사 준비

-2015년 10월 : 도심 지역 공사 시작

-2016년 1월 : 랜드윅(Randwick) 역 작업 시작

-2016년 2월 : 킹스포드(Kingsford) 역 작업 시작

-2016년 8월 : 서리힐 지역 작업 시작

-2016년 9월 :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 상의 첫 보행자 블록 완료

-2017년 5월 :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 상의 마지막 보행자 블록 완료

-2017년 9월 : 엘리자베스 스트리트(Elizabeth St)에서 찰머 스트리트(Chalmers St) 구간의 마지막 구간 작업 시작

-2017년 9월 : 경전철 차량, 시드니 도착

-2018년 4월 : 도심 도로 구간 작업 완료. 단 차량 운행을 위한 전기 시스템, 경전철 역 건설작업 계속.

-2018년 6월 : 경전철 운행 시험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공사 피해 1).jpg (File Size:61.8KB/Download:23)
  2. 종합(공사 피해 2).jpg (File Size:73.1KB/Download:27)
  3. 종합(공사 피해 3).jpg (File Size:65.5KB/Download:20)
  4. 종합(공사 피해 4).jpg (File Size:69.7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3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3분기 낮은 경매율, “둔화 조짐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6 호주 NSW 주 정부, 이너웨스트 대중교통 개선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5 호주 스트라스필드 광장서 ‘음식과 재즈’ 이벤트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4 호주 ‘사커루’의 러시아 월드컵 ‘플레이오프’ 경기일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3 호주 NBN 기반의 인터넷-무선전화 소비자 불만,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2 호주 ‘2017 HSC’ 시험 시작, 학생들 ‘고군분투’ 모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1 호주 시드니 ‘공유자전거’ 시스템 도입 3개월... ‘난관’ 봉착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30 호주 “고령 근로자 고용 차별, 호주 경제성장 저해 초래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29 호주 <Lincoln in the Bardo> 작가 선더스, 올해 ‘맨부커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28 호주 ‘기부 천사’ 빌 게이츠, 거액 기부로 ‘최고 부자’ 자리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27 호주 Top 10 drives around the Northern Territory(2)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26 호주 웨인스타인 성추행 파문? “헐리우드만의 문제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25 호주 정부 보조금 수혜 자료에서 드러난 ‘가난의 대물림’...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 호주 시드니 도심 소매업자들, 크리스마스 앞두고 ‘한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3523 호주 “일요일 근무수당 삭감 조치 존속” 톱뉴스 17.10.19.
3522 호주 <10.15 NSW주 보궐선거>국민당, 힘겹게 지역구 수성…지지율 크게 이탈 톱뉴스 17.10.19.
3521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에 북한 ‘반발’…호주, 북한 위협 일축 톱뉴스 17.10.19.
3520 호주 대입 지망 해외 유학생 영어 요건 강화 톱뉴스 17.10.19.
3519 호주 북한 위협 ‘호주 정조준’… 호주정부 “북한 압박 가중할 것” 톱뉴스 17.10.19.
3518 호주 <뉴스폴>자유당연립-노동당 지지율 “정체’ 톱뉴스 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