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초 이래 처음, 호스피스 케어 발전이 한 몫
 

hospice.jpg
▲ 1900년대 초 이래 처음으로 병원보다는 집에서 생을 마감하는 미국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1900년대 초 이래 처음으로 병원보다는 집에서 생을 마감하는 미국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스피스 케어와 관련한 개선 사항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에이피통신>이 11일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리포트를 토대로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집에서 사망하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양로원의 사망률도 낮아졌다.

베테랑스 어페어 보스턴 헬스케어 시스템(Veterans Affairs Boston Healthcare System)의 하이더 와라히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여긴다. 와라히 박사는 지난 세기에 걸쳐 죽음이 지나치게 의학화됐다고 지적했다.

현재 멕시코에 살며 여행 가이드 일을 하고 있는 베시 맥네어라는 남성은 2009년 자신의 아버지가 폐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이후 6주 동안 버지니아주에 있는 아버지의 집에서 생을 마감하도록 도운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멕네어는 “아버지의 인생 막바지 삶의 질이 높았다”며, “새벽 2시에도 커피와 파이 등 자신의 아버지가 먹고 싶은 것을 만들어 주었고, 매일 밤 스카치를 원하면 자신의 뜻대로 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와라히 박사와 듀크대 대학원생인 사라 크로스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사고나 살인 사건이 아닌 자연사 사망에 대한 정부 건강 통계를 사용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이 기간 동안 병원 사망 비율은 40%에서 30%로, 요양원에서 발생한 비율은 24%에서 21%로 감소했다. 반면 가정에서의 사망률은 24%에서 31%로 증가했다. '가정'에는 생활 보조 센터도 포함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젊은층, 여성, 흑인을 포함한 소수 인종 그룹은 고령층, 남성, 백인 그룹에 비해 집에서 사망할 확률이 더 적었다. 또 암 환자들은 집에서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치매 환자는 양로원에서 그리고 폐질환자는 병원에서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제로 맥네어는 질병의 종류가 사망 장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을 몸소 경험했다. 그는 아버지 외에도 50대에 루게릭병으로 숨진 오빠와 오랜 건강 악화 끝에 92세로 세상을 떠난 어머니의 요양원 케어를 도왔다. 그는 "모두 완전히 다른 경험이었다"면서 "때로 가정에서 가족을 돌볼 수 없을 때가 있다"고 말했다.

간호사인 앨리슨 비치라는 여성은 2016년 버몬트주 하인즈버그 자택에서 숨지기 전까지 3년간 보살폈던 어머니를 요양원 시설에 보내지 않기로 남편과 함께 결정하고, 이후 자신들의 삶을 재정비해야만 했다. 비치의 어머니는 시력 상실과 함께 낙상으로 고생하다 결국 91세에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비치는 당시 힘들었던 시간을 보낸 후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말기 환자 관리를 위한 특별 훈련을 찾게 됐다.

와라히 박사는 "하루만이라도 집에서, 개 주위에서, 침대에서 지내며 집 음식을 먹기를 원하는 환자들을 많이 만났다"며 홈 호스피스 서비스의 증가로 이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마지막 날을 보내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더 오래 살면서도 장애를 덜 겪는 것이 이상적인 만큼 홈 호스피스 케어에 더 큰 관심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75 미국 사반나 항만 역할 더 커지나? file 뉴스앤포스트 19.02.19.
1774 미국 켐프 주지사 취임 첫 서명한 법안은? file 뉴스앤포스트 19.02.19.
1773 미국 ‘온라인 부동산 회사’ 이용 고객이 늘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9.02.22.
1772 미국 마이애미 고교 총기난사 사건 1주년, 무엇이 달라졌나 코리아위클리.. 19.02.22.
1771 미국 올해 IRS 세금 환급액 낮아진다 코리아위클리.. 19.02.22.
1770 미국 발렌타인데이의 2월은 '하트의 달' 코리아위클리.. 19.02.22.
1769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 캐나다산 약품 수입하나 코리아위클리.. 19.03.02.
1768 미국 의료용 마리화나 식품, 플로리다에 들어올까 코리아위클리.. 19.03.02.
1767 미국 플로리다주 관광객 6년 연속 기록 갱신 코리아위클리.. 19.03.02.
1766 미국 반 전 유엔 사무총장 “마이애미는 기후변화 대응의 훌륭한 모델” 코리아위클리.. 19.03.02.
1765 미국 아깝지만 과감히 버려야 할 물건들 코리아위클리.. 19.03.02.
1764 미국 ‘너무 일찍 승리를 확신한 트럼프’ 러신문 file 뉴스로_USA 19.03.07.
1763 미국 올랜도 지역 12개 식당 미국 ‘우수 식당’에 올라 file 코리아위클리.. 19.03.08.
1762 미국 클리어워터 비치, 미국 ‘베스트 비치’ 1위 차지 코리아위클리.. 19.03.08.
1761 미국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 버스, 올랜도 거리를 누빈다 코리아위클리.. 19.03.08.
1760 미국 올랜도 'I-4도로'가 ‘운전하기 좋은 도시’ 3위? 코리아위클리.. 19.03.08.
1759 미국 2018년 미국 최고의 대형 소매업소는? 코리아위클리.. 19.03.08.
1758 미국 북미대륙 서머타임..한국과 시차 1시간줄어 뉴스로_USA 19.03.10.
1757 미국 “트럼프, 북한과의 최상협상 결렬시켜’ NPR file 뉴스로_USA 19.03.11.
1756 미국 플로리다 팬핸들 지역에서 진도 2.6 지진 발생 코리아위클리.. 19.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