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당국자 "코로나 백신 준비 안돼 개학 불투명"
 
fde.jpg
▲ 보건 당국자가 미국 학생들의 가을학기 개학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반하는 입장을 보였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교육부가 학교 재개에 대한 학부모 의견을 조사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웹사이트 화면 모습.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보건 당국자가 미국 학생들의 가을학기 개학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반하는 입장을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콜로라도와 노스다코타 주지사를 접견하면서 "여러분들이 반드시 학교들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학생들의 등교 시점을 제시했다.

현재 미국의 학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방역을 위한 지역별 봉쇄 조치의 일환으로 문을 닫든 상태에서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고, 온라인 방식 등으로 원격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새 학년도를 시작하는 시점에 맞춰 "학교를 안전하게 열고 싶고, 가능한 빨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학교가 닫혀있는 상태로는 우리나라가 다시 돌아올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강조한 것은 코로나 사태 이후 경제ㆍ사회활동을 정상화하는데 학교가 중요하다는 점을 짚은 것이다. 하지만 바로 전날인 12일 앤서니 파우치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NIAID) 소장이 상원 청문회에서 한 말에 대한 반박이기도 하다.

파우치 소장은 청문회에서 학생들이 다시 등교하는데 신중한 입장을 밝히면서 "어린 학생들의 감염 위험이 여전하다"고 경고하고 "새 학년도가 시작될 시점에도 코로나 백신은 준비되지 않을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말했다. 특히 "어린이들은 완전히 면역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워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답변이 아니다"면서 "파우치는 좋은 사람이지만 학교 문제에 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교를 다시 여는 권한은 각 지역 당국에 있기 때문에 연방정부가 강제조치를 할 수는 없다. 실제 지역 정부들은 가을에 개학할 수 있을지 부정적인 기류가 나타나고 있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올가을 개학 가능 여부를 아직 모른다고 13일 밝혔다. 다른 곳들도 비슷하다. 테네시주 출신인 라마 알렉산더 공화당 상원도 마찬가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보건ㆍ교육ㆍ노동ㆍ연금 위원장이 지역구 사정을 언급하면서 "테네시 대학교 학생과 교직원들이 가을 학기에 다시 교정에 나오도록 하기에는 아직 (바이러스) 검사 수준이 못 미친다"고 말했다.

한편, 19일 오전 현재 미국은 전체 확진자 155만 명에 사망자 9만 2천 여 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5 미국 노엄 촘스키 ‘북미정상회담 지지연대성명’ file 뉴스로_USA 18.06.23.
1974 미국 '뷰티풀 사라소타', 노숙자 살기엔 '최악'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3.
1973 미국 "미국은 북의 체제보장, 북은 비핵화로 화답한 윈윈 했다" 코리아위클리.. 18.06.24.
1972 미국 '위민크로스 DMZ', 200백만 불 상금 받아 코리아위클리.. 18.06.24.
1971 미국 틱(Tick), 올해 더 많아진다 … 야외활동시 주의 KoreaTimesTexas 18.06.24.
1970 미국 밀입국 부모-자녀 ‘생이별’, 6주만에 철회 KoreaTimesTexas 18.06.24.
1969 미국 “북미회담 지지요청” 美상하원 의원에 로비 뉴스로_USA 18.06.25.
1968 미국 한반도평화기원 ‘위민크로스’ DMZ 2백만달러 상금 화제 file 뉴스로_USA 18.06.25.
1967 미국 데이토나비치 인근서 5백여명 해파리에 쏘여 코리아위클리.. 18.06.28.
1966 미국 론 데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후보, 트럼프 지지 받아 코리아위클리.. 18.06.28.
1965 미국 연방 대법원, 온라인 업체에 판매세 부과 인정 코리아위클리.. 18.06.28.
1964 미국 넬슨 vs 스캇, 연방상원자리 놓고 박빙 경쟁 코리아위클리.. 18.07.05.
1963 미국 마이애미-올랜도간 고속열차, 탬파까지 이어지나? 코리아위클리.. 18.07.05.
1962 미국 김정은위원장 유엔총회 연설할까 file 뉴스로_USA 18.07.05.
1961 미국 중앙플로리다 지역 말 뇌염(EEE) 모기 주의보 코리아위클리.. 18.07.13.
1960 미국 플로리다 새 회계연도 시작, 무엇이 달라졌나 코리아위클리.. 18.07.13.
1959 미국 몇십 센트 아끼기 위해 별난 짓 다하네! 코리아위클리.. 18.07.13.
1958 미국 플로리다 해수면 상승, 30년내 프로퍼티 40% 침수 위험 코리아위클리.. 18.07.13.
1957 미국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차별 협박 file 뉴스로_USA 18.07.15.
1956 미국 올랜도에 새 지역 전화번호 생긴다 코리아위클리.. 18.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