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국 올해 3번째 기준 금리 인하

 

6.png

(사진=scmp)

 

홍콩 통화국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발표에 따라 기준 금리를 2%로 0.25% 포인트로 인하했다. 지난 8월과 9월에 이어 올해 세 번째 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이에 홍콩 3대 통화 발행 은행 중 두 곳인 HSBC와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도 11년 만에 우대 금리를 인하했다.

 

HSBC는 “홍콩 최대 상업은행으로써 홍콩 기업들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 금리 인하 수준은 미미하지만 기업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고 개인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HSBC는 11월 1일부터 우대 대출 금리를 5.125%에서 5%로 인하했으며 이는 2008년 이후 11년여 만이다. HSBC는 미 달러 예금 금리 또한 0.10%에서 0.001%로 인하했다. 한편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도 11월 1일부터 우대 금리를 0.125% 포인트 인하해 5.25%로 낮췄으며 홍콩 달러 예금 금리도 0.001%로 인하했다.

 

홍콩 통화정책은 1983년에 페그제를 도입한 이후 미국 통화정책을 따르고 있으며, 자체 통화 정책에 따라 인플레이션이나 부동산 가격을 통제할 수 없다.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홍콩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자 해외로부터 1,130억 미 달러 상당의 자본이 홍콩으로 유입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과열 현상을 보였다. 이후 10여년 동안 부동산 가격이 치솟으면서 홍콩 부동산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비싼 도시가 되었다.

 

에디 웨(Eddie Yue) 통화국 국장은 “홍콩 달러 환율이 아직 안정적이며 대규모 자본 유출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금리 인하 조치가 홍콩 부동산 시장 과열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홍콩 부실 대출 비율이 약 0.56%로 낮은 수준이며 부동산 가격이 시위가 발발한 5월 이후 4 ~ 5% 하락했다. 그러나 최근 2주 동안 중고 부동산 시장 거래가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홍콩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약 40억 미 달러가 홍콩에서 자본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중 무역전쟁과 반정부 시위로 인한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통화국은 8월부터 기준 금리를 총 0.75% 포인트 인하했다. 반정부 시위로 홍콩 방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호텔, 요식업, 소매가 큰 타격을 받았다. 통화국은 주요 은행들은 시위로 타격받은 홍콩 경제 침체 속에서 중소기업들을 지원할 재정적 구제책 마련에 나서기도 했다. 통화국은 ‘경기대응 완충자본’(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CCB) 비율을 기존 2.5%에서 2.0%로 0.5% 포인트 낮춰 약 3천억 홍콩 달러의 유동성이 공급했으며 은행은 중소기업들의 대출 심사를 완화했다.

 

금리 인하는 투자자들의 주식 매수 자금 대출 금리와 은행 간 금리인 하이보(hibor) 하락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토미 옹(Tommy Ong) DBS 은행 전무는 “주택 담보 대출 시장 경쟁으로 일부 소규모 은행들만 우대 금리를 인하할 수 있지만, 대부분 상업은행들은 지금의 5.125% ~ 5.375% 사이의 우대 금리에서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홍콩 정부는 3분기 경제 성장률을 전년 대비 0.6% 하락을 예상했으며 2분기의 경우 0.4% 하락했다. 2분기 및 3분기 연속 경제 성장률 하락으로 홍콩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11년 만에 기술적 경기 침체에 빠졌음을 의미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634.3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53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52 홍콩 대규모 코로나 무료 검사, 적절한 검체 채취법 채택 중요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51 홍콩 비접촉 결제 선호 흐름에 영세업 가맹점 유치 경쟁 치열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50 홍콩 Covid-19 장기화에 짙어지는 ‘코로나 블루’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49 홍콩 최신 주차장 공급 제안에 전문가 ‘단기적 해결 안 돼’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48 홍콩 Covid-19발 경제 불확실성으로 국제 금값 36% ‘껑충’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47 홍콩 선전 ‘홍콩 금융 기관에 시장 개방’ 청사진 공개 file 위클리홍콩 20.08.11.
546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3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45 홍콩 Covid-19 사태로 재조명받은 블루칼라의 열악한 근무환경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44 홍콩 홍콩 경제 성장 –6% ~ -8%로 또 하향 조정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43 홍콩 7월 상업 부동산 임대 계약 95%, 저렴한 외곽지역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42 홍콩 美, 홍콩산 제품 ‘메이드 인 차이나’ 표기 의무화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41 홍콩 공과금 과다 청구 횡포에도 불만 신고 ‘소극적’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40 홍콩 올해 대학 합격률 사상 최고 file 위클리홍콩 20.08.18.
539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8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8.25.
538 홍콩 고급 부동산 자산 처분하는 중국인 증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537 홍콩 비자 지연에 홍콩 취업 예정 외국인 ‘골머리 앓아’ file 위클리홍콩 20.08.25.
536 홍콩 중소기업 42%, 정부 지원 없이 6개월 이상 생존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
535 홍콩 상업 부동산, 담보인정비율 40% → 50%로 확대 file 위클리홍콩 20.08.25.
534 홍콩 7월 실업률 6.1%, 상승세 꺾였지만 아직 안심 못 해 file 위클리홍콩 20.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