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노동절(Labor Day) 연휴가 있는 지난 주말(29일) 시드니 경매는 적은 매물이 등록돼 경매가 진행됐지만 낙찰 가격은 이전과 달리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도심 인근, 로젤(Rozelle)의 레드라이온 스트리트(Red Lion Street) 상에 자리한 5개 침실 주택 내부.

 

크로우스네스트 2침실 주택, 잠정 가격서 20만 달러 이상 올라

 

NSW 주 노동절(Labor Day) 휴일이 들어 있는 지난 주말(29일), 시드니 경매는 이전 주에 비해 적은 매물이었지만 낙찰 가격은 다소 오름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시드니에서 인기 높은 주거 지역의 매물들 대부분은 잠정 가격을 훌쩍 넘겨 거래가 이루어져 눈길을 끌었다.

이날 크로우스네스트(Crows Nest)의 한 주택 경매는 입찰자들의 경쟁으로 가격 상승이 빠르게 이루어졌다. 아치슨 스트리트(Atchison Street) 상의 이 주택은 149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돼 7명의 입찰자들이 1만 달러, 5천 달러씩 가격을 제시하면서 금세 178만 달러에 달했고, 이어 2명의 입찰자가 1천 달러씩 입찰가를 내놓은 끝에 180만3천 달러에서 거래가 이루어졌다.

새 주인이 된 사람은 투자은행가인 미첼 세지윅(Mitchell Sedgwick)씨와 그의 파트너인 마케팅 매니저 엠마(Emma)씨였다. 현재 해외 체류 중인 그는 자신을 대신해 경매에 입찰, 부친 주택을 차지한 그렉 세지윅(Greg Sedgwick)씨에 고마움을 전했다.

세지윅씨 부부는 올 들어 시작된 주택시장 둔화가 내집 마련의 좋은 기회라고 생각, 지난 6개월 동안 구입할 주택을 찾던 중이었다. 그는 “예상했던 것보다 좋았으며 이런 주택이 자주 시장에 나오는 것이 아니기에 앞으로 5년 후면 이 주택에 투자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2개의 침실을 갖고 있는 이 주택은 43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것으로, 매물로 내놓은 소유주 피터 바일(Peter Vike. 83)씨에 따르면 지난 1975년 3만6,500달러에 구입한 주택이다. 바일씨는 “이 주택을 구입한 뒤 43년 동안 여기서 살았지만 이제는 나이가 많아 혼자서 관리하기가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매매를 진행한 ‘Forsyth Real Estate’ 사의 릭 다미코(Rick D’Amico) 에이전트는 “이 주택이 매물로 등록된 이후 130명 이상이 인스펙션을 했다”면서 “예비 구매자들이 이 주택의 시장 가치를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고 말했다.

경매를 맡은 제임스 프랫(James Pratt) 경매사는 “크로우스네스트 주택 경매 결과는 주택시장이 다시 예전의 강세를 회복해가는 징조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많은 예비 구매자들이 인스펙션을 했고, 경매 당일에도 이전과 달리 여러 입찰자가 있었으며 입찰가격 제시가 빠르게 진행되었음은 물론 높은 낙찰 가격을 보인 것이 그 배경”이라는 설명이다.

이 주택은 이날 시드니 전역에서 경매가 진행된 391채의 주택 중 하나로, 이날 저녁, ‘도메인 그룹’이 집계한 234채 주택의 낙찰률은 45%였다.

시드니 동부, 본다이전션(Bondi Junction)에 있는 헤리티지(heritage) 주택 또한 높은 거래 가격으로 화제가 됐다. 카운슬 스트리트(Council St) 상의 4개 침실을 가진 이 주택은 무려 70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것으로, 소유주가 사망하면서 경매 시장에 나온 것이었다.

230만 달러의 잠정 가격에 책정된 이 매물은 200만 달러에서 경재가 시작돼 처음에는 20만 달러의 입찰 가격 제시가 나온 이후 10만 달러, 5만 달러씩 가격이 올라 금세 270만 달러에 달했고 끝까지 입찰을 포기하지 않은 4명의 입찰자가 다시 10만 달러를 올려 280만 달러에 낙찰됐다. 이는 잠정 가격에서 무려 50만 달러가 오른 금액이었다.

매매를 맡은 ‘Ray White Woollahra’ 사의 클래이 브로디(Clay Brodie) 에이전트는 “경매를 지켜본 모든 이들에게 놀라움을 준 낙찰 결과였다”고 말했다. 현재 본다이 정션의 중간 주택 가격은 215만 달러로 집계되어 있다.

한편 도심 인근, 로젤(Rozelle)의 레드라이온 스트리트(Red Lion Street) 상에 자리한 5개 침실 주택은 매물로 나온 이후 40여 예비 구매자들이 인스펙션을 했으나 경매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 주택의 잠정 가격은 250만 달러로 책정되었으며, 경매 당일 입찰한 이들은 없었다. 매매를 맡은 ‘Belle Property Balmain’ 사의 모니크 도워(Monique Dower) 에이전트는 “애초 이 주택을 구입하고 싶어 한 예비 구매자가 있었지만 미처 모기지 승인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경매가 아닌 일반 판매로 곧 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여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대형 주택을 선호했고 개발업자들도 이런 주택을 건축했지만 지금은 규모가 작은 주택이 보다 쉽게 거래가 이루어진다고 덧붙였다.

 

종합(경매 2).jpg

뉴트럴베이(Neutral bay)에서 경매가 진행됐던 2개 침실 유닛의 거실. 이날 낙찰 가격은 107만5천 달러였다.

 

북부 뉴트럴베이(Neutral Bay)의 2개 침실 유닛은 3명의 입찰자가 나왔으나 가격은 크게 오르지 않았다. 110만 달러의 잠정 가격이 책정된 가운데 105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됐지만 3명의 입찰자가 제시한 최종 가격은 107만5천 달러였으며, 이날 경매는 이 가격에서 낙찰됐다. 부동산 회사인 ‘The Agebcy’ 사의 자넷 모리슨(Janet Morrison) 에이전트는 “지금의 주택 시장을 감안할 때 합리적인 거래 가격”이라고 말했다. 이 주택은 지난 1999년 33만5천 달러에 거래된 바 있다.

발메인(Balmain)의 커티스 로드(Curtis Road)에 자리한 1840년대 코티지는 잠정 가격(130만 달러)에 미치지 못한 입찰 가격으로 낙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개 침실의 이 작은 주택에는 단 한 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했으며, 그가 제시한 최고 가격은 120만 달러였다. 주택 소유주는 130만 달러의 잠정 가격에서 1만 달러를 낮추었지만 예비 구매자는 120만 달러 이상을 제시하지 않았다. 이 주택은 지난 1991년 19만2천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현재 로젤의 중간 주택 가격은 193만5천 달러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64.7KB/Download:15)
  2. 종합(경매 2).jpg (File Size:38.2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51 호주 ‘$15만 출연료 외도행각 인터뷰’ 조이스•캠피언, 턴불 맹비난…가족엔 사과 톱뉴스 18.06.11.
3650 호주 NSW주 “낙태 시술 의료기관 안전 출입 보호법” 채택 톱뉴스 18.06.11.
3649 뉴질랜드 키위들, 종교 단체나 자선단체보다 정부를 더 신임해 NZ코리아포.. 18.06.12.
3648 뉴질랜드 오클랜드 중심가 부동산, 매매 5건 중 1건 외국인에게 팔려 NZ코리아포.. 18.06.12.
3647 뉴질랜드 중국 “작년 12월 이후 4개월째, NZ의 최대 교역 상대국” NZ코리아포.. 18.06.12.
3646 뉴질랜드 NZ전국 450개 골프장 투어, 'Putting with Purpose' 모금 운동 NZ코리아포.. 18.06.13.
3645 뉴질랜드 경찰 증원 계획에 따라, 형무소 증축 계획 서류 누출 NZ코리아포.. 18.06.13.
3644 뉴질랜드 사이 나쁜 이웃집 울타리를 술김에 체인톱으로 잘라버린 남성 NZ코리아포.. 18.06.13.
364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자선단체 기부 테라스 주택, 446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42 호주 지난 5년 사이, 인프라 개발 지역 주택 가격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41 호주 2026년 월드컵, 미국-캐나다-멕시코 공동개최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40 호주 ‘Socceroos’의 러시아 월드컵 본선 경기 일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9 호주 ‘부부젤라’는 잊어라, 러시아는 ‘Spoons of Victory’...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8 호주 주택경기 둔화 속, ‘홈론’ 승인 비율 하락... 18개월 만에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7 호주 NSW 주, 시드니 외 지방 지역 ‘관광 활성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6 호주 온라인 시대, 네티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스워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5 호주 NSW 주 음주운전자 증가... 지방 지역 크게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4 호주 오는 7월1일부터 고령 연금 수급 기준,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3 호주 디지털 기술, 학생들 수업에 유익? 아니면 유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14.
3632 뉴질랜드 다섯명 중 네명, 차 유리창 깨고 도난당한 경험 있어 NZ코리아포.. 18.06.14.
3631 뉴질랜드 남극 빙하 해빙 시나리오 공개, 지구 온난화 심각성 재강조 NZ코리아포.. 18.06.14.
3630 뉴질랜드 하늘 높은 줄 모르는 아보카도 가격 NZ코리아포.. 18.06.14.
3629 뉴질랜드 10대 딸 잃었던 더니든 엄마 “슬픔 이겨내지 못한 채 결국 엄마마저…” NZ코리아포.. 18.06.14.
3628 뉴질랜드 럭비 경기장에 알몸 난입했던 20대, 벌금 1천 달러 선고돼 NZ코리아포.. 18.06.14.
3627 뉴질랜드 속이 빨간 키위, 전 세계로 수출 예정 NZ코리아포.. 18.06.15.
3626 뉴질랜드 윈스턴 피터스 장관, 뉴질랜드도 북한 경제를 도울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06.15.
3625 호주 2018 FIFA 월드컵 개막…다음달 15일까지 러시아 11개 도시에서 톱뉴스 18.06.17.
3624 호주 호주정부, 북미정상회담에 “신중한 환영” 톱뉴스 18.06.17.
3623 호주 영주권 신청자 대상 영어시험 도입 움직임 거센 반발 촉발 톱뉴스 18.06.17.
3622 뉴질랜드 엄마 뱃속에서 마약에 노출된 아기, 1주일에 한명 태어나 NZ코리아포.. 18.06.18.
3621 뉴질랜드 마오리와 퍼시픽 학교 리더 27%, 인종 차별 경험 NZ코리아포.. 18.06.18.
3620 뉴질랜드 맥도날드 플라스틱 빨대, 영국에선 9월부터 금지되지만... NZ코리아포.. 18.06.18.
3619 뉴질랜드 테 아라이 해변에서 촬영된 희귀한 레드 스프라이트 NZ코리아포.. 18.06.18.
3618 뉴질랜드 뉴질랜드인들의 식탁에 등장한 메뚜기 요리 NZ코리아포.. 18.06.18.
3617 뉴질랜드 오클랜드, 세계 최초의 비행 택시 시범 운행 도시 되나? NZ코리아포.. 18.06.19.
3616 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NZ 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직장 NZ코리아포.. 18.06.19.
3615 뉴질랜드 Airbnb 숙소 주인 “10대들 난장판 파티로 한바탕 곤욕” NZ코리아포.. 18.06.19.
3614 뉴질랜드 실제 인체 전시회에서 발가락들 훔쳐갔던 20대 남성 NZ코리아포.. 18.06.19.
3613 뉴질랜드 고 스티븐 호킹 박사가 앓았던 운동신경 질환 “NZ 발병률, 세계 최고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8.06.19.
3612 뉴질랜드 300% 주택 보험료 인상, 웰링턴 여성 충격에 빠져 NZ코리아포.. 18.06.20.
3611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가장 렌트비가 비싼 지역은? NZ코리아포.. 18.06.20.
3610 뉴질랜드 14개 카운실, 지역 연료세 도입 고려 중​ NZ코리아포.. 18.06.20.
360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키리빌리 1개 침실 아파트, 187만5천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8 호주 길어진 수명, 질병도 늘어... 호주인 2명 중 1명 만성질환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7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패키지, ‘myGov’에서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6 호주 부동산 인지세, NSW 정부의 가장 큰 수입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5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공사 지연으로 주 정부, 소송 휘말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4 호주 시드니-멜번 지역별 임금성장 큰 차이, 소득격차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3 호주 호주인들이 느끼는 생활비 압박감, 가장 심한 도시는 시드니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3602 호주 Pitched battles: ‘월드컵’ 축구 전쟁, 실제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1)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