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초 이래 처음, 호스피스 케어 발전이 한 몫
 

hospice.jpg
▲ 1900년대 초 이래 처음으로 병원보다는 집에서 생을 마감하는 미국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1900년대 초 이래 처음으로 병원보다는 집에서 생을 마감하는 미국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스피스 케어와 관련한 개선 사항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에이피통신>이 11일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리포트를 토대로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집에서 사망하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양로원의 사망률도 낮아졌다.

베테랑스 어페어 보스턴 헬스케어 시스템(Veterans Affairs Boston Healthcare System)의 하이더 와라히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여긴다. 와라히 박사는 지난 세기에 걸쳐 죽음이 지나치게 의학화됐다고 지적했다.

현재 멕시코에 살며 여행 가이드 일을 하고 있는 베시 맥네어라는 남성은 2009년 자신의 아버지가 폐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이후 6주 동안 버지니아주에 있는 아버지의 집에서 생을 마감하도록 도운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멕네어는 “아버지의 인생 막바지 삶의 질이 높았다”며, “새벽 2시에도 커피와 파이 등 자신의 아버지가 먹고 싶은 것을 만들어 주었고, 매일 밤 스카치를 원하면 자신의 뜻대로 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와라히 박사와 듀크대 대학원생인 사라 크로스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사고나 살인 사건이 아닌 자연사 사망에 대한 정부 건강 통계를 사용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이 기간 동안 병원 사망 비율은 40%에서 30%로, 요양원에서 발생한 비율은 24%에서 21%로 감소했다. 반면 가정에서의 사망률은 24%에서 31%로 증가했다. '가정'에는 생활 보조 센터도 포함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젊은층, 여성, 흑인을 포함한 소수 인종 그룹은 고령층, 남성, 백인 그룹에 비해 집에서 사망할 확률이 더 적었다. 또 암 환자들은 집에서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치매 환자는 양로원에서 그리고 폐질환자는 병원에서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제로 맥네어는 질병의 종류가 사망 장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을 몸소 경험했다. 그는 아버지 외에도 50대에 루게릭병으로 숨진 오빠와 오랜 건강 악화 끝에 92세로 세상을 떠난 어머니의 요양원 케어를 도왔다. 그는 "모두 완전히 다른 경험이었다"면서 "때로 가정에서 가족을 돌볼 수 없을 때가 있다"고 말했다.

간호사인 앨리슨 비치라는 여성은 2016년 버몬트주 하인즈버그 자택에서 숨지기 전까지 3년간 보살폈던 어머니를 요양원 시설에 보내지 않기로 남편과 함께 결정하고, 이후 자신들의 삶을 재정비해야만 했다. 비치의 어머니는 시력 상실과 함께 낙상으로 고생하다 결국 91세에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비치는 당시 힘들었던 시간을 보낸 후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말기 환자 관리를 위한 특별 훈련을 찾게 됐다.

와라히 박사는 "하루만이라도 집에서, 개 주위에서, 침대에서 지내며 집 음식을 먹기를 원하는 환자들을 많이 만났다"며 홈 호스피스 서비스의 증가로 이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마지막 날을 보내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더 오래 살면서도 장애를 덜 겪는 것이 이상적인 만큼 홈 호스피스 케어에 더 큰 관심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17 미국 독감 시즌 돌입, 10월 중 예방접종 해야 코리아위클리.. 19.10.22.
4816 캐나다 에드먼튼 지역 주택 평균 가격 지속적 하락 CN드림 19.10.23.
4815 캐나다 예산 동결에도 내년 재산세 대폭 인상 불가피...올해 비즈니스 재산세 인하 조치가 원인 file CN드림 19.10.23.
4814 캐나다 캘거리 시의회, 비즈니스 및 주택 재산세 부담율 논의 CN드림 19.10.23.
4813 캐나다 오일 패치, 연방 총선에 지대한 관심...어느 당이 승리하냐에 따라 크게 영향 받아 file CN드림 19.10.23.
4812 캐나다 할로윈, 준비됐어?...캘거리에서 벌어지는 할로윈 이벤트들 file CN드림 19.10.23.
4811 캐나다 자유당 2019 총선 주요공약 어떤 변화 보이나 밴쿠버중앙일.. 19.10.29.
4810 캐나다 25일부터 캐나다 전역에 기생충 상영 밴쿠버중앙일.. 19.10.29.
4809 캐나다 '나 왕년에~' 즐겨부르던 노래를 듣고 싶다면~'나 어떻게' 밴쿠버중앙일.. 19.10.29.
4808 캐나다 스웨덴 기후 운동가 툰버그, 앨버타 의사당 앞에서 연설...에드먼튼 기후집회에 수천 명 운집 CN드림 19.10.29.
4807 캐나다 Royal LePage, 캘거리 주택 가격은 내리고 매매는 늘었다 CN드림 19.10.29.
4806 캐나다 앨버타 독감 예방 접종 클리닉 열어...5세 이상은 약국에서도 접종 가능 CN드림 19.10.29.
4805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오픈 하우스, 역대 최고 숫자 참여 CN드림 19.10.29.
4804 미국 50만 달러 투자이민 프로그램 곧 종료 코리아위클리.. 19.10.29.
4803 미국 지난해 중앙플로리다 푸에르토리코 인구 급증 코리아위클리.. 19.10.29.
4802 미국 서머타임 11월 3일 해제 코리아위클리.. 19.10.29.
4801 미국 ‘미투’ 운동 2년…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 코리아위클리.. 19.10.29.
4800 미국 ‘성인의 날 이브’인가 ‘스푸키 나잇’인가 코리아위클리.. 19.10.29.
4799 미국 독감 시즌 돌입, 10월 중 예방접종 해야 코리아위클리.. 19.10.29.
4798 미국 미국 젊은이들 자살률 10년 간 58% 늘어 코리아위클리.. 19.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