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에 결실 맺어

 

7.png

▲ 홍콩법원, 7년간의 긴 연구 끝에 전자소송시스템이 도입된다. (사진=scmp)

 

전자 소송 시스템 법안이 1월 9일 입법회에서 제 1독회가 열릴 예정으로 홍콩이 ‘종이 없는 재판 시대’에 한걸음 더 가까워졌다.

 

종이 서류가 아닌 전자 문서로 제출하는 전자 소송을 도입하는 법안인 법원절차(전자기술)조례초안(Court Proceedings (Electronic Technology) Bill)이 지난 12월 27일(금) 관보에 공보되었다. 정부는 법원의 소송 절차 간소화 및 효율성 증가, 비용 절감을 위하여 전자 소송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전자 소송 법안은 2012년 처음 발의되었으며 7년간의 긴 연구 끝에 그 첫걸음을 내딛었다.

 

지금까지는 소송인과 변호사가 소송 신청서와 관련 자료를 종이 유인물 형태로 법원에 제출해야 했다. 그러나 이 법안은 소송인과 변호사가 법원에 제출할 서류들을 모두 전자 시스템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이밖에도 전자 서명도 허용할 예정이며, ‘전자 법원(e-court)’에서 출력된 문서들의 서명들은 모두 원본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는다. 전자 결제 시스템도 지원될 예정이다. IT에 익숙하지 않은 자들을 위해 기존의 종이 서류로도 제출할 수 있다.

 

진보변호사단체(Progressive Lawyers Group)의 빌리 리온인(Billy Li On-yin) 대표는 “전자 문서 시스템 도입으로 양자간 소통이 더욱 빨라지며 종이 서류 저장 공간 또한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며 이번 법안에 대하여 환영의 입장을 보였다. 동시에 그는 “모든 인터넷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해커들에 의한 정보 유출 위험성이 존재하지만, 이는 시스템 보안 능력에 달렸다”고 말했다.

 

전자 소송 시스템 도입 첫 단계로 지방 법원의 형사 및 민사 사건과 치안 판사 법원의 소환장 발부 등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사건들을 한에서 먼저 전자문서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2단계 시스템 전환을 거쳐 모든 유형의 법원과 재판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입법회 재무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1단계 시스템 전환이 2021년 3월에 완료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사법부의 인력 부족, IT 서비스 및 시설 조달 지연 등 이유로 전자 문서 도입이 예상했던 2016년보다 57개월 지연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단계 전환은 2022년 9월에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 소송 시스템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홍콩은 다른 국가보다 시스템 구축이 뒤쳐졌다. 영국은 2015년 일부 상업 재판소에 전자 신고 접수를 도입했다. 미연방 법원과 대법원의 경우, 2017년부터 전자 신고 시스템을 도입해 의무화했다. 싱가포르의 경우, 2000년부터 모든 서류를 전자문서로만 제출하도록 의무화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7.png (File Size:737.5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96 홍콩 홍콩, 2022년까지 저금리 기조 유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5 홍콩 상어 지느러미 수은 함량 ‘위험’ 수준 file 위클리홍콩 20.06.16.
694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6월 4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3 홍콩 5월 개인 파산·기업 청산 급증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2 홍콩 7월 15일부터 요식업 대대적인 할인 행사해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1 홍콩 홍콩 정부, 20대 청년 위해 일자리 5천개 창출 계획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90 홍콩 Covid-19에 소외된 노인들, ‘외로움 전염병’ 확산 우려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89 홍콩 홍콩 시위·Covid-19에 ‘긱 이코노미’ 관심 부상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88 홍콩 홍콩 국가경쟁력, 작년 2위에서 5위로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22.
687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1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6 홍콩 공립병원 대기시간 78주→24주로 단축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5 홍콩 홍콩내 대학 5곳 이상, 온라인 수업 실시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4 홍콩 부동산 시장 위축에 경매 부동산도 가격 하락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3 홍콩 사립학교, 추가 비용 수백만 홍콩달러 청구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2 홍콩 홍콩·상하이 간 투자유치 경쟁 치열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1 홍콩 재활용업체 10곳 중 9곳 폐업 file 위클리홍콩 20.06.30.
680 홍콩 홍콩 주간 요약 뉴스(2020년 7월 2주차) file 위클리홍콩 20.07.07.
679 홍콩 법원 영장 없이 페이스북·트위터 수사 협조 요구 가능해져 file 위클리홍콩 20.07.07.
678 홍콩 ‘현금 없는 사회’ 가속하는 코로나바이러스 file 위클리홍콩 20.07.07.
677 홍콩 6월 신축 아파트 거래 건수, 전월 대비 92% 상승 file 위클리홍콩 20.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