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랜도 포함 중부 이상 지역 가장 심해... 4월까지 위험
 
pollen.jpg
▲꽃가루 수치인 수분치를 전국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폴른닷컴(Pollen.com)'의 지역별 지도. 1일 현재 플로리다 중부 이북 지역을 포함한 어두운 부분이 수분치 최상위 범위 지역이다.
 
(올랜도) 최정희 기자 = 앨러지 환자에게 고통스런 꽃가루 시즌이 돌아왔다. 3월 들어 오크 등 플로리다 지역의 나무들이 개화하면서 공기 중에 꽃가루를 퍼뜨리기 시작하면서 자동차나 수영장 가구위에 노란색 꽃가루가 내려 앉는다.

플로리다 앨러지 시즌은 2월부터 4월까지이다. 꽃가루 수치인 수분치를 전국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폴른닷컴(Pollen.com)'에 따르면 꽃가루 시즌에는 통상 플로리다주를 포함해 미 동남부지역이 미국에서 가장 수분치가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29일 현재 올랜도를 포함한 플로리다 중부 이상 지역의 수분치는 가장 높은 레벨인 상위 9.7∼12 범위에 속해있다. 남부지역은 수분치는 한단계 아래 레벨인 7.3-9.6으로 여전히 위험 단계에 들어있다.

수분치는 1큐빅 미터의 공기 중에 있는 수분 수를 24시간동안 재는 것으로, 대부분의 앨러지 환자들은 최고치로 여기는 9.4 와 12 사이에 이르면 고통을 겪는다. 그러나 꽃가루에 유독 예민한 사람들은 2.5와 같은 낮은 수치에서도 증상을 겪는다. 수분치는 보통 2월 발렌타인 데이를 기점으로 상승하지만 앨러지 증상은 3월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편이다.

꽃가루를 날리는 식물은 사이프러스, 소나무, 주니퍼, 히코리, 라이브 오크 등 나무들 뿐 아니라 민들레, 호밀, 버뮤다 잔디 등 풀종류 까지 여럿이지만, 이 중에서도 플로리다에 11종류나 생육하고 있는 오크류 나무가 주범이다. 자동차나 수영장 가구들을 뒤덮는 노란색 화분들도 오크류 나무가 공기중에 뿜어내는 꽃가루탓으로 세차장은 흔히 이를 '노란 금'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맘때면 세차 고객수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특히 플로리다 중부 지역은 풍향의 영향으로 북쪽에서 날아드는 잡초 꽃가루와 남쪽의 나무 포자가 섞이는 중간 지역으로 재채기를 유발하는 인자들의 중심지다. 이 식물들은 비가 자주 와서 공기 중 꽃가루를 흘려 보내지 않는 한 앨러지 환자들은 수 주일 동안 고통을 겪는다.

플로리다에서 앨러지가 기승을 부리는 데에는 아열대성 기후도 한 몫 한다. 사계절이 뚜렷하지 않는 기후 때문에 앨러지 환자들은 수 개월 혹은 1년 내내 증상을 달고 다닐 수 있다.

미 질병 예방 통제국은 미국 성인 1700만명, 아동 660만명 정도가 미열 내지는 콧물, 코막힘, 눈 충혈, 사이너스, 재채기 등 앨러지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코 스프레이, 엘러지 주사 맞으면 효과

일부 앨러지 전문가들은 처방 없이 마켓 선반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약 중에서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배네드릴(Benadryl) 보다는 신약인 알레그라(Allegra)나 지르택(Zyrtec)이 앨러지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대표적 앨러지약 중 하나인 클라리틴은 1993년, 지르텍은 1995년, 알레그라는 1996년에 비처방약으로 판매가 승인되어 가판대에서 팔리고 있다.

만약 오랜 앨러지 기운으로 고생하는 편이라면 코 스프레이나 앨러지 주사로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 두가지 방법은 환자가 지시에 잘 따를 경우 시간이 흐를 수록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꽃가루를 차단하는 최선의 방법은 외출을 되도록 삼가하고 창문을 닫은 채 에어컨을 틀어 놓는 것이다. 앨러지는 6회 정도의 호흡만으로 충분히 작동하기 때문에 외출후 머리나 옷을 세척하는 것은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
  1. pollen.jpg (File Size:31.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77 캐나다 한인 공립요양원 위한 바자회-노인 공경 마음 한가득 밴쿠버중앙일.. 19.06.14.
5176 캐나다 미 "영주권 100% 보장" 피해 한인 속출 밴쿠버중앙일.. 19.06.14.
5175 캐나다 유튜브 가짜뉴스에 망가지는 한민족 미래 밴쿠버중앙일.. 19.06.15.
5174 캐나다 "독도는 도대체 누구 땅입니까?" 밴쿠버중앙일.. 19.06.15.
5173 캐나다 BC주 주택 소유자 중 이민자 비율 23% 밴쿠버중앙일.. 19.06.15.
5172 미국 마이애미 파크랜드 총기 난사사건 경찰, 직무태만으로 체포 코리아위클리.. 19.06.16.
5171 미국 프란치스코 교황, 주기도문 변경 공식 승인 코리아위클리.. 19.06.16.
5170 미국 5월 미국 고용시장 저조, 실업률 3.6%로 평행선 코리아위클리.. 19.06.16.
5169 미국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한미 정상 통화 유출 비판 코리아위클리.. 19.06.16.
5168 미국 '임시보호신분' 포함한 드리머 법안 연방 하원 통과 코리아위클리.. 19.06.16.
5167 미국 캘리포니아 의회, 불법체류자에게도 건강보험 혜택에 합의 코리아위클리.. 19.06.16.
5166 미국 미 하원, 한국전쟁 종식 촉구 결의안 서명 32명으로 늘어 코리아위클리.. 19.06.16.
5165 미국 센트럴플로리다 집값, 7년 만에 하락세 코리아위클리.. 19.06.16.
5164 캐나다 밴쿠버 소득대비 적정주택가 '79만 5000달러" 밴쿠버중앙일.. 19.06.18.
5163 캐나다 연방총선 보수당 지지 선두 유지 밴쿠버중앙일.. 19.06.18.
5162 캐나다 총영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조심하세요! 밴쿠버중앙일.. 19.06.18.
5161 캐나다 홍쿠버 귀환에 밴쿠버 부동산 가격 또 요동치나? 밴쿠버중앙일.. 19.06.19.
5160 캐나다 BC주 일손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밴쿠버중앙일.. 19.06.19.
5159 캐나다 BC주민 트랜스마운틴파이프라인 지지 밴쿠버중앙일.. 19.06.19.
5158 캐나다 한국 미래 운명 가를 재외 유권자 심판 시작됐다. 밴쿠버중앙일.. 19.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