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ocb13pDE_81f2ba1902a4a18d

미국 메릴랜드주의 한 공공 도서관 앞에서 무료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받기 위해 시민들이 줄을 서 있다. EPA=연합뉴스

 

BC 주민 충분하거나 더 강화해야 한다가 지배적

대부분 어떤 짓을 해도 오미크론 감염된단 생각

올해 중에 대유행 종식된다는 생각도 고작 23%

 

코로나19 사태가 2년 간 이어지고 있으면서, 캐나다 국민들은 현재의 사회봉쇄 조치에 대해 순응을 하고, 또 무엇을 해도 결국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밖에 없다고 포기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앵거스리드연구소(Angus Reid Institute, ARI)가 13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최신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사회봉쇄 조치가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 캐나다 국민의 37%가 적당하다고 봤으며, 아직 충분하지 않아 더 강화해야 한다가 31%, 그리고 너무 심하다는 대답이 32%로 나왔다.

 

각 주별로 보면 BC주는 적당하다가 42%, 더 강화해야 한다가 31% 그리고 너무 심하다가 26%로 대체적으로 현상 유지와 더 강화 쪽에 무게를 실었다. 반면에 퀘벡주(36%)와 알버타주(35%), 그리고 마니토바주(35%)는 전국 평균보다 높게 너무 심하다는 대답이 높았다. 공교롭게도 이들 주는 현재 인구 수를 감안했을 때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오는 주들이다.

 

사회봉쇄 조치를 중단하고 스스로 알아서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는 질문에 대해 전국적으로 38%만이 동의를 했고, 56%가 반대를 했다. BC주는 36% 동의에 57%가 반대를 해 노바스코샤주를 빼면 가장 가장 낮은 동의를 보였다.

 

어떤 짓을 해도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에 노출되고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전국적으로 55%로 아니다라는 32%에 비해 높았다. 연령별과 성별로 봤을 때 18-34세는 62%, 35-54세는 67%로 자포자기적인 생각이 강했으며, 55세 이상만 49%로 나왔다. 여성은 18-34세가 51%, 35-54세가 59%로 남성보다 낮았으며, 55세 이상은 48%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57%가 동의를 해 전국 평균보다 높은 편에 속했다. 

 

올해 중에 대유행이 종식될 것이라고 보는 견해는 전국적으로 23%에 불과해 아니라고 비관적으로 보는 51%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BCB주는 희망이 22%, 그리고 비관이 47%였다. 반면에 잘 모르겠다가 31%로 노바스코샤주와 함께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 취학연령 어린이들의 정신건강과 사회발달의 중요성 또는 코로나19 차단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 정부의 우선순위가 될 것이냐는 질문에 정신건강과 사회발달이 중요하다가 38%로 코로나 확산방지 16% 비해 2배가 많았다. 그러나 두 개 다 동등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가 46%로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는 1월 7일부터 10일까지 3375명의 캐나다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준오차는 +/- 2% 포인트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877 미국 연방 법원, 의사당 난입사건 트럼프 범죄 가능성 판단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6 미국 플로리다, 팬데믹으로 없어진 128만 개 일자리 모두 되찾아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5 미국 바이든, '억만장자세' 등 2023 회계연도 예산안 공개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4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세계 한글학교협의회와 찾동 화상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3 캐나다 올 1분기에만 캐나다 영주권 결정 14만 7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2 캐나다 BC주도 엔데믹으로 갈 수 있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1 캐나다 캐나다 여권 갱신 절차 간소화 대상자 크게 확대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70 캐나다 BC 전기료 4월부터 평균 1.4% 인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9 캐나다 H-마트 8호점 코퀴틀람 센터 지역에 3월 31일 영업 개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8 캐나다 4월 2일 밴쿠버무역관의 케이무브 네트워킹 데이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7 캐나다 한인회, 한국문화청소년사절단 발대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6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6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5 캐나다 BC주정부, 유급 병가 규정 단순화-강화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4 캐나다 BC주정부, 관련 법 개정으로 주택 구매자 보호 강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3 미국 드샌티스에 도전하는 민주당 후보들...주지사 선거 승산은?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9.
7862 캐나다 여행객 대신 화물이 항공기 자리를 차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1 캐나다 ICBC 구제보조금 110달러 문자는 모두 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0 캐나다 코퀴틀람 남성 27일 다운타운서 10대 여성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59 미국 플로리다 학년말 평가시험제 내년에 폐지... 시험은 더 빈번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
7858 미국 플로리다, 직장내 '인종 언급' 방식 제한법 제정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