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립학교).jpg

스탠모어(Stanmore) 소재 뉴잉톤 컬리지(Newington College). 이 학교는 2009년에서 2012년 사이 학교 시설투자에 7천800만 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잉톤 컬리지, 2009-2012년 시설비에 7천800만 달러 투자



시드니의 최고급 사립학교들은 더 많은 입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도서관, 강의실, 체육관 등을 짓는 데 공립학교의 3배 이상의 예산을 들이는 등 시설 경쟁을 하고 있다.


일부 엘리트 사립학교들은 학생들을 모집하기 위해 3천 만 달러의 자본금을 학교 시설에 사용하고 있다.


스탠모어(stanmore)에 있는 뉴잉톤 컬리지(Newington College)는 2009년과 2012년 사이 시설투자에 7천800만 달러를 사용, NSW 주의 다른 학교보다 많은 예산을 지출했다.


‘마이 스쿨’(My School) 웹사이트에 따르면 시설 투자에 두 번째로 많이 지출한 학교는 녹스 그래머(Knox Grammar)로, 같은 기간 동안 6천270만 달러를 지출했으며 뒤를 이어 크랜브룩 스쿨(Cranbrook School)이 5천760만 달러, 시드니 처치 오브 잉글랜드 그래머 스쿨(Sydney Church of England Grammar School)이 5천100만 달러를 사용했다.


뉴잉톤 컬리지는 2012년 한 해에만 3천 370만 달러를 사용했다. 카브라마타 하이스쿨(Cabramatta High School)은 2009년에서 2012년 사이 새로운 4개의 티칭 블록(teaching block)을 업그레이드 하는데 2천779만 달러를 사용하여 공립학교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시설 공사에 지출했다.


시드니 대학교의 헬렌 프록터(Helen Proctor) 교육 및 사회복지 학부 수석 강사는 “엘리트 사립학교들이 극장, 수영장, 스포츠 경기장 등을 경쟁적으로 건설하며 시설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녀는 이어 “최고급 시장에서는 모든 면에서 자신들이 가장 좋다는 이미지를 심어 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방 정부 웹사이트의 최근 수치에 따르면 2012년 NSW 주의 사립학교는 학생 한명을 위해 2천359달러를 지출했으며 가톨릭계 학교는 1천74달러, 공립학교는 747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기반 시설은 지난 2007년 러드(Kevin Rudd) 정부의 ‘건축 교육 혁명 프로그램(Building the Education Revolution program)’으로 인해 2010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모든 학교에서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2010년, 학생 한 명당 지출은 공립학교가 4천58 달러, 사립학교는 4천885 달러, 가톨릭계 학교는 3천535 달러를 지출했다.


뉴잉톤 컬리지는 지난해 새 도서관과 체육관, 카페테리아 건물을 위해 2천 만 달러를 사용하며 최고급 발전이라고 주장했다. 이 공사비용은 기부금과 학부모들의 수업료 등으로 충당됐다.


공립학교 중 지난해 500만 달러 이상을 사용한 곳은 신체적·정신적으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해 혼스비(Hornsby)에 있는 클라크 로드 스쿨(Clarke Road School) 재건 프로젝트이다.


공립, 가톨릭계, 사립학교들은 2020년까지 현 학생 수보다 추가로 60만 명의 학생이 더 학교에 등록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정부의 자금조달 증가를 요구하고 있다.


NSW 주에서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의 자금 지출 차이는 전국 평균보다 크다. 호주 교육노동조합(Australian Education Union)의 안젤로 가브리엘라토스(Angelo Gavrielatos) 대표는 “학교 간 지출 격차가 학생들의 잠재력을 개발하는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들 자신의 자금과 수업료를 부과하여 학교 자금을 늘리는 것은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12년 NSW 주의 공립학교는 학생 한 명당 정부로부터 679달러의 자금을 받았으며 가톨릭계 학교는 338달러, 사립학교는 379달러를 받았다.


호주 사립학교협의회(Independent Schools Council of Australia)의 배리 월렛(Barry Wallett) 부대표는 “엘리트 사립학교는 사립학교들 중에서도 낮은 비율을 차지한다”며 “그들은 자본금을 위한 정부 자금을 조금 받거나 받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대부분의 사립학교는 더 많은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한 능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NSW 사립학교 협회에 따르면 시드니 서남부 지역과 같은 곳에서는 수업료가 낮은 사립학교에 대한 요구가 특히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 가톨릭교육위원회(National Catholic Education Commission)의 로스 폭스(Ross Fox) 대표는 “카톨릭 학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정부의 재정 지원이 부족하다”며 “호주 전역에서 카톨릭 교육은 학생 인구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학교를 건설하고 기존 학교를 확장하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1 호주 높은 기준금리-인플레이션 상황 속, 일부 교외지역 주택가격 크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50 호주 호주 여성들, 나이 많아지면서 남성 비해 주거용 부동산 소유 더 많아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9 호주 가을 자동차 여행... 경험자들이 꼽은 ‘Best road trips around NSW’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8 호주 ‘multiple jobs’ 근로자 확대, 지난해 마지막 분기에만 1.4%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7 호주 NSW 대다수 유권자들, Chris Minns 정부의 ‘고밀도 주택정책’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6 호주 매일 9,000보 이상 걷기... 질병으로부터의 구체적인 ‘효과’ 밝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5 호주 NSW 자유당 청년 조직 ‘Young Libs’, 노동당 주택정책 ‘지지’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4 호주 “새로운 AI 기술 관련 규제 위해 불필요하게 시간 낭비할 필요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43 호주 빅토리아 ‘Division of Dunkley’ 보궐선거, 노동당 의석 유지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42 호주 NSW 주 상위 학업성적 학교들의 교습 방식은 ‘explicit instruction’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41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인근 Leppington, 2018년 이후 주택가격 ‘최다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40 호주 지난해 11월 이후의 기준금리, 이달 셋째 주에 변동여부 확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9 호주 주택부족-임대위기 지속되자 ‘투자용’ 부동산 구입자들, 다시 시장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8 호주 올해 ‘Melbourne Art Fair’, 경기침체 따른 예술품 시장 영향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7 호주 공립학교 학부모 연 평균 부담금 357달러, 사립은 평균 1만3,0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6 호주 올해 ‘Stella Prize’ 후보에 작가 캐서린 바본-케이트 밀덴홀 등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5 호주 올 1월 인플레이션, 대다수 경제학자들 반등 기대치보다 낮게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4 호주 호주 전 산업 부문에서 성별 임금격차 ‘뚜렷’... 해결 위한 조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3 호주 NSW 주 집권 노동당의 유권자 지지도, 정부 구성 1년 만에 야당에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2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1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자궁내막증 치료 위한 신약 ‘승인’... 13년 만의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730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안 이후 ‘HECS 상환액 계산방식 변경 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9 호주 호주 실질임금, 거의 3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 인플레이션 수치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8 호주 “120만 채 주택건설? 연방정부, 주-테러토리에 대대적 조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7 호주 NSW-빅토리아 주 소재 5개 사립학교, 학교 시설에 ‘막대한 자금’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6 호주 “첫 주택구입자들, 뒷마당 있는 단독주택 구입 더욱 어려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5 호주 학생비자 승인 급락, “정부가 ‘교육 목적지로서의 명성’ 위험에 빠뜨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4 호주 호주 어린이 3분의 1, “학교에서 ‘능숙한 읽기’ 배우지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3 호주 Political leadership... 연립 야당, 2022년 선거 이후 처음으로 노동당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2 호주 각 대학들, ‘캠퍼스 내 성폭력 방지’ 계획으로 ‘국가적 행동강령’ 적용 받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1 호주 흡연자는 실직 상태 또는 정신건강 이상?... “일반적 통념, 잘못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6720 호주 “호주 유입 해외 이민자들 ‘지역경제 활성화-임금상승 효과’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9 호주 유학생 비자승인 제한 관련 호주 주요 대학들, 연방 이민정책에 반기?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8 호주 실질적 호주 최고 권력자 ‘Prime Minister’의 배우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7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조디 헤이든 여사, SNS 통해 ‘깜짝’ 결혼계획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6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금리 상승에서도 NSW 경제, 일자리 생성 계속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5 호주 시드니 CBD 반경 10km 이내, 주택 구입 ‘most affordable suburbs’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4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가계재정 압박-사립학교 학비 인상에도 불구하고...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3 호주 “올해 1월 들어 일자리 거의 추가되지 않았다”... 실업률, 4%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2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시, 1천 명 이상의 새 ‘호주 시민’ 받아들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6711 호주 상당수 국민들 ‘주택부족-임대위기’로 고통 받는데... 의원들은 부동산 투자?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10 호주 지난 5년 사이 시드니에서 건설된 아파트, ‘3개 층만 더 높았더라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9 호주 중앙은행, 생활비 압박에 허덕이는 가계에 ‘이자율 인하 희망’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8 호주 NSW 정부의 유료도로 통행료 환급 대상 운전자들, “지금 청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7 호주 경매 통해 주택을 매매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6 호주 오늘날 우리는 왜 ‘아름다움=고결, 추함=고쳐야 할 문제’로 인식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5 호주 도미닉 페로테트 전 NSW 주 총리, ‘negative gearing’ 검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4 호주 미성년자 음주 관련 조사, “절반은 부모에게서 알코올 제공받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3 호주 호주 내 해외유학생 수치, 기록적 감소... 학생비자 승인 20%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6702 호주 수백 만 명의 주택 소유자, 가격 상승으로 올 1월에만 약 3천 달러 수익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