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전시회 1).jpg

 

종합(전시회 1).jpg

 

종합(전시회 2).jpg

 

한국과 호주 두 나라의 사진작가가 특별한 계기를 통해 각국을 방문, 만들어낸 사진전이 마련된다. 한국문화원이 기획한 ‘평범함 속 특별함: 구본창, 윌리엄 양 그리고 조지 로스’ 전은 사진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평범함 속 특별함: 구본창, 윌리엄 양 그리고 조지 로스’ 사진전

한국문화원 마련... 시드니 방문 구본창 작가, 개막식서 작품 설명도

 

지금으로부터 112년 전인 1904년, 당시 한국의 모습을 사진으로 남긴 호주의 사진가 조지 로스(George Rose). 그의 작품에 영감을 받아 서로의 나라를 방문하여 평범한 일상 속 특별한 순간을 포착한 한국의 구본창 작가와 호주의 윌리엄 양 작가의 사진을 만나보는 특별한 전시회가 마련된다.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원장 안신영, 이하 ‘한국문화원’)은 오는 24일(금), ‘평범함 속 특별함: 구본창, 윌리엄 양 그리고 조지 로스(Extra Ordinary: Bohnchang Koo, William Yang and George Rose)’ 사진전을 개막한다.

한국문화원은 오는 8월19일(금)까지 이어지는 이번 전시회에 대해 “호주 사진작가 조지 로스로부터 시작된 한국과 호주의 인연을 소개하고, 동 시대에 활동하는 양국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기회를 갖고자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구본창 작가와 호주의 윌리엄 양 작가는 조지 로스의 사진에서 영감을 받아 양국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조지 로스의 사진을 통해 알 수 있듯, 타자의 시선으로 포착된 순간들은 우리의 삶이 시간, 장소, 공간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두 작가가 바라보는 호주와 한국은 더 이상 서로에게 낯설지 않다. 하지만 그 익숙하고 평범한 일상 속에서 독특함을 찾아낸 두 작가의 작업을 마주함으로써 관람객들은 조지 로스로부터 이어진 양국 관계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테레오그래프(두 개의 렌즈가 달린 카메라로 나란히 찍은 두 장의 사진. 입체경을 통해 3차원 이미지로 보여짐) 기법을 활용한 구본창 작가와 윌리엄 양의 사진 작품 약 40점은 과거의 서울과 현재의 클룬(조지 로스의 고향) 그리고 파주 등을 넘나들며 관객들에게 특별한 재미를 선사한다. 또한 1904년 조지 로스가 촬영한 흑백 사진도 영상으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사진 작가이자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는 구본창 작가는 지난 2004년 발간된 조지 로스의 사진집 ‘호주 사진가의 눈을 통해 본 한국 1904’(Korea through Australian eyes) 발간 과정에서 감수를 맡은 인연으로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윌리엄 양 역시 호주 유명 사진작가로, 개인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작업을 주로 이어오고 있다.

전시 개막식에는 구본창 작가와 윌리엄 양 작가,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한 캐서린 크롤 큐레이터가 참석하여 전시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크리에이티브 클룬(Creative Clunes)의 협조로 이루어진 이번 전시는 사진을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한호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고 서로의 문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시회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다.

-전시명 : ‘평범함 속 특별함: 구본창, 윌리엄 양 그리고 조지 로스’ 사진전

-전시기간 : 2016년 6월24일부터 8월19일(전시 개막식 6월24일 오후 6시)

-전시장소 : 주시드니 한국문화원(Ground Floor 255 Elizabeth Street Sydney)

-문의 : 02 8267 3400

 

  • |
  1. 종합(전시회 1).jpg (File Size:69.4KB/Download:41)
  2. 종합(전시회 2).jpg (File Size:45.4KB/Download:5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03 호주 가평군 생산, ‘잣막걸리’, 호주시장 본격 공략 시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502 뉴질랜드 제 14대 오클랜드 한인 회장 선거 운동 시작 NZ코리아포.. 17.05.26.
1501 뉴질랜드 학생들이 만들고, 참여하고 ...코리안 나이트 성황리에 개최돼 NZ코리아포.. 17.05.27.
1500 호주 ‘뉴카슬 한글 배움터’ 올해 ‘가족 캠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499 호주 역할극으로 배우는 언어 예절의 중요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498 호주 한국 배드민턴, 14년 만에 혼합단체 선수권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497 호주 한국화 기법으로 담아낸 고국 및 호주의 자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496 뉴질랜드 리디아 고, 주니어 골프대회 이세진, 정미리 우승 NZ코리아포.. 17.06.07.
1495 호주 대한민국 교육부, 영어권 젊은이 대상 장학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494 호주 한인 학생들, 한국어 사랑과 평화통일 의지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493 호주 한국문화원, Let’s Talk about Korea!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492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의 맛 발효음식 알리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491 뉴질랜드 뉴질랜드 '나의꿈 말하기대회' 성황리에 마쳐.... NZ코리아포.. 17.06.14.
1490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 조각보의 아름다운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489 호주 시드니 한인천주교회 한글학교 학예회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488 호주 한국교육원, ‘한국어 전문가 지원단’ 간담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487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민족캠프’ 참가자 모집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486 호주 SBS 방송 가족드라마 ‘The Family Law’ 새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485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전 전사자 가족의 ‘특별한 여정’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484 뉴질랜드 뉴질랜드 3,000km를 완주한 김혜림씨, 기네스북 기록 속에... NZ코리아포.. 17.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