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모스만 주택 1).jpg

모스만 지역의 고가 저택 가운데 호프톤 애비뉴(Hopetoun Ave) 상에 있는 저택. 이 부동산의 현재 가치는 3천만 달러에 이른다는 평가이다.

 

“실제 거래가 없을 뿐, 저택 규모는 동부지역에 뒤지지 않아...”

 

시드니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 region)에 자리한 모스만(Mosman)은 광역 시드니에서 고급 주택이 많고 가격 또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대가족 저택이 많고 해안가 고급 맨션을 비롯해 억만장자들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최고가에 거래된 주택’ 측면에서 모스만은 시드니 동부 지역에 뒤쳐져 있던 것이 사실이다.

시드니 동부의 대표적 고가 주택 지역으로 꼽히는 포인트 파이퍼(Point Piper)의 대저택 ‘알토나’(Altona)는 지난해 6천180만 달러의 거래가를 기록한 바 있다. 앞서 2015년 이웃 지역(suburb)인 버클루즈(Vaucluse)에 있는, 카지노 재벌인 제임스 패커(Jamed Packer) 소유의 ‘라 메르’(La Mer) 맨션이 7천만 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뿐 아니라 벨뷰 힐(Bellevue Hill)의 한 저택은 해안가가 아님에도 2015년 3천80만 달러에 매매되었으며 같은 해 더블 베이(Double Bay) 소재 저택이 3천800만 달러에, 2013년에는 로즈 베이(Rose Bay) 저택이 3천300만 달러에 매매되는 등 최고가 거래 기록은 동부 지역 저택들 몫이었다.

반면 모스만 지역의 저택 가운데 고가에 거래된 사례는 지난 2012년 잉 리(Ying Li)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중국계 구매자가 2천만 달러에 매입한 뷰티 포인트(Beauty Point) 소재 주택이었으며, 이 가격은 지금도 로워노스쇼어 지역의 최고가 거래 기록으로 남아 있다.

지난 주 토요일(11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은 시드니 동부 및 로워노스쇼어 지역의 고급 저택들, 특히 모스만의 주택가격을 언급하면서 이 지역 저택들 가격이 최고가 기록을 보유한 동부 지역에 비해 결코 낮은 것은 아니라고 언급, 눈길을 끌었다.

고가의 저택 거래와 관련, 중개회사인 ‘Raine & Horne Mosman’ 사의 브랜든 워너(Brendan Warner)씨는 “모스만 소재 저택들이 거리가 기록에서 뒤쳐져 있는 것은 한 가지 간단한 이유”라면서 “4천만 또는 5천만 달러의 저택이 결코 매매된 바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가의 가치를 가진 저택은 있지만 거래된 바가 없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그는 말에 따르면, 한 저택 소유주에게 5천만 달러에 판매할 것을 제안한 바 있지만 저택 소유주가 이사를 원치 않아 매매를 성사시키지 못한 일도 있다. 그 저택뿐 아니라 4-5천만 달러 가치가 있는 저택들이 있지만 이들 또한 판매할 의사가 없다는 것이 워너씨의 말이다.

워너씨는 4-5천만 달러에 달한다는 저택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고가의 저택 전문 에이전트들은 모스만에 있는 최고가 주택들을 잘 알고 있다.

이 저택들 가운데 하나로 오틀리(Oatley) 와인 가문의 로스 오틀리(Ros Oatley)씨가 1천550만 달러를 들여 구입한 맨션이 있다. 단지 이 맨션만으로는 최고급에 올려놓을 수 없지만, 그녀는 이후 맨션 옆 호프톤 애비뉴(Hopetoun Avenue) 상의, 보트 정박시설이 있는 3천500스퀘어미터 부지를 매입했다.

 

종합(모스만 주택 2).jpg

발모랄(Balmoral)의 비스듬한 경사면에 3층 구조로 지은 이 저택은 전체 부지는 643스퀘어미터에 불과하지만 내부 설계는 ‘억만장자를 위한 저택’으로 손색이 없다는 진단이다. 사진은 이 저택에서 바라본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 풍경.

 

오틀리씨의 저택 인근, 와이아긴 포인트(Wyargine Point)에는 식품 수입회사를 운영하는 로이 마나센(Roy Manassen)씨와 그의 아내 신디(Cindy)씨가 소유한 저택이 있다. 4천770스퀘어미터의 넓은 부지로 지난 2007년 5천만 달러 남는 금액에 마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워너 에이전트는 “이런 저택들은 고가의 가치를 갖고 있지만 소유주들이 매매를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이 지역의 또 다른 부동산 중개회사 ‘LJ Hooker Mosman’ 사의 제프 스미스(Geoff Smith)씨는 “시드니 지역에 최고급의 저택이 그리 흔하지 않은 상황에서 거래가 거의 없는 모스만 지역의 저택은 매우 좋은 가치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스미스씨와 그의 아내 샌디 던(Sandie Dunn)씨는 모스만 지역에서 가장 고가의 주거지역으로 꼽히는 호프톤 애비뉴(Hopetoun Ave) 상에 3천만 달러 가치를 지닌 2천400스퀘어미터의 부지를 갖고 있다.

그는 “지난 2014년 4천만 달러에 매각하고자 했지만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지금은 3천만 달러에 내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 지역에서 매물로 나온 저택 중 하나는 발모랄(Balmoral)의 경사면에 자리한 3층 구조의 저택으로 현재 시장에 등록된 가격은 2천만 달러로 되어 있다.

이 저택 거래를 맡은 스미스씨는 “이 저택은 643스퀘어미터 부지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면서 “이제까지 보아온 다른 저택들에 비해 내부 구조가 잘 되어 있는 집으로, 억만장자를 위해 설계된 저택이라는 점에 손색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저택에 대해 “하버 전체가 바라보이는 3층 구조의 펜트하우스와 같다”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모스만 주택 1).jpg (File Size:82.6KB/Download:30)
  2. 종합(모스만 주택 2).jpg (File Size:44.3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0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맨리의 휴가용 유닛, 735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200 호주 시드니 각 학교 주변 주택가격, 1년 사이 두 자릿수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9 호주 각 주 도시의 부동산 가격 급등, 임대주택 수익률은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8 호주 시드니 공항, 국제 컨소시엄과의 236억 달러 바이아웃 제안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7 호주 NSW 아웃백의 한 목장, 동식물 보호 위한 국립공원으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6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모든 농장 근로자에 최저임금 보장해야” 규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5 호주 코로나19 검역 절차 없이 호주인이 입국할 수 있는 해외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4 호주 연방정부, ‘호주 입국’ 조건에 인도-중국의 또 다른 COVID-19 백신도 인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3 호주 호주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프로그램, 11월 8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2 호주 연방정부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시작... 접종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1 호주 호주 코로나19 예방접종 80%... 제한 완화 설정 목표 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119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파이브덕 소재 주택, 3년 만에 180만 달러 수익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9 호주 퍼스 여성 에리카 로리, 1천 km ‘비불먼 트랙 달리기’ 새 기록 수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8 호주 “11세 이하 어린이 COVID-19 예방접종, 내년 1월 전에는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7 호주 블루마운틴 서쪽 끝 부분, 새로운 생태관광-어드벤처 목적지로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6 호주 “2030년까지 NSW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 전기차가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5 호주 봉쇄 조치 완화 불구 호주 실업률 6개월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4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3 호주 봅 카 전 NSW 주 총리, “안티 백서들의 메디케어 박탈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2 호주 코로나 팬데믹 20여 개월 500만 명 사망... 실제 사망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1181 호주 팬데믹 상황이 가져온 호주인의 지방 이주, 변혁적 아니면 일시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80 호주 아시아 태평양 여행-관광산업 회복, 전년 대비 36% 이상 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9 호주 밴 차량서 장기간 생활 호주 여성 증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8 호주 12세 미만 아동 백신접종 필요성은 ‘감염위험 및 전파 가능성’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7 호주 정부, 한국 등 여행자 포함해 유학생-숙련기술 근로자 받아들이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6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117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늘어난 매물로 예비 구매자 선택 폭 넓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4 호주 호주 각 주 도시에서 주택가격 저렴하고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3 호주 주택가격 상승률 높은 시드니 지역은... 브론테, 연간 55.1%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2 호주 연방정부의 ‘긍정적 에너지 정책’, 공공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1 호주 ‘living with COVID’ 전환 국가들, 호주 당국에 주는 조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70 호주 NSW 주 정부, 접종률 95% 이후의 COVID-19 제한 완화 로드맵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9 호주 연방정부, 동성애 학생 및 교사 등 보호 위한 ‘종교차별 금지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8 호주 논란 많은 ‘자발적 조력 죽음’, NSW 주에서 합법화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7 호주 유학생 및 여행자 호주 입국 허용, '오미크론 변이'로 2주 연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6 호주 전 세계 긴장시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델타’만큼 확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116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랜드윅 소재 저택, 89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4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문제, “사회주택기금으로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3 호주 11월 호주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져...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2 호주 주거용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만한 호주 상위 20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1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60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9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8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7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6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5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115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53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52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