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스기빙 광장’서 ‘세계 위안부의 날’ 촛불집회 … 달라스 한인회 관계자 등 50여명 참석, 일본정부 공식 사과 및 책임 촉구

 

 

Comfort_Women.jpg

▲ 8월 14일 ‘세계 위안부의 날’을 맞이해 달라스 다운타운에 소재한 ‘땡스기빙 광장’에서 소규모 촛불집회가 열렸다. 달라스 한인회 관계자 등, 한인 포함 약 50여 명이 집회에 참석했다. 사진제공 = 박규현‧더글라스 원.

 

‘세계 위안부의 날’을 맞이해 지난 14일(월) 저녁, 달라스 다운타운에 위치한 ‘땡스기빙 광장’(Thanksgiving Square)에서 촛불집회가 열렸다.

‘인 살러데러티’(In Solidarity)라는 인권단체 주관으로 열린 이날 촛불집회에는 20여명의 한인들을 비롯해 위안부 및 인신매매 문제에 관심 있는 타문화권 시민들이 참석했다.

한인사회에는 달라스 한인회 손현호 행정분과위원장, 6∙25참전 국가유공자회 오병하 회장, 달라스 한국노인회 김건사 회장, 루민병원 더글라스 원(Douglas Won) 원장, 한인전문가네트워크(KAPN) 박규현 부회장, 그리고 ‘인 살러데러티’와 함께 이번 촛불집회를 준비한 한인 박신민 씨 등이 참석했다. 달라스 성 김대건 한인성당의 이시훈 부제도 참석해 기도를 했다.

전체 집회 참가자 수는 50여명 남짓했지만, 이들이 들고 나온 메시지는 강력했다. 이들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공식적인 사과 및 책임을 촉구하며 생존해 있는 위안부 범죄자에 대한 처벌을 촉구했다.

주최측이 발표한 성명서에는 미국에 위안부 기념관을 건립하는데 시민사회의 동참을 촉구하는 메시지도 담겼다.

행사는 나눔의 집에 머물고 있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직접 그린 미술품 전시회로 시작됐다. 이 그림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심리치료의 일환으로 그린 그림으로, 촛불집회 참석자들에게 일제강점기 일본군이 저지른 인권침해의 실상을 강력한 이미지로 알렸다. 이번 집회에서는 고 김순덕 할머니가 그린 그림 4점과 고 강덕경 할머니가 그린 그림 6점이 전시됐다.

한인 노은영 양이 위안부 소녀를 상징하는 흰색 저고리와 검정 치마를 입고 집회장소에서 의자 앉아 있는 퍼포먼스도 벌였다. 집회 참석자들은 노은영 양 의자 옆에 마련된 빈 의자에 앉아 사진을 촬영하는 등, 노 양의 퍼포먼스로 위안부 문제의 실상으로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6∙25참전 국가유공자회 오병하 회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간의 역사 논쟁만이 아닌, 여성 인권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며 “우리가 이 문제를 바로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위안부 문제는 영원히 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림 전시회는 ‘나눔의 집’ 후원으로 이뤄졌다. 박신민 씨에 따르면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이 인사말을 보내왔고, 소녀상 조각가인 김서경·김운성 씨는 영상 메시지로 인사말을 전해왔다. 영화 <귀향>의 조정래 감독은 영화 OST와 함께 새로운 다큐 <언니야 집에 가자>라는 영화가 새로 나올 예정이라며, 달라스 촛불집회 참가자들에게 인사말을 전해왔다.

박신민 씨는 “원래 20대 여성이 이날 소녀상을 재현하려 했지만, 노은영 양이 흔쾌히 허락해 소녀상을 완벽하게 재현했다”며 “촛불집회 참가자들과 주최측 관계자들의 협조로 의미 있는 집회가 됐다”고 말했다.

‘세계 위안부의 날’은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위안부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통해 최초로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한 날로, 2012년 이를 기리기 위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 회의’에서 8월 14일을 세계 위안부의 날로 지정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70 미국 제 13회 김수환 추기경배 골프대회 “동포 사회 하나되는 축제” 뉴스코리아 17.09.10.
1769 캐나다 만나봅시다) SAIT 영어교육담당 총 책임자 매튜 아돌프 회장 CN드림 17.09.12.
1768 미국 격려와 감사 넘친 한국학교 교사사은회 KoreaTimesTexas 17.09.14.
1767 미국 가을 저녁, 깜짝 선물과도 같았던 ‘작은 음악회’ KoreaTimesTexas 17.09.14.
1766 미국 뉴욕한인 시의원탄생 물거품 뉴스로_USA 17.09.14.
1765 미국 [단독] 文대통령 뉴욕서 ‘흥남철수 영웅’ 뉴튼수도원 만남 file 뉴스로_USA 17.09.14.
1764 미국 성영준 파운데이션-달라스 한인회 “코리안 페스티벌 성공 위해 뭉쳤다” KoreaTimesTexas 17.09.15.
1763 미국 불체자 추방, “국토안보부 검사장이 직접 답한다” KoreaTimesTexas 17.09.15.
1762 미국 “휴스턴의 아픔, 끝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KoreaTimesTexas 17.09.15.
1761 미국 [휴스턴 수해지역 방문기] 집 안은 앙상한 뼈대, 집 밖은 쓰레기 더미 KoreaTimesTexas 17.09.15.
1760 미국 제18기 민주평통 달라스협의회, 11월 15일 출범식 KoreaTimesTexas 17.09.15.
1759 미국 김시우 미주 ‘공식’ 팬클럽 1기 모집 뉴스코리아 17.09.17.
1758 미국 KOWIN 달라스지회, 제17회 한국대회 참석 … ‘4차 산업혁명 시대’ 여성 역할 논의 뉴스코리아 17.09.17.
1757 미국 포트워스 ‘화요 골프회’, 허리케인 ‘하비’ 성금 기부 뉴스코리아 17.09.17.
1756 미국 매스터코랄 창립 21주년 기념 제15회 정기연주회 “기대 만발” 뉴스코리아 17.09.17.
1755 미국 “2018 국외 이북도민 고국방문단 신청 일찍 받는다” [1] 뉴스코리아 17.09.17.
1754 미국 “캐롤튼 다문화 축제, 한국 전통문화 빛났다” 뉴스코리아 17.09.17.
1753 미국 달라스 경찰국, “경찰과 시민이 더 가까워지는 자리입니다” 뉴스코리아 17.09.17.
1752 미국 제1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달라스 협의회 상견례 개최 file 뉴스코리아 17.09.17.
1751 미국 제18기 평통 달라스 협의회, 공식 행보 시작 [1] KoreaTimesTexas 17.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