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민 초청자의 재정 조건이 소리소문없이 대폭 강화됐다.

연방정부는 해외의 가족을 호주에서의 정착을 위해 초청할 경우 당사자의 재정적 능력을 기존보다 두 배 이상 강화하는 행정 규정을 도입했다.

예를 들면, 해외 거주 부모를 초청하고 싶은 부부의 경우 현재의 경우 기본적인 연 가족 소득 한도액이 45,185달러에 불과했지만 향후 부부의 연대 소득은11만5,475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된다.

독신자의 경우 해외의 부모를 초청하려 할 경우 연 소득이 86,606 달러를 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2019년 4월부터 가족을 초청하려 할 경우 보증 및 담보 등의 서류도 복잡해질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또 인도주의적 차원의 신규 이민자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12개월 간의 지원 보증 요구조건 도입 방안도 검토 중이다.

 

노동당 “전형적인 밀실 행정”

노동당은 “지역사회의 의견 수렴 절차 없이 일방적으로 이뤄진 전형적인 밀실 행정이며, 의회에서의 토론도 없었고 정부 차원의 공식 발표문도 나오지 않았다”고 분개했다.

녹색당은 “입으로는 이민 축소를 반대한다면서 행정적으로는 계속 이민 정책의 고삐를 틀고 있다”고 비난했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입법 절차를 요구하지 않는 행정 규정에 해당되며 이미 4월 1일부터 시행에 옮겨진 상태다.

자유당 연립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이민자 단체들은 “빈곤층 이민자들의 가족 초청 이민을 사실상 봉쇄하려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밀실 행정”의 비난 목소리가 거세지자 연방정부는 뒤늦게 관련 보도 자료를 배포하는 등 파문 진화에 나섰다. 

연방정부는 “호주에 정착하는 신규 이민자들의 복지수당 의존율을 낮추기 위함이며, 가족을 호주로 초청했으면 정착 초기 몇 년 동안 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감당하는 것이 순리”라고 강변했다.

현행 이민법 상에 부모 및 가족 초청 등 다수의 비자 조항은 재정 보증인이 필수조건이며, 그렇지 않은 비자 항목의 경우도 내무장관의 재량권으로 재정보증을 조건으로 내걸 수 있다.

하지만 노동당의 사회봉사부 예비장관 제니 맥클린 의원은 “특히 중국 교민사회가 매우 분개하고 있다”면서 “지역 민심을 무시한 독선적 행동”이라고 비난했다.  

실제로 일부 중국교민단체들은 이번 결정의 철회를 촉구하는 서명 운동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FECCA “모든 가족 초청 이민 희망자들에게 타격”

연방소수민족협의회(FECCA)는 “다문화주의 사회로서는 매우 곤혹스럽고 우려스러운 결정이다”는 반응을 보였다.

매리 파테트소스 위원장은 “출신지와 무관하게 모든 가족 초청 이민 희망자들이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가족 초청은 성공적인 정착과 사회적 결속력 증진, 경제적 번영의 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호가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번 조치는 호주의 사회복지제도의 지속 발전과 신규 이민자들의 자립 능력 증진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역설했다.

 

99 비자 항목 10개로 축소시스템 간소화이민문호 축소의 꼼수’?

이런 가운데 내무부가 현행 99가지의 비자 카테고리를 10가지로 대폭 축소하기 위한 막바지 검토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알려져 그 파장에 귀추가 집중되고 있다.    

시행에 옮겨질 경우 20년 만의 가장 큰 폭의 이민법 개정 조치가 될 전망이다.

다수의 이민 전문가들은 “향후 이민 신청 성공률과 직결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조언이 절실하다”며 큰 우려감을 드러냈다.

즉, “비자 기각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인 것.

 

시스템의 간소화

내무부가 이 같은 변화를 추구하는 이유는 증가하는 해외 이주를 억제하는 한편, ‘구 시대의 유물’로 불리는 비자 시스템의 비용을 줄이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내무부는 웹사이트에서 ‘더욱 유연한 정부 제도를 통해 더 나은 이민자를 끌어들이는데 새로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내무부 수치에 따르면 비자와 시민권 신청 수는 향후 10년 안에 50%가 늘 것으로 보이며, 연간 지원자 수는 1300만 건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내무부의 피터 더튼 장관은 지난해 7월 비자 카테고리에 변화를 주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후 정부는 7주간에 걸쳐 총 255건의 공개 의견서를 접수했다.

공개 의견서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먼저 ‘탐색하기 쉬운’ 비자 시스템에 대한 강력한 지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에 의견서를 제출한 다수의 사람들은 ‘임시 비자에서 영주권을 받는 경로들을 유지하는 것’에 강력한 지지 입장을 보였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정부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반면 최근 들어 457 비자 프로그램 개혁 조치를 비롯해 이주자들이 영주권을 받을 기회가 줄어드는 변화 조치가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정부는 현재의 영주권자가 받는 복지 수당과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새로운 임시 비자 시스템도 고려하고 있다.

노동당도 이번 조치에는 원칙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입장이다.  하지만 “호주 영주 거주 기회를 좁히고 임시 거주 기회를 넓히려는 ‘꼼수’는 결국 국내 이민자들을 하층 계급으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다.

즉, “비자 제도의 간소화는 불가피하지만, 그 저의가 한마디로 호주 이민문호 축소라는 것이 문제”라고 노동당은 지적했다.

http://www.topdigital.com.au/node/5704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51 호주 ‘딸기 속 바늘 테러’ 용의자 체포…50세 여성 톱뉴스 18.11.19.
2950 호주 호주 사커루즈, 한국 전 대비 최정예 멤버 구성…해외파 전원 합류 톱뉴스 18.11.19.
2949 뉴질랜드 용오름 현상 나타난 노스쇼어 인근 바다 NZ코리아포.. 18.11.20.
2948 뉴질랜드 부유한 중국인 가족 대상, 하루 2만 5천 달러 여생 상품 소개돼 NZ코리아포.. 18.11.20.
2947 뉴질랜드 셀프 서비스 딸기 농장 “얌체 손님들 때문에 골머리” NZ코리아포.. 18.11.20.
2946 뉴질랜드 미성년자 탄 차에서의 흡연 금지, 방안 준비 중 NZ코리아포.. 18.11.21.
2945 뉴질랜드 타우랑가, 소매점과 식당 바 근처에서 구걸행위 금지 규정 통과돼 NZ코리아포.. 18.11.21.
2944 뉴질랜드 최근 해수면 온도 SST 조사, 금년도 약 3도 정도 높아 NZ코리아포.. 18.11.21.
2943 뉴질랜드 원예산업에 큰 피해 입힐 해충 “유입 직전에 호주에서 차단돼” NZ코리아포.. 18.11.21.
2942 뉴질랜드 5년 동안 이름 바꿔가며 17만달러 넘는 복지 수당 수령자 적발 NZ코리아포.. 18.11.22.
2941 뉴질랜드 이번 여름 비정상적인 엘니뇨 영향, 이상 저온 현상 예상돼 NZ코리아포.. 18.11.22.
2940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데어리, 임금과 벌금으로 18만 달러 이상 부과 NZ코리아포.. 18.11.22.
2939 호주 캔터베리 병원, 지역민 위한 ‘오픈 데이’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8 호주 시드니 북부 ‘포트 매콰리’ 인구, 빠르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7 호주 각국별 교사 연봉과 ‘스승에 대한 존경’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6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일부 지역 ‘초고밀도’ 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5 호주 싱가포르 항공, ‘AirlineRatings’ 선정 ‘세계 최고 항공사’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4 호주 호주는 세계 최고 도박지출국? ‘그렇다’에 ‘베팅’해도 좋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3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18- Best Concept Car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2 호주 ‘마틴 플레이스’ 트리 점등으로 올 크리스마스 시즌 이벤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1 호주 NSW 주, ‘시간제 주차’ 차량에 10분의 유예 시간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30 호주 호주 유권자 46%, “무슬림 이민자 수용 제한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29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총생산 6천억 달러 벽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28 호주 Political cartoons... 갈수록 미묘해지는 호주 정치 ‘풍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27 호주 “이민자 감축이 아니라 ‘적절한 인구증가 관리’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2926 호주 호주정부, 이민자 유입량 연 3만명 감축 움직임 톱뉴스 18.11.25.
2925 호주 사커루즈 ‘영원한 맏형’ 팀 카이힐 대표팀과 공식 작별 톱뉴스 18.11.25.
2924 호주 ASEAN 이슬람 회원국, 이스라엘 주재 호주대사관 이전 움직임에 ‘반발’ 톱뉴스 18.11.25.
2923 호주 “노동당의 네거티브 기어링 혜택 축소 계획은 ‘핵폭탄’” 톱뉴스 18.11.25.
2922 뉴질랜드 합성대마초 입원환자 연간 2배 증가, 처벌 강화 법안 놓고 정당간 의견 차 NZ코리아포.. 18.11.26.
2921 뉴질랜드 일요일, 남섬 남쪽 섬 인근에서 5.8 지진 발생 NZ코리아포.. 18.11.26.
2920 뉴질랜드 부동산 대출 융자 규제, 이번 주 완화될 것으로 기대돼 NZ코리아포.. 18.11.26.
2919 뉴질랜드 뉴질랜드 운동신경 세포 질환 사망, 세계 평균보다 5배나 높아 NZ코리아포.. 18.11.27.
2918 뉴질랜드 정부, 2020년에 3건의 국민 투표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11.27.
2917 뉴질랜드 스튜어트 아일랜드 메이슨 베이, 145마리 고래 좌초후 떼죽음 NZ코리아포.. 18.11.27.
2916 뉴질랜드 암모니아 유출해 장어 2000여 마리 폐사시킨 냉장회사 NZ코리아포.. 18.11.28.
2915 뉴질랜드 125년 전 오늘 “NZ 여성들, 역사상 최초로 투표권 행사했다” NZ코리아포.. 18.11.28.
2914 뉴질랜드 아홉살 난 자폐증 아들 둔 아버지, 맥도날드에서 보조견 때문에 쫓겨나 NZ코리아포.. 18.11.28.
2913 뉴질랜드 NZ 마약 주 반입 루트 “중국에서 미주 국가들로 바뀌고 있다” NZ코리아포.. 18.11.28.
2912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11 호주 사라지는 여흥 명소들... 킹스크로스 ‘World Bar’ 폐쇄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10 호주 이스트우드 공용주차장, ‘단기 주차 서비스’로 운영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9 호주 시드니 동-북부 해안을 잇는 80km 길이의 ‘워킹 트레일’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8 호주 작아지는 주거지... 신규 주택 내부 면적, 22년 만에 ‘최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7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18- 올해의 자동차에 ‘Toyota Camry Hybrid’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6 호주 Australia's new luxury train- ‘Great Southern’(Adelaide-Brisbane)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5 호주 ‘Sydney is full’? “주 정부는 ‘과다 이민자’ 논할 때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4 호주 빠른 인구증가 속도... 2066년까지 4천200만 명 넘어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3 호주 NSW 주 인구 증가 관련, “경고버튼 함부로 눌러선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2902 뉴질랜드 환자가 끓는 물 끼얹어 화상입은 정신병원 간호사 NZ코리아포.. 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