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도시 성장 1).jpg

글로벌 부동산 관리 및 투자회사인 JLL(Jones Lang LaSalle Incorporated) 사의 ‘City Momentum Index’ 결과 전 세계 주요 도시 역동성에서 시드니는 활발한 상업용 부동산 거래에도 불구, 전체 순위에서는 16위에 랭크됐다.

 

‘Commercial Real Estate’ 분석... 상위 30개 도시에 포함

 

상업용 부동산 거래를 기준으로 볼 때 멜번(Melbourne)과 시드니(Sydney)는 전 세계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역동적인 도시 중 하나라는 진단이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가 운영하는 상업용 부동산 전문 사이트인 ‘Commercial Real Estate’(www.commercialrealestate.com.au)‎가 지난 일요일(12일), 전 세계 주요 도시의 경제성장 및 상업용 부동산 거래를 보여주는 JLL(Jones Lang LaSalle Incorporated) 사의 ‘JLL City Momentum Index 2017’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역동적 발전을 보여주는 상위 30개 도시 가운데 멜번과 시드니는 각각 12위, 16위에 랭크됐다.

도시 역동성에서 멜번이 동부 항구도시(시드니)보다 높게 진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JLL 사의 호주 연구책임자인 앤드류 밸런타인(Andrew Ballantyne)씨는 “호주의 두 도시가 이번 리스트 상위에 랭크된 것은 두 도시의 경제적 호황을 설명해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두 도시에서 진행되는 상당한 부동산 투자는 물론 무역거래, 부동산 시장에 대한 새 자본 유입을 보여준다”며 “(경제 발전 속도가 빠른) 중국, 인도, 베트남과 가까이 위치해 있다는 점도 인상적”이라고 덧붙였다.

JLL 사의 이번 ‘City Momentum Index’는 42개 지표를 3개 주요 카테고리(사회경제적 탄력, 상업용 부동산, 고부가 가치의 창업보육)로 나누어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순위를 평가했다.

 

종합(도시 성장 2).jpg

2017년 지표에서 멜번은 처음으로 시드니를 앞질러 12위로 평가됐다. 사진은 멜번 도심 풍경.

 

이 결과 ‘상업용 부동산’ 부문에서 시드니는 전 세계 도시 가운데 1위를, 멜번은 10위에 올랐다. 호주의 두 도시는 사무용도의 부동산 임대시장에서 전 세계 도시 중 가장 활발한 것으로 평가됐다.

밸런타인 연구원은 멜번이 이번 인덱스에서 높은 순위에 자리매김 한 데 대해 “빠르게 이루어지는 인구 성장” 때문으로 진단했다.

그는 “멜번은 인구성장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도시”라면서 “이 도시는 호주 전체 인구 성장 속도를 앞지르고 있으며 증가하는 인구를 감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주에도 적합한 도시”라고 평가했다.

멜번은 지난해 조사 지표에서도 전 세계 도시 중 18위에 랭크된 바 있다.

그런 한편 시드니는 가장 활발한 상업용 부동산 거래에도 불구, 사회경제적 탄력 및 장기 모멘텀 부문에서는 뒤쳐졌다.

하지만 밸런타인 연구원은 “시드니가 이 부문(사회경제적 탄력과 장기 모멘텀)에서 저조했던 것은 투자보다는 생산품 부족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따라서 2017년 상반기에는 강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만약 올해 상반기, 시드니가 탄력을 받는다면 도시 역동성 지표 순위는 더욱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JLL City Momentum Index 2017’ 자료에 따르면 인도 남부 카마타카(Kamataka) 주 주도인 방갈로르(Bangalore)는 전 세계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빠르겨 발전하는 도시로 꼽혔으며, 베트남 호치민(Ho Chi Minh City), 실리콘 밸리(Silicon Valley), 상하이(Shanghai), 인도 중부 도시 히데라바드(Hyderabad)가 뒤를 이었다.

 

■ 2017년 도시 역동성 순위

1. Bangalore(인도 남동부 카마타카 주 주도)

2. Ho Chi Minh City(베트남)

3. Silicon Valley(미국 캘리포니아 주)

4. Shanghai(중국)

5. Hyderabad(인도 중부 도시)

6. London

7. Austin(미국 텍사스 주 주도)

8. Hanoi(베트남)

9. Boston

10. Nairobi(케냐)

11. Dubai(UAE)

12. Melbourne

13. Pune(인도 서부 도시)

14. New York

15. Beijing

16. Sydney

17. Paris

18. Chennai(인도 동부 도시)

19. Manila

20. Seattle

21. San Francisco

22. Shenzhen

23. Delhi

24. Raleigh-Durham(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지역 도시

25. Mumbai

26. Hangzhou

27. Los Angeles

28. Dublin

29. Nanjing

30. Stockholm

Source : JLL City Momentum Index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도시 성장 1).jpg (File Size:207.8KB/Download:32)
  2. 종합(도시 성장 2).jpg (File Size:70.8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7 호주 ‘누가 무엇을 얻는가’의 논쟁... 호주 명예훈장 시스템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096 호주 시드니의 ‘sea and tree changers’, 지방지역 주택가격 상승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5 호주 ‘코어로직’의 1월 주택 관련 자료를 통해 전망하는 올해 주택시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4 호주 2021년도,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을 기록한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3 호주 팬데믹으로 인한 록다운 기간 중 호주인 맥주 소비량,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2 호주 팬데믹 이후 퀸즐랜드 주 ‘노인학대 헬프라인’ 신고, 거의 32%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1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세계적 수준의 야외 음악회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90 호주 “우리 지역 스몰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자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9 호주 백신자문그룹, 16-17세 청소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8 호주 국경 완화 이후 국제학생 입국 증가... 업계, “더 많은 유학생 유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7 호주 검고 시퍼런 멍으로 묘사한 인종차별과 회복력에 대한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6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택 압박감, 뉴욕-런던 시민보다 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5 호주 호주, 2월 21일부터 각국 여행자에 검역 절차 없이 입국 허용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4 호주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 재조정의 해가 될 것...” 전염병 전문가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1083 호주 광역시드니 중간 주택가격 160만 달러... 성장세는 둔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2 호주 ‘워킹 홀리데이’ 비자 신청 및 발급 급증에도 농장 노동력 부족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1 호주 호주의 각국 여행자 입국 허용... Here's who can travel, and when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80 호주 20년 후 광역시드니 인구, 폭발적 증가 예상... 기반시설 압박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79 호주 COVID-19 예방주사, ‘완전 백신접종’ 대신 ‘최근 접종’ 용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1078 호주 덴마크의 COVID-19 데이터, 팬데믹 사태의 끝을 보여준다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