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Menu

OK News


종합(실업률 1).jpg

6월 호주 실업률이 지난 1974년 이래 최저 수준(3.5%)으로 떨어졌으며, 노동시장 참여율은 66.8%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센터링크(CentreLink)에서 대기하는 사람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1974년 8월(2.7%) 이후 최저, RBA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높아져

 

지난 달 호주 전역에서 8만8,400개의 일자리가 추가되면서 공식 실업률은 3.5%로 더 하락했다. 이는 지난 3개월 연속된 3.9%에서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1978년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월별 일자리 수를 집계한 이래 가장 낮은 실업자 수치이다.

또한 ABS의 노동 통계 책임자인 비요른 자비스(Bjorn Jarvis) 국장에 따르면, 2.7%를 기록했던 지난 1974년 8월 이후 최저 실업률이다.

자비스 국장은 “지난 달 집계된 여성 실업률 3.4%는 1974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것이며 남성 3.6% 실업률은 1976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호주 경제의 또 다른 긍정적 요소는 일자리를 찾는 이들의 수가 크게 증가했음에도 실업률이 감소했다는 것으로, 노동시장 참여율은 66.8%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보였다. 지난 6월, 일자리를 찾는 이들이 많았지만 이들 구직자(49만4,000명)만큼의 일자리(5월 48만 개)가 만들어졌다.

실업률 수치는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를 제외한 모든 주 및 테러토리(State and Territory)에서 하락했다. 각 주 별로 보면 ACT(3.1%), 빅토리아(Victoria, 3.1%), NSW(3.3%), 서부호주(3.4%, 5월 3.1%에서 상승)가 가장 낮았다. 이어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 3.7%) 퀸즐랜드(Queensland, 4.0%) 순이었으며, 남부호주(South Australia)와 타스마니아(Tasmania)가 각 4.3%였다.

 

모기지 상환에는

반갑지 않은 소식

 

이처럼 낮은 실업률 수치는 각 기업의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의미한다. 지난 달 실업률 데이터에서 명백하게 드러난 부정적인 점은, 불완전 고용이 다소 증가(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이었던 5.7%에서 6.1%로 집계)했다는 것, 그리고 노동시간이 줄었다는 것이다.

자비스 국장은 이 같은 노동시간 감소에 대해 “최근 다시 확산되는 COVID-19 감염자 파동, 이보다 더 높은 겨울 독감 발생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월, 질병으로 인해 약 78만 명이 평소보다 적은 시간 일을 했다”며 “이는 매 겨울 시즌이 시작될 때 볼 수 있는 평균 수치의 거의 두 배”라고 덧붙였다.

 

종합(실업률 2).jpg

실업률 하락으로 경제 전문가들은 다음 달(8월), 호주 중앙은행(RBA)이 기준금리를 또 다시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사진 : CommBank

   

실업률 하락은 또 다른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경제학자들은 호주 중앙은행(RBA)이 다음 달(8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또 다시 0.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모기지(mortgage)를 상환해야 하는 이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경제 컨설팅 사인 ‘BIS Oxford Economics’의 숀 랭케이크(Sean Langcake) 연구원은 “현재 노동시장은 RBA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타이트해졌고 임금 및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금리인상은 물가가 높아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법이다.

만약 RBA가 오는 8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인상을 결정한다면 지난 5월 초 0.1%의 비상 최저치에서 1.85%로 급등하게 된다.

도이체뱅크(Deutsche Bank)의 애널리스트 필 오도나호(Phil Odonaghoe)씨 등 일부 분석가들은 RBA가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훨씬 더 공격적으로 임할 것임을 예상했다. 그는 “지난 달 미국 CPI(소비자 물가지수)의 하락, 캐나다 중앙은행(Bank of Canada)의 기준금리 100베이시스포인트 인상이라는 놀라운 결정에 비추어 RBA의 인상폭은 최대 0.75%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예상이 실제로 나타난다면, 지난 5월 RBA의 첫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불과 4개월 만에 2%포인트가 높아지는 것이며, 이는 생활비 부담을 안고 있는 이들에게 더욱 큰 고통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40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39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38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37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3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35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21
593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33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32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3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30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29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28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27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2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25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14
5924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07
5923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07
5922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22.07.07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 341 Next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