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칼럼] 대한민국 방문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 유감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는, 2005년 6월 22일에 열린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63차 회의에서 확정된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가 옳은 표기이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6/05/26 [00:24]
 
 
【UB(Mongolia)=Break News GW】
본 기자가 며칠 전 작성해 올린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관련 기사가, 5월 25일 수요일, 재외동포언론인협회(약칭 재언협, OKJA=Overseas Kore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김훈 영국 유로 저널 대표) 웹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관련 기사가 재외동포언론인협회(약칭 재언협, OKJA=Overseas Kore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김훈 영국 유로 저널 대표) 웹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알렉스강 특파원

본 웹사이트에, 일반적으로 지구촌 각국의 재외 동포 기자들이 각자가 거주 중인 국가의 지구촌 뉴스를 시시각각 게시하고 있는 상황이긴 하나, 본 기자가 빈번하게 올려대는 몽골 뉴스는 좀처럼 헤드라인 근처에 접근을 못하더니, 이번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으로 그나마 관심이 쏠리는 모양새여서 그나마 다행한 느낌을 갖게 된다.

현재, 지구촌 각국 100여개 몽골 한인 동포 언론사와 1,000여명의 회원이 가입돼 있는 재외동포언론인협회는, 그동안 대한민국과 700만(<=720만) 재외동포 사회와의 소통 확대, 교류와 협력, 그리고 재외동포 언론 네트워크 강화 등을 위해 지난 2002년부터 대한민국에서 재외동포언론인(기자)대회를 해마다 개최해 왔으며, 2011년부터 봄철과 가을철 등 1년에 두 차례씩 행사가 열리고 있다.

그런데, 설마, 본 기자가, 본 기자가 작성한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관련 기사가 재외동포언론인협회(약칭 재언협, OKJA=Overseas Kore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김훈 영국 유로 저널 대표) 웹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고, 감격스러워 이렇게 호들갑스럽게 기사 작성에 나섰겠는가?

본 기자의 속내는 다른 곳에 있다.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Цахиагийн Элбэгдорж=Tsakhiagiin Elbegdorj)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보도에 나선 국내 일부 일선 기자들의 몽골 대통령 이름 표기가 중구난방이어서 분명히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한 나라의 대통령 이름의 한글 표기를 이렇게 멋대로 해도 되는 건가? 지구촌 초강대국 미국이나 러시아 대통령이 아닌 몽골 대통령이라서 우습다는 건가? 어찌 이리 무심한가? 몽골 주재 한인 동포이기도 한 본 기자로서는 참으로 통탄할 노릇이다.

대한민국에는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이하 위원회)’라는 게 엄연히 존재한다. 한국어에 새로 들어오는 외국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를 심의하고자 1991년 9월 국립국어연구원(현 국립국어원)과 한국신문편집인협회(1996년 1월 23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로 이름을 바꿈)가 공동으로 구성한 게 바로 이 위원회이다. 현재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 인원은 총 19명이며 바로 이 총19명의 인원이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 결정의 전권을 갖는다. 그야말로 엄청나면서도 막강한 언어 분야의 권력이 아닐 수 없다.

본 위원회에 의해 한글 표기가 확정된 몽골어 낱말은 현재 모두 17개 낱말이다. 하지만, 외래어표기법 제3장 표기 세칙에 보면 21절에 걸쳐 세계 21개 언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원칙이 나열되어 있긴 하나 어찌된 일인지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원칙은 빠져 있다. 낱말 그대로 외래어표기법은 외래어를 대한민국의 자모인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언어마다 음운 체계나 문자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언어의 어휘를 다른 언어로 흡수해 표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의 경우 한국어 이외의 다른 언어(21개 언어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등임)에 있는 음운을 표준어에 있는 비슷한 음운과 1대 1로 대응시켜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는 중구난방이다. 한-몽 수교 직후부터 몽골 대학 강단에서 한국어 교육의 일선에 서 왔던 본 기자로서는, 그동안 몽골어의 한글 외래어표기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그동안 위원회가 확정한 외래어 표기를 살펴보고 몽골어의 한 낱말, 한 낱말을 일일이 세심하고 꼼꼼하게 챙겨 왔다. 이제는 몽골 낱말만 보고도 위원회의 의중을 헤아릴 수 있게 됐다.

현재, 일부 국내 언론 매체, 일부 인터넷 누리집에서는 위원회의 결정과 다른 표기가 발견되고 있으며, 이런 혼선과 무식함은 되풀이 되고 있다. 몽골 현직 대통령의 이름인 ‘Элбэгдорж(Elbegdorj)’는 2005년 6월 22일에 열린 63차 회의에서 ‘엘베그도르지’로 확정됐으나, 몽골 현지나 대한민국 언론 매체에서는 ‘엘베그도르지’보다 ‘엘벡도르지’라는 표기가 대세다.

우리나라를 방문하기도 했던 몽골 초대 대통령의 이름인 ‘Очирбат(Ochirbat)’는 1997년 5월 30일에 열린 제 16차 회의에서 ‘오치르바트’로 확정돼 한국 언론에서 그렇게 줄곧 쓰고 있으나, 최근 외국인 교수로서 대한민국 어느 대학교 학과장에 임명된 몽골인 교수의 이름 ‘Отгонцэцэг(Otgontsetseg)’는 같은 ‘О’가 들어갔는데도 ‘오’가 ‘어’로 바뀌어 지금 ‘어트겅체첵’으로 표기되고 있다.

몽골의 수도 이름 ‘Улаанбаатар(Ulan Bator)’의 한글 표기는 제18차 회의에서 ‘울란바토르(정확한 몽골 발음으로는 올랑바타르)’로 확정된 바 있으나, 어찌된 일인지 몽골 현지 인터넷 언론 매체와 몽골 정기노선을 운행하는 대한항공 누리집에는 버젓이 ‘울란바타르’로 올라 있고, 더욱이 이 ‘울란바타르’라는 한글 표기를 학교 이름으로 사용하는 대학교가 얼마 전까지 몽골에 존재(지금은 UB로 표기한다)했다. 중구난방으로 표기되는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가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본 기자의 의중은 발음 문제를 가지고 따따부따(=딱딱한 말씨로 따지고 시비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하고자 함이 아니다. 본 기자는 그런 문제로 본 기자에게 시비를 걸어올 수도 있는 부류들과 시간을 낭비할 의사가 전혀 없다. 그런 문제는 이의 제기자(異意提起者)와 위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요컨대, 본 기자의 속내는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 결정의 전권을 가진 위원회가 확정한 표기를 통일해서 쓰자는 것이다.

 
2015112346532553.jpg

지난 1990년 3월 26일 대한민국과 몽골의 국교가 수립된 뒤, 정부 차원(정부 차원의 한국어 교육은 1992년 9월부터이다. 민간 차원의 한국어 교육은 1991년 몽골에서 이미 이뤄지고 있었으며, 한-몽 수교 이전의 북한어 교육은 북한 유학생들에 의해 수행됐음)의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는 대한민국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한국어 교원 파견에서부터 비롯됐다.

한-몽 수교는 지난 2016년 3월 26일로 26돌을 넘겼고 중고등학생, 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포함한 몽골에서의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 수는 해마다 늘어나 공식적인 집계에 따르면 이미 수 천 명(비공식적으로는 만 명)을 넘어섰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처럼 일단 몽골 사람들이 외래어 표기법을 무시하고 발음대로 적는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에 익숙해지면 바로 잡기가 힘들다.

속을 끓이던 본 기자는 지난 2010년 7월의 제17차 국제한국언어학회(ICKL) 정기학술대회는 물론, 지난 2010년 11월 몽골과학기술대(MUST)에서 열린 국제한국학학술대회에서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에 따른 몽골 낱말 표기에서 제기되는 문제」라는 주제의 논문을 통해 여러 한국인 및 몽골인 교수들에게 외래어표기법의 준수 당위성과 관심 집중을 호소하는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인 바 있다.

아울러, 지난 2010년 서울에서 국외 한국어교원 연수회가 열렸을 때 권재일 당시 국립국어원장(현재는 학글학회장으로 재직 중임)과의 만남을 통해 몽골 현지 발음과 외래어표기법의 괴리 때문에 외래어표기법이 중구난방이 되어 가는 몽골 상황을 귀띔한 바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현지 발음과 외래어표기와의 괴리 문제를 세계 각국 언어권 별로 점검하고 있는 중이라는 원장의 답변을 당시 듣긴 했으나 왠지 본 기자는 우선 순위 면에서 몽골어가 한참 뒤로 밀리는 느낌을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19명의 위원들을 모두 몽골로 초청해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원칙 확정을 위한 특별 회의라도 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나 본업이 따로 있는 19명의 위원들의 일정을 무슨 수로 조정하며, 게다가 한 명도 아니고 19명의 몽골 체류 비용을 무슨 수로 감당해낼 것인가. 한국어의 공통된 법칙을 찾아 표준 용어와 표준 발음을 정한 것이 표준어 규정이고, 이 규정을 좇아 우리말을 표기하는 기준을 정한 것이 한글맞춤법과 외래어표기법이며, 우리말을 로마자로 적는 기준을 정한 것이 로마자표기법이다.

이 규정들이 언어생활에서 따르고 지켜야 할 공식적인 기준인 동시에 한국어를 사용할 때에 누구나 지켜야 하는 언어의 법칙이라면 이젠 위원회가 직접 나서야 할 때이다. 한글 표기가 확정된 몽골어 낱말을 17개로만 묶어둘 것이 아니라 몽골어의 한글 표기 원칙을 서둘러 확정하고, 일일이 간섭하고 눈에 불을 일구면서 외래어표기법이라는 대원칙을 엄중하게 끌고 나가야 한다. 책임 기관인 위원회는 중구난방인 몽골의 이런 상황 해결에 전혀 뇌파가 작동하지 않는 것일까?

본 기자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사이 어느덧 국내 일부 일선 기자들까지 부화뇌동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몽골어의 한글 표기 원칙 확정은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닌 시급히 풀어야 할 당면 과제가 됐다

본 기자는 복수 표준어라는 말은 들어 봤어도 복수 외래어란 말은 들어 보지 못했다. 이건 참으로 통탄할 만한 일이다. 몽골 낱말의 현지 발음과 ‘위원회’의 표기 원칙에 의해 확정된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의 발음이 괴리가 심각한 현실이다 보니 그럴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이제는 이 되풀이되는 혼선과 무지를 어떻게든 끝장내야 한다. 특히, 한국어교원들과 일선 기자들은 책임 의식을 갖고 이 점을 반드시 명심해야 마땅할 것이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6/05/26 [00:24] 최종편집: ⓒ 2018breaknews.com
  • |
  1. 이미지 2.jpg (File Size:125.8KB/Download:7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 고용시장에도 의리와 윤리가 있다 file

    경쟁사로 이직, 급작스런 감원 등에 대한 기업의 사전 조치 필요 (로스앤젤레스=코리아위클리) 홍병식 (내셔널유니버시티교수) = 고용시장에서는 옛날부터 내려온 불문률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Employment at will”이라고 하는데 이는 “직원을 채용하는 것이나 직장을 ...

    고용시장에도 의리와 윤리가 있다
  • 행복하기를 원하는가? file

    [행복편지] 스스로를 바꾸어야 (탬파=코리아위클리) 신동주 = 여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싱그러운 실록의 계절 6월이다. 플로리다 무더위가 다소 버거워도 이곳에서 삶을 살고 있는 가정들이 이 시기를 행복하게 보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카네기의 인생론에는 ...

    행복하기를 원하는가?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10 file

    톈산위구르 왕국, 몽골제국 형성에 공헌하다.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 한인일보 발행인)       지지난주 필자는 중국의 우룸치에서 이닝을 거쳐 카자흐스탄으로 넘어오는 손님들을 마중하러 호르고스를 다녀왔다.  신실크로드 물류현황을...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10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9 file

    오아시스 농경민의 원래 고향은?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 한인일보 발행인)         우리는  지난호까지 기원전부터 유라시아 초원에 살았던 유목민들의 역사를 훑어보았다.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9
  •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8 file

       돌궐과 투르크 그리고 터어키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 한인일보 발행인)    우리는  지난호(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7)까지 기원전부터 대략 기원후 5세기 정...

    특별 기획 :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유라시아 역사' – 8
  • 백악관의 제주도 나무들 file

      주목, 구상나무, 개나리 진달래 피어나   백악관=뉴스로 윌리엄 문 기자 moonwilliam1@gmail.com         백악관 남문과 북문 앞으로 관광, 안내, 산책을 많이 다녔지만 백악관 북문 경내에 수령(樹齡) 50-70년생 쯤 되어 보이는 주목(朱木) 나무들이 있음을 전혀 눈치...

    백악관의 제주도 나무들
  • '기독교 환자' 우일병의 참회록

    '기독교 환자' 우일병, 고참을 들이받다 [꽁트: 예수이름으로, 예수이름으로 2] 한 '꼴통' 기독교인의 참회록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우일병이 소속된 사진반은 밤 12시가 넘도록 암실에서 현상.인화 작업하는 일이 비일비재 했다. 희미한 적조등 아래서 ...

    '기독교 환자' 우일병의 참회록
  • [몽골] 무하마드 알리 별세, 몽골에서도 추모 물결 file

    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몽골] 무하마드 알리 별세, 몽골에서도 추모 물결   6월 3일 금요일(미국 현지 시각) 별세 이후, 지구촌 언론 매체를 통해, 몽골을 비롯한 지구촌 각국에서 추모 열기 이어져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ㅣ 기사입력  2016/06/07 ...

    [몽골] 무하마드 알리 별세, 몽골에서도 추모 물결
  • 당근 우습게 여기지 마라 file

        너에게 묻는다     김명곤     경상도 양반동네 예천에서 태어나 구공탄 냄세 밴 전라도 익산에 사는 '연탄재 시인' 안도현은 이렇게 물었다.   "연탄재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토끼하고 발 맞추던 전라도 벽촌에서 태어...

    당근 우습게 여기지 마라
  • ‘대작’그림 팔아먹다 쫄딱 망한 조영남 file

      글=이계선(뉴스로)   김포공항 가는 등촌동 언덕배기에 서있는 나사렛신학교. 여름방학이라 기숙사는 빈집이었다. 졸업반인 난 잠간 들릴 일이 있어 문을 여는데 찬송(讚頌) 소리가 들려왔다.   “내 주를 가까이 하려 함은/ 십자가 짐 같은 고생이나/ 내 일생 소원은 ...

    ‘대작’그림 팔아먹다 쫄딱 망한 조영남
  • 2016년 5월, 개같은 날의 오후 file

    2016년 5월, 개같은 날의 오후 <5.18 시선>   김명곤     희극같은 요설이 판치는 세상 전씨가 ‘신동화’ 인터뷰에서 12.12 쿠테타를 묻는 기자에게 “12.12가 뭐죠?” 되묻고는 '예우해주면, 망월동 참배 가겠다’ 그랬답뎌   아하, ‘망각’도 ‘각’이라 전두환 선사의 도는 ...

    2016년 5월, 개같은 날의 오후
  • '광주'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마라

        [전두환 이등병 구하기 2] ‘모래시계’에 묻혀버린 광주의 진실 (광주민주화운동 36주년을 맞아 최근 전두환 전 대통령이 "광주에서 '예우'해주면 망월동을 참배하겠다"는 언급을 하여 광주 시민들을 포함한 많은 국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1979년 치밀하게 계...

    '광주'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마라
  • 이미자와 노닥거린 장동백이 아들, 곰배마을 영영 떠나다

      [꽁트 : 예수이름으로, 예수이름으로 1] 깡촌 교회마을 ‘전축’에 얽힌 이야기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시상에나... 장동백이 아들 실성혔나벼! 밥도 제대로 못 끓이는 주제에 전축이 다 뭐다냐?" "뭐시기라? 얼마전에는 옆집 이장에게 쌀 산다고 500원만 ...

    이미자와 노닥거린 장동백이 아들, 곰배마을 영영 떠나다
  • [칼럼] 대한민국 방문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 유감 file

    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칼럼] 대한민국 방문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 유감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는, 2005년 6월 22일에 열린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63차 회의에서 확정된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가 옳은 표기이다   알렉스 강 ...

    [칼럼] 대한민국 방문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 유감
  • 임을 위한 행진곡이 ‘종북가요’? file

    기자의 눈 - 이광희 : 임을 위한 행진곡이 '종북가요'?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대한민국 아픈 역사의 한 순간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임을 위한 행진곡’ 의 도입 부분이다. 언제 들어도 가슴이 먹먹하다. 80년대를 가열차게 살아온 86(80년대 학번에 60년...

  • '오지랖이 넓다’ 해도 좋다 file

      [이민생활 이야기] 시사건건 간여했다 피해입은 경험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송석춘 = 미국 격언에 '늙어서 마음 편히 살 수 있으면 그 인생은 성공한 인생이다' 하였다. 이민 1세대가 미국땅에서 크게 성공할 확률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늙어 마음 편히 살 수 ...

    '오지랖이 넓다’ 해도 좋다
  • 은퇴 준비 가볍게 보면 곤란합니다

      연금 가입 늦출수록 나중에 후회, 절세 효과도 상당     (로스앤젤레스=코리아위클리) 홍병식 (내셔널 유니버시티 교수) = 신빙성이 높은 한 조사에 의하면 미국민의 다수가 은퇴준비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X세대라고 불리는 21세-34세까지의 성인과 Y세대...

    은퇴 준비 가볍게 보면 곤란합니다
  • 하나님보다 먼저 모실 부모님 file

    글 김경락 목사     Chosun.com이 소개한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국민 절반 이 "어버이날 부모님 모시고 식사하겠다" 고 한 답변을 소개했다.   장성한 두 아들이 결혼하여 사랑하는 딸이 둘이나 생겼다. 올해도 그들은 부모님을 위한 음식을 준비한다. 끈딸은 어머니 좋아...

    하나님보다 먼저 모실 부모님
  • 별이 된 세월호 아이들, 파리로 향한 이유?

    “도대체 왜 여기에 왔느냐, 여기까지 와서 무얼 하려는 것이냐?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심정은 알겠는데, 우리도 너무 바쁘다. 난민 문제도 산적해 있고 경제 상황도 좋지 않다. 해야할 일, 신경 써야 할 일들이 산더미 같은데, 멀리 변방에서 일어난 사건까지 신...

    별이 된 세월호 아이들, 파리로 향한 이유?
  • 어버이라는 이름의 부끄러움

    ‘태산처럼 높고 높은 어버이 은혜, 살아계실 때 섬기기를 다하여라’ 정철(1536-1593)의 훈민가(訓民歌)는 부모님의 숭고함을 잊지 말고 공경하라는 가르침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버이’라는 표현 앞에 고개를 숙이지 않을 자 과연 얼마나 될까...

    어버이라는 이름의 부끄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