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서지원 기자>

 

▲ 홍콩 정부는 18세 이상 영주권자에 1만홍콩달러(약 157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수혜 대상자는 약 700만명이며, 총 소요 예산 규모는 710억 홍콩달러(약 11조1000억원)다. 홍콩TV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한국 정부가 재난시 일정 금액을 지원 받을 수 있는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정책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 사이 호주, 홍콩 등 주요 국가들은 발빠른 대책 수립을 하고 있어 국민 기본권에 대한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 경제 타격이 가시화하면서 각국마다 소비 진작 효과를 노린 다양한 형태의 현금 지급 방안이 연이어 도입되고 있다. 이른바 '재난기본소득'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다.

 

홍콩은 이미 모든 영주권자에 현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고 마카오는 영주권자에 현금처럼 쓸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대만도 전 국민에게 바우처를 주는 방안을 고민하되 사용 업종을 한정할 계획이다.

 

▲ 호주는 당초 모든 시민에 대한 현금 지급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대상자를 한정한 현금 지급 방안만 내놨다. 호주 정부는 12일 사회수당 수혜자에게 750 호주달러(약 58만원)를 지급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수혜 대상은 연금생활자 등 약 650만명이며, 이달 말부터 지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 호주브레이크뉴스

 

호주는 일부 대상자에 한정해 현금을 주기로 했다. 방식과 대상은 제각기 다르지만 코로나19의 경제 영향을 줄이고 소비를 진작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은 유사하다.

 

규모나 시기 면에서 가장 선봉에 선 국가는 홍콩이다. 홍콩 정부는 18세 이상 영주권자에 1만홍콩달러(약 157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수혜 대상자는 약 700만명이며, 총 소요 예산 규모는 710억 홍콩달러(약 11조1000억원)다. 홍콩 정부는 지난달 26일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지역 소비를 촉진하고 또 한편으로는 금전적인 어려움을 덜기 위해 (현금 지급) 정책을 내놨다"고 밝혔다.

 

현금이 아닌 현금성 바우처로 지급하는 곳도 있다. 마카오는 지난달 13일 코로나19로 시민과 기업이 당면한 경제적 압력을 덜겠다며 전자 바우처 지급 방안을 제시했다.

 

마카오 당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완화되는 시점에 3000파타카(약 46만원) 상당의 전자 바우처를 모든 주민에게 배부할 계획이다. 바우처는 3개월간 유효하며 특정 식당과 소매점, 쇼핑센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대만은 용처를 정한 바우처 지급을 고려하고 있다. 모든 대만 국민에 200 대만달러(약 8100원) 상당의 바우처 4종을 제공하고 이를 각각 전국 식당, 쇼핑지구, 문화·예술 활동, 야시장 등에서 쓸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바우처 사업의 총 규모는 23억 대만달러(약 930억원)가 될 전망이다.

 

호주는 당초 모든 시민에 대한 현금 지급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대상자를 한정한 현금 지급 방안만 내놨다. 호주 정부는 12일 사회수당 수혜자에게 750 호주달러(약 58만원)를 지급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수혜 대상은 연금생활자 등 약 650만명이며, 이달 말부터 지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 2009년 '정액급부금'이라며 국민 1인당 1만2000엔(약 14만원)을 지급하는 정책을 내놨다. 18세 이하와 65세 이상에 대해서는 8000엔을 추가로 지급했다. 사진은 2009년 당시 지급한 바우처 형식의 '재난급부금' 실물. TOKYO MX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재난기본소득은 이번에 처음 나온 개념이 아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필요성이 대두됐고 일부 국가에서는 실제로 도입되기도 했다.

 

일본이 대표적인 사례다. 2009년 '정액급부금'이라며 국민 1인당 1만2000엔(약 14만원)을 지급하는 정책을 내놨다. 18세 이하와 65세 이상에 대해서는 8000엔을 추가로 지급했다. 마카오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부 배분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모든 영주권자에 현금 5000 파타카, 비영주권자에는 3000 파타카를 나눠줬다.

 

이는 이후에도 매년 이어져 왔고 올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지급 일정을 당길 예정이다. 통상 7월에 현금 배분이 이뤄지지만, 이번에는 4월에 영주권자에게는 1만 파타카, 비영주권자에는 6000파타카를 지급할 예정이다. 여기에 이번에 3000 파타카 상당의 전자 바우처를 모든 주민에게 배부한다는 계획까지 내놓은 것이다.

 

국내와 해외를 막론하고 재난기본소득 논의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것은 재원 문제다. 영주권자 전원에 현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은 홍콩 2020/2021 예산안의 적자 규모는 1391억 홍콩달러(약 21조8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적자 규모가 378억 홍콩달러(약 5조9000억원)였던 것을 고려하면 적자 폭이 많이 늘어난 셈이다. 마카오대 교수진이 추산한 바에 따르면 마카오는 올해 480억 파타카의 적자가 예상된다. 실효성도 문제다. 일본은 2009년 정액급부금 제도를 시행했지만, 당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에 그쳤다.

 

이렇듯 실효성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각 나라가 무거운 국가 부채를 떠 안으며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정책을 적극 실행하는 이유는 소비진작으로 인한 국가 경제 살리기라는 명분이 국민의 국가 신뢰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43 호주 NSW 주택부, “마이하우징 온라인 서비스 너무 너무 편리해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2842 호주 한국 돕기 성금 모금 캠페인에 민주평통도 적극 호응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9.
2841 호주 NSW’s COVID-19 record surges! A solid community of Koreans in Australia is needed to overcome this crisis… 호주브레이크.. 20.03.18.
2840 호주 ˝全세계 항공사 파산 우려가 현실화˝…5월이 마지노선 될 듯 호주브레이크.. 20.03.17.
2839 호주 호주, ‘관광 비자’로 입국한 우리 국민 ‘발 동동!’… “반드시 서면으로 사유서 제출 해야!” 호주브레이크.. 20.03.17.
» 호주 정부, ‘재난기본소득’ 도입 손 놓았나?…호주•대만•홍콩은 발빠른 대책 수립 호주브레이크.. 20.03.15.
2837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2836 호주 <세계 여성의 날> 에 울려 퍼진 ‘일본군 성노예제’ 항의 함성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2835 호주 시드니 가을, 기온은 예년보다 다소 높고 비는 평균 강우량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2834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육박! NSW주는 하루새 7명 늘어… 호주브레이크.. 20.03.09.
2833 호주 에핑 보이즈 하이스쿨, 코로나-19 예방 휴교 조치 호주한국신문 20.03.06.
2832 호주 호주, 코로나19 ‘화장지 공장’ 근로자 확진 판정…”해당 제품 구매자 폐기환불 해라” 호주브레이크.. 20.03.06.
2831 호주 외교부, “호주 입국금지 조치 사전 협의 없었다”…호주 대사초치 입국금지 항의 호주브레이크.. 20.03.05.
2830 호주 코로나19사태 축구계 강타, ACL(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 불투명 톱뉴스 20.03.05.
2829 호주 NSW 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본격 단속 중 톱뉴스 20.03.05.
2828 호주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호주 방문...강연회 및 간담회 개최 톱뉴스 20.03.05.
2827 호주 ‘대구-경북 돕기’ 모금 벌이는 시드니 한인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826 호주 약사의 독감 예방접종 허용 나이 16세에서 10세로 낮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825 호주 NSW 정부... “온라인 DA 신청 제도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824 호주 호주, 결국 “한국 여행 금지” 국가에 추가! 교민들 “당황스럽다” 반응 호주브레이크.. 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