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팬데믹 2년 1).jpeg

높은 백신 접종률로 COVID-19 감염자 증가를 막으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도 감기나 독감처럼 풍토병(endemic)이 되고 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 새 변이 바이러스 등 여전히 경계해야 할 것들이 있다. 사진 : Australian Federal Government

 

백신 출시 불투명-마스크 불신, 새 변이 출현-면역력 약화-Long COVID 대비 필요

 

2년 전인 2020년 3월 11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을 세계적 대유행병(pandemic)으로 선언했다.

이는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중국 중부 도시 우한(Wuhan)에서 미스터리한 바이러스가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있다는 보고가 나온 지 두 달 만이다. 이 바이러스의 초기 보고서에는 ‘인간에게 쉽게 전파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후에 ‘SARS-CoV-2’로 명명된 이 바이러스(COVID-19)는 그러나 아주 쉽게 사람을 감염시킨다는 게 확인됐다. 또한 빠르게 전파되어 전 세계로 확대됐으며 지금까지 약 4억5,000만 명 이상을 감염시켰으며, 현재까지 6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면서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가 됐다.

이 바이러스가 출현한 초기, 우리는 이에 대해 확인한 것이 거의 없었지만 팬데믹 사태가 지속되면서 많은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사항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이 바이러스와 관련해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무엇이며, 또 현재 비교적 안정적 수준에서 ‘엔데믹’(endemic. 풍토병)으로 전환되는 지금, 우리는 어떤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전염병 학자인 아드리안 에스터만(Adrian Esterman) 교수는 최근, 온라인 기반의 호주 비영리 학술전문지 ‘The Conversation’에 기고한 칼럼에서 이를 각 세 가지로 요약했다.

 

▲ 첫째, 백신이 나올 수 있을까 우려= 2020년 초, 우리는 ‘SARS-CoV-2’에 대한 백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나치게 걱정했다. 사실 금세기 들어 나타난 두 가지의 유사한 코로나 바이러스인 중증급성호흡기중후군(SARS)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에 대한 백신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백신들 중 일부는 임상시험을 시행했지만 승인되지는 않았다.

COVID 이전, 가장 빠르게 개발된 백신은 유행성 이하선염(mumps. ‘볼거리’라고도 함)에 대한 백신으로, 4년이 소요됐다.

반면 COVID-19 백신은 팬데믹 선포 12개월도 되지 않아 화이자/바이오앤텍(Pfizer/BioNTech)에서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다. 그리고 지금은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완전 사용이 승인된 12개의 백신, ‘긴급 사용’(emergency use)으로 승인된 19개 및 아직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100개 이상의 백신을 보유하고 있다.

 

종합(팬데믹 2년 2).jpg

세계보건기구(WHO)가 ‘SARS-CoV-2’를 세계적 대유행병으로 선포(2020년 3월 11일)한 지 2년이 지났다. 그 사이 전 세계적으로 약 4억5,000만 명 이상이 감염됐고 현재까지 60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왔다. 사진은 COVID-19를 세계적 전염병으로 규정하는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 사진 : WHO가 게시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화이자와 모더나(Moderna) 사는 COVID-19 백신에 이어 ‘COVID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전용 백신’의 임상시험에 들어간 상태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모든 ‘SARS-CoV-2 변이’에 대항하는 백신을 개발하고자 하는 여러 연구그룹이 있다.

 

▲ 둘째, 일부 사람들은 안면 마스크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백신이 나오기 전, 팬데믹 초기에는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손 위생(hand hygiene),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 안면 마스크 착용 등 개별 예방조치에 의존해야 했다.

초기만 해도 손 씻기와 사회적 거리 두기가 바이러스 전염을 막는다는 사실은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마스크 착용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다.

그런 가운데 2020년 3월 말경,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대중의 안면 마스크 착용을 ‘권고’했다. CDC가 비교적 뒤늦게 이를 권유한 것은 두 가지 이유로 볼 수 있다. 하나는, 고위험 환경(의료-노인간병시설 등)에서 필수적인 수술용 마스크와 N95(CDC 공인) 마스크 공급이 충분하지 않다고 우려했으며, 다른 하나는 그때까지만 해도 무증상 및 (바이러스의) 잠복기(pre-symptomatic)에 있는 이들은 다른 이에게 전염시키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었다(물론 지금은 이 상태에서도 전염이 이루어진다는 게 연구 결과이다).

하지만 며칠 뒤인 4월 3일, CDC는 이를 변경하여 일반 대중에게 여러 겹의 천 마스크(multi-layered cloth face mask) 착용을 권고했다. 이후 마스크는 방역에 있어 중요한 기본 요소로 여러 차례에 걸쳐 관련 권고가 업데이트 되었으며, ‘오미크론’ 변이 출현 후에는 수술용 마스크나 호흡기 마스크(N95, P2, KF94 등)를 착용해야 한다고 권한다.

 

▲ 셋째, 물체의 표면을 통한 전파(surface transmission) 우려가 많았다= 팬데믹 초기, 공공장소 등의 오염된 물체 표면이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의 주요 통로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슈퍼마켓을 갈 때 사람들은 장갑을 착용했고(일부는 지금도 그렇게 한다), 집에 돌아오면 구매한 물품의 포장지를 씻기도 했다.

그러나 관련 연구 결과 이 바이러스가 주로 에어로졸이나 비말(droplet)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점액, 타액, 작은 물방울, 비말이 다른 이에게 옮겨지거나 표면에 떨어질 수 있다. 보다 큰 입자는 멀리 가지 않고 빠르게 표면에 떨어지기도 한다. 또 에어로졸이라는 아주 작은 물방울은 표면에 떨어지기 전 비교적 오랜 시간 공중에 떠다닐 수 있다.

전염병 전문가들은 이제 오염된 표면 접촉을 통한 전염은 매우 드물다고 보고 있다.

 

■ 주의해야 할 세 가지는

현재 호주를 비롯해 방역에 앞선(높은 백신접종률 등) 국가들에서는 ‘Living with COVID’로 전환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년간 여러 차례 변이를 만들어내면서 인류를 위협했던 코로나 바이러스는 점차 감기나 독감처럼 풍토병(endemic)이 되어가는 조짐이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 즈음에서 주의해야 할 세 가지를 경계하고 있다.

 

종합(팬데믹 2년 3).jpg

팬데믹 초기만 해도 이에 대한 백신이 빠르게 출시되기 어렵다는 불안이 컸지만 불과 13개월이 채 안 되어 백신이 나왔고 호주는 2021년 2월 21일부터 접종이 시작됐다. 사진은 백신접종 클리닉에서 접종 예약을 확인하는 사람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 새 변이 바이러스= 보다 심각성을 가진 새 변이가 출현, 우리를 위협한 가능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 변이 바이러스가 생겨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아직도 많은 개발도상국에서의 백신접종률이 낮기 때문이다. 백신을 맞지 않은 집단에서 바이러스가 더 많이 복제될수록 돌연변이 출현 가능성도 높아진다.

백신제조 회사인 화이자와 모더나는 자체 시설에서 백신을 제조하거나 다른 국가에서 이를 생산하려면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 개발도상국은 백신 확보를 ‘코백스 이니셔티브’(COVAX initiative)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코백스’는 저소득 국가 또는 개발도상국에 COVID 백신을 공급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 및 기부단체가 지금을 지원한 세계적 시설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미국 텍사스 어린이병원(Texas Children's Hospital)의 백신개발센터(Center for Vaccine Development) 연구원들이 단백질 기반의 COVID 백신 ‘Corbevax’를 공개했다. 이는 연구팀이 이미 설계한 제조기술을 사용해 제조한 것으로, 개발도상국에 특허 없이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인도 정부가 긴급사용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밀려 더 이상 지배적 바이러스가 아닌 ‘델타’ 변이를 위한 백신이지만 증상이 있는 질병에 대해 80%의 방어 효과를 갖고 있으며, 현재 오미크론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는 시험이 진행 중이다.

만약 이 백신이 승인되면 개발도상국의 백신접종 비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면역력 약화= 당국은 두 차례 백신접종을 마친 이들의 면역력 저하를 우려, 추가접종(booster shots)을 권고하고 있다. 게다가 고령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이들의 경우 네 번째 접종을 추진하는 상황이다.

 

▲ Long COVID= ‘롱 코비드’(long COVID)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오랜 기간 이 증상에 시달리는 경우를 말한다. 일각에서는 이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호주만 해도 하루 수천 건의 사례가 보고되며 내년에는 장기적 건강문제로 고통받는 이들이 쏟아져 나올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이런 점에서, 우선은 여전히 높은 감염률을 무시할 수 없으며 감염 사례를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공공보건 조치(가령 안면 마스크 착용 등)를 유지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반가운 소식은, 올해 호주의 ‘미래 의료연구기금’(Medical Research Future Fund)에서 ‘롱 코비드’ 연구를 위한 자금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종합(팬데믹 2년 4).jpg

‘SARS-CoV-2’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전에는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 물체의 표면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된다고 여기기도 했다. 사진은 라트로브대학교(La Trobe University) 트위터. COVID-19가 물체의 표면에서 비교적 오래 살아있지만 이를 통한 감염 확률은 크지 않다는 것을 알려준다.

   

■ 팬데믹 종말의 조짐

현재 호주 대부분의 주와 테러토리(State and Territory) 정부는 감염 접촉자 추적을 위한 QR코드 체크인, 사회적 거리두기 및 안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했다.

에스터만 교수는 각 주-테러토리 정부의 이 같은 결정 배경에 대해 △감염 사례는 높지만 병원 입원 환자는 감소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선거를 앞두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매일 아침마다 이루어지던 COVID-19 방역 관련 공개 브리핑도 이제는 거의 볼 수 없다는 게 그의 말이다.

그는 “COVID-19의 ‘불가피한 상황’이 고령층 또는 취약계층의 안타까운 사망을 의미한다 하더라도 ‘우리에게 자유를 돌려달라’(Give us our freedom back)는 외침은 이제 일반적으로 들리는 구호가 됐다”며 “이미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었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에스터만 교수는 “물론 모든 이들이 전염병 사태가 끝나고 우리의 삶이 정상으로 돌아가기를 바라지만 엄밀히 말하면, 아직 그런 상황은 아니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라면서 “이런 가운데 보다 나은 백신과 개선된 치료법이 진행 중임을 감안하면 COVID-19 팬데믹 사태가 끝나가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전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팬데믹 2년 1).jpeg (File Size:108.2KB/Download:8)
  2. 종합(팬데믹 2년 2).jpg (File Size:95.7KB/Download:12)
  3. 종합(팬데믹 2년 3).jpg (File Size:77.6KB/Download:11)
  4. 종합(팬데믹 2년 4).jpg (File Size:75.6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77 호주 낮시간 활용하는 일광 절약,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6 호주 임산부의 ‘태아 상실 초래’한 범죄, 보다 강력하게 처벌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5 호주 멜번 연구팀, 두 가지 새 유형의 COVID-19 백신 임상시험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4 호주 호주로 입국하는 해외여행자들의 ‘출국 전 COVID 검사’, 폐기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3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건강상 취약 그룹에 4차 COVID-19 백신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2 호주 노동당 알바니스 대표, “지방 지역 주택구입자 지원 방안 마련하겠다”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1 호주 ‘Infrastructure Australia’, “지방지역 급격한 인구 증가로 주택 부족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70 호주 시드니-멜번, 전 세계 도시 중 주택구입 가장 어려운 상위 5개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69 호주 주요 도시 경매 낙찰률, 전년도 비해 다소 낮아져... ‘부동산 추’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5768 호주 전기차 이용에 대한 높은 소비자 관심... 각 주-테러토리 정부 지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7 호주 “당신의 기후변화 정책이 내 이웃을 죽였다”... 리스모어 거주민들, 총리 질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6 호주 “소셜 카지노 게임, 실제 도박만큼 중독성 있다”... 전문가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5 호주 뉴질랜드 정부, 4월 12일부터 COVID 검역 없이 호주 여행자 입국 허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4 호주 37년 이어온 호주 최장수 드라마 ‘Neighbours’, 올해 종영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3 호주 SA 주 노동당 피터 말리나스카스 대표, 제47대 남부호주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2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로 봉쇄됐던 블루마운틴 일부 트랙, 개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1 호주 중고차량 ‘주행거리 조작’ 후 판매 적발 건수, 지난해 비해 4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60 호주 ‘Beef Australia’ 이벤트, 호주 최대 관광산업상 시상서 최고의 영예 얻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59 호주 팬데믹 사태 이후 해외 부동산 구매자들, 시드니 소재 주택에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5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06년에 지어진 파이브덕 소재 주택, 353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5757 호주 연방정부,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 우선 과제는 높아진 ‘생활비 압박 완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6 호주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직장문화, 업무 방식의 ‘초개인화’ 확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 호주 ‘COVID-19 팬데믹’ 선포 2년... 잘못 알았던 것-주의해야 할 세 가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4 호주 NSW 주 보건부,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2’ 감염 급증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3 호주 NSW 주에서 첫 ‘일본뇌염’ 사망자 발생... 보건당국, ‘주의-예방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2 호주 위글스 ‘라이크 어 버전’ 커버 시리즈 넘어선 아웃백 작곡가의 ‘아이 러브 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1 호주 ‘Snow Medical Research Foundation’, 자금지원 대상서 멜번대 제외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50 호주 피부암 일종인 '흑색종'에 의한 남성 사망 위험, 여성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49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으로 추가 ‘COVID-19 자금 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48 호주 시드니의 ‘모기지 보증금’으로 ‘내집 마련’이 가능한 호주 내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5747 호주 역사적 재난과의 비교를 통해 보는 COVID 팬데믹, 어떤 도움이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6 호주 QLD 제2의 도시 골드코스트, 여전히 ‘Regional’로 간주되어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5 호주 점토판 기록물에서 디지털 시대로... 인류 공공도서관의 놀라운 역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4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하버 브릿지 완공 90년 기념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3 호주 “신의 경지에 이른 예술의 최고봉... 많은 희망을 가져다주는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2 호주 광역시드니 4분의 1 이상 서버브 중간 주택가격, 200만 달러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1 호주 임대수익 위한 아파트 투자... 시드니 지역 상위 10개 추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40 호주 버클루즈 소재 호화 맨션, 6천200만 달러 판매... 호주에서 6번째 매매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5739 호주 ‘Service NSW’에서 제공하는 800달러 상당의 바우처,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8 호주 “마스크 착용이 마음 편하다” 일부 코비드 제한 유지 의견 다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7 호주 NSW 주 COVID 방역 규정 위반 벌금, 시드니 서부-지방 지역서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6 호주 국제여행자 입국 완화 불구 호주 여행업계 ‘불안감’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5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4 호주 지난해의 ‘sea changes’ 바람... 주택거래 금액 가장 높았던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3 호주 해외 부동산 화제- 런던의 초소형 아파트, 온라인 경매서 9만 파운드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5732 호주 ‘국가안보’를 무기로 한 집권당의 정치 공격 불구, 노동당 지지기반 ‘견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31 호주 해외 출생 이민자, 호주 태생에 비해 COVID-19에 의한 사망 위험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30 호주 영국인들의 호주 여행에 대한 관심,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9 호주 성별 임금격차 논란 지속되지만... 남성 급여, 여성보다 높을 가능성 ‘2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5728 호주 내년부터 호주 교육과정에 ‘동의 교육’ 추가, 연방-주 정부의 일치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