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틱톡에 마약중독으로 치아를 잃고 의치를 끼게 된 22세의 페이스 힐이 올린 사진
BC주 2020년 사망자 통계 발표
전년 대비 74%나 급증한 숫자
한인 사회도 암암리 병들어 가
코로나19로 혼란스러웠던 작년 한 해, 불법 마약에 의한 사망자 수도 급증을 했다.
BC주공공안전법무부는 BC검시소의 자료를 인용해 작년 한 해 동안 총 1716명이 불법마약중독에 의해 사망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이 수치는 2019년의 984명에 비해 74%나 급증한 것이다.
BC주정부가 2018년까지 마약중독 사망자 수가 급증하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사망자 수를 줄였지만, 작년에 모두의 관심이 코로나19로 쏠려 있는 동안에 하루에 평균 4.7명씩 죽어나가며 BC주 마약사망 역사상 최악의 해로 기록됐다.
작년 BC주의 불법마약에 의한 사망자 수는 교통사고, 살인사건, 자살사건 그리고 처방약 관련 사망자 수를 모두 합친 수보다 많았다.
리자 르포인트 검시소장은 "몇 십 년간 마약을 불법화 해왔지만, 불법마약시장의 증가 그리고 적정한 치료회복 접근 부족 등으로 결국 수 천 명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자료에 따르면, 작년 12월에만 152명이 불법약물로 인해 사망을 한 것으로 의심된다. 이는 2019년의 66명에 비해 두 배가 훨씬 넘긴 수이다.
작년 사망자의 69%가 30세에서 59세이며, 남성이 절대 다수인 81%를 차지했다. 사망자 다수 발생 도시로는 예년과 같이 밴쿠버, 써리, 그리고 빅토리아가 꼽혔다.
사망자의 80% 이상에서 펜타닐 또는 유사마약이 검출됐다. 코케인과 메타포민은 그 다음으로 많이 검출된 물질이 됐다.
한인사회에서는 마약에 대한 언급이 금기시 되고 있어, 특별히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헤이스팅 등 위험지역에서 무료 급식 등 자원봉사를 한 한인들은 한인 중독자가 전혀 없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또 과거 부모 없이 밴쿠버에 와 있는 조기유학생이나 어학연수생들이 학교에서 마리화나 등 마약에 접하는 일이 있어 문제가 된 적도 있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 1200-758783364_DmwOjiBQ_09a5de79681d555af61680b409aa9d1d8f3c73bf.jpg (File Size:150.3KB/Download: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