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위기 1).jpg

광역시드니의 두 번째 봉쇄는 지난 6월 동부 지역에서 확인된 감염자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만 해도 쉽게 억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됐으나, 바이러스는 빠르게 시드니 전 지역으로 확대됐고, 애초 계획과 달리 봉쇄 조치가 연장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7월 24일(토)에는 록다운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까지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월 24일(토) 시드니 도심 지역에서 록다운 조치에 항의하는 사람들. 사진 : NSW Police Force

 

 

찬사 받던 모범적 코로나 바이러스 대책, 최근 5주 사이 ‘위기 상황’으로 번져

 

지난해 COVID-19 바이러스 대유행이 선포되고 해외에서의 입국자들로부터 감염자가 번지기 시작하면서 호주는 국경을 폐쇄하고 전 지역에 록다운을 시행하는 등 강력한 조치로 바이러스 전파를 성공적으로 차단해 왔다. 이는 초기 급격한 발병 사례가 나왔으나 빠른 검사와 접촉자 추적 등으로 감염자를 억제하는 데 성공한 한국 등과 함께 전 세계로부터 방역 모범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6월 시작된 감염 발생을 차단하지 못한 가운데 광역시드니 지역에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으며, 봉쇄 조치도 연장되고 있다.

 

바이러스 사태가 시작된 후 1년 넘게 COVID-19 방역의 ‘최상의 표준’(Gold Standard)이 불과 몇 주 사이 ‘국가 비상사태’(National Emergency)와도 같은 상황에 이른 것이다.

 

“너무 이른 시간, 너무 방심했다”

 

지난 6월 22일(화)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재무장관이 새 회계연도 주 예산계획을 발표하기 위해 의회에 나왔을 때만 해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으로 이미 네 차례에 걸쳐 봉쇄 조치를 취했던 빅토리아(Victoria) 주와는 분위기가 크게 달랐다. COVID-19에 대한 억제되지 않은 낙관론이 지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새 회계연도를 기해 전염병 사태로 위축됐던 주 경제를 되살리고 이전의 활기를 되찾기 위한 정부 투자 및 지원 계획을 발표하던 당시, 모든 혼란이 끝난 것처럼 여겨졌고 페로테트 장관이 선언한 것처럼 NSW 주는 모든 비즈니스가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는 '오픈 포 비즈니즈(open for business)’ 상태였다.

 

이날 시드니사이더(Sydneysider. 시드니 시민을 일컫는 말)들은 페로테트 장관으로부터 주 정부가 부담하는 먹거리 및 문화예술 관람 쿠폰(Dine and Discover 바우처. 소비 진작 차원)의 사용 연장을 약속받기도 했다. 장관은 “우리 목표는 언제나 우리 주(NSW State)를 봉쇄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러스를 봉쇄하는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그러나 바로 그 시간, 페로테트 장관은 자신이 이런 발표를 하는 그 자리(NSW 주 의회)에 지난 1년 넘게 엄청난 혼란과 피해를 야기했던 코로나 바이러스가 여전히 돌고 있음을 알지 못했다. 그 하루 전, NSW 주 농업부 아담 마샬(Adam Marshall) 장관이 패딩턴(Paddington)에 있는 이태리 레스토랑 '크리스토스 피제리아(Christo's Pizzeris)'에 갔다가 COVID-19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물론 마샬 장관 또한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 그는 주 정부의 새해 예산안이 발표된 이틀 후 검사를 통해 양성으로 확인된 것이다. 결국 이틀 전의 분위기와 달리 주 의사당은 즉시 폐쇄됐고 정치인, 직원은 물론 예산안 발표를 취재했던 언론인 모두가 격리되어야 했다.

 

종합(COVID 위기 2).jpg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이후 초기의 감염자 발생을 성공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방역 부분에서 ‘gold standard’(최적의 표준)라는 평가를 받았던 NSW 주는 한 차례의 방심으로 ‘a national emergency’라 할 만큼 위기에 직면해 있다. 사진은 록다운 상황에서 사람들의 발길이 거의 끊긴 스트라스필드 광장(Strathfield Square).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여기까지도 괜찮았다. COVID-19가 NSW 주 권력의 중심부를 침범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NSW 주에서의 감염 사례는 극히 적었고,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다. 이런 뉴스를 접한 NSW 주 거주민들도 ‘골드 스탠다드’에 익숙해 있었던 터여서 주 의회에서의 감염자 발생이 이전처럼 신속하게 차단될 것이라고 믿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5주 사이에 모든 것이 바뀌었다!

 

주 정부가 자신감을 갖고 예산 계획을 발표한 지 한 달 후, 분위기는 180도 바뀌었다. ‘다인 앤드 디스카버 바우처(Dine and Discover Voucher)'는 그대로 남아 있고, NSW 주 거주민의 절반은 엄격한 봉쇄 조치에 따라 집안에 머물러야 한다. 비필수 부문의 모든 비즈니스들도 문을 닫은 상태이다.

 

광역시드니에서의 1일 감염자는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100명 선을 넘고 있다. 지난 7월 23일(금) 130명 넘는 기록적 수치가 나온 후 NSW 주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는 현 시드니 상황을 ‘국가 비상사태’로 비유했다.

 

그런 다음 날인 24일(토), 이 수치는 163명으로 늘어났다(7월 27일에는 172명, 감염 지역은 60로 확대됐다). 이와 동시에 주 정부의 봉쇄 조치를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시드니 도심 주변에서 벌어지는 사태까지 나왔다.

 

이날(토) 점심 무렵, 주택가에서는 난투극이 벌어지고 경찰과 충돌하는가 하면 마스크를 쓰지 않은 수백 명의 사람들이 지난 몇 주 동안 록다운으로 비어 있던 거리를 점령하는 추한 모습을 보였다.

 

시드니의 심각한 COVID-19 상황은 해외 주요 언론보도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바이러스 대유행의 성공적 방역사례로 호주를 언급하던 CNN의 헤드라인은 ‘록다운, 봉쇄된 주 경계, 낮은 백신접종률의 시드니’로 바뀌었고, 영국 BBC는 ‘델타는 어떻게 호주 방역의 약점을 파고들었는가’(How Delta exposed Australia's pandemic weaknesses in June)라는 분석을, 워싱턴포스트는 ‘(바이러스를 전파시킨) 장본인 찾기; 호주 감염자 폭증’(A search for villains': As Australia's outbreak grows) 등의 기사를 내보냈다.

 

멜번(Melbourne, Victoria)과 애들레이드(Adelaide, South Australia) 또한 봉쇄 조치를 취했지만 감염자 발생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들 도시민들은 이 록다운이 조만간 해제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시드니 거주민들의 긴장감, 좌절감, 공포감은 극에 달해 있다.

 

시드니 감염 사태, 어디서 시작됐나?

 

백신접종을 받지 않은 리무진 운전기사와 국제성 항공사 승무원이 첫 번째 실수였다. 시드니 동부 해안지역에 거주하며 승무원 운송 서비스를 하던 이 운전자는 6월 16일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고, 몇 시간 후 그의 아내도 감염이 확인됐다.

 

이전에 이들은 본다이정션(Bondi Junction)에 있는 웨스트필드 쇼핑센터(‘Westfield Bondi Junction’을 방문했고, 여기서 시작된 여러 감염이 동부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됐다. 이 단계에서 ‘본다이 집단 감염’(Bondi cluster)으로 불렸던 발병은 그래도 억제되는 듯 보였다. 그 때문에 NSW 보건당국은 이동 등의 제한 도입을 보류했다.

 

하지만 여기서 시작된 바이러스는 이미 시드니 서부로 이동한 상태였다. 6월 23일(수) 웨스트 혹스턴(West Hoxton)의 한 생일파티는 서부 지역 감염 사태의 시작점이었다. 이 현장에서만 최소 45건의 양성 사례가 나온 것이다.

 

종합(COVID 위기 3).jpg

광역시드니의 감염자 발생이 감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Anti-lockdown’을 외치는 항의자들의 돌발 행동까지 발생,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다. 사진은 록다운 반대 시위자들의 도심 시위.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시드니 동부에서의 첫 양성 판정이 나온 지 9일 후(6월 25일), 주 정부는 첫 번째 봉쇄 조치를 발표했다. 시드니 도심(City of Sydney)을 비롯해 동부의 울라라(Woollahra)-웨이벌리(Waverley)-랜드윅(Randwick) 등 4개 지방정부 지역이 그 대상으로, 7일간 집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명령이었다.

 

24시간이 조금 지난 후, 이 조치는 광역시드니(Greater Sydney), 남쪽의 울릉공(Wollongong)과 쉘하버(Shellharbour), 북쪽의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 서쪽의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으로 록다운 대상 지역이 확대(6월 26일 오후 6시부터)됐다.

 

지난해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NSW 주 정부는 방역 대책에서 ‘골드 스탠다드’라는 찬사를 받아왔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지난 6월 말 시드니에서 번지기 시작한 것은 기존 COVID-19인 우한(Wuhan) 균주에 비해 전염성이 2배 이상 강한 것으로 추정되는 ‘델타’ 변이의 첫 번째 대규모 발병이었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 전염병 학자인 캐서린 베넷(Catherine Bennett) 교수는 “우리는 근본적 차이를 만드는 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를 우리 문 앞에서 발견했다”라고 말했다.

 

델타 변이는 사람들 사이에서의 감염력이 더 높을 뿐 아니라 감염되는 시간도 상당히 짧다. 베넷 교수는 시드니 사태의 시작과 관련해 “우리는 이틀의 시간을 잃었다고 본다”라면서 “접촉자 추적이 제대로 작동되어 다른 이들을 감염시키기 전에 양성자를 격리하는 이전의 방법에 의존할 수가 없었다”라고 지적했다. 이틀간의 시간을 허비함으로써 바이러스 추적이 의미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호주의학협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회장인 오마르 코르시드(Omar Khorshid) 박사는 “우리가 겪었던 모든 발병과 잘 맞았던 호주의 봉쇄 전략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를 다룰 만큼 강력하지도 신속하지도 못했다”라고 말했다.

 

주 경계를 뛰어넘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시드니 지역사회에 유포되는 경우, 이것이 다른 주로 확산되는 데 오래 걸리지 않는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시드니 감염 상황에서 바이러스의 타 지역 누출은 시드니 남서부 지역의 이사 용역업자 2명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시드니 전 지역에 봉쇄 조치가 이어지던 지난 7월 8일(목) 멜번의 한 가정에 가구를 배달하고자 주 경계(State Border)를 넘어갔다. 이들은 빅토리아 주에서 많은 이들과 접촉, 멜번의 다섯 번째 록다운 조치의 씨앗을 남기고는 남부호주(SA)로 이동했다.

 

이들이 멜번으로 간 일주일 후인 지난 7월 18일(일), 빅토리아 주 다니엘 앤드류스(Daniel Andrews) 주 총리는 멜번에 다섯 번째 봉쇄 조치를 발표했다. 그는 “이것(록다운)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모든 빅토리아 거주민들에게 사과한다”라며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그 어떤 것도 공평하지 않다”라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빅토리아 주 총리의 NSW 주에 대한 강한 비난 발언이 나왔다. 주(State) 사이에 그야말로 말싸움이 시작되었다. 시드니 지역민들이 록다운 5주째 주말을 맞이하고, 이 조치의 끝을 장담하지 못하는 가운데 앤드류스 VIC 주 총리가 시드니의 보다 강력한 봉쇄 규정을 촉구한 것이다.

 

노동당 소속인 앤드류스 주 총리는 “이 바이러스가 호주의 다른 지역으로 더 번져가지 않도록 시드니 주변에 강철고리가 필요하다”라면서 “이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호주 전역을 봉쇄하게 될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사실 NSW 주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가 광역시드니 등에 대한 봉쇄를 발표할 당시, 록다운 규정을 보다 강하게 적용하지 않았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었다. 록다운 상황이지만 그 대상을 모호하게 했다는 비난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연방 총리가 나섰다.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지난 7월 23일(금), 앤드류스 VIC주 총리의 성명을 반박하며 “광역시드니 거주민들은 자신들이 느슨한 제한 조치를 받고 있다고 느끼지 않을 것”이라며 NSW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모두 자유당 소속이다) 편을 들어준 것이다.

 

종합(COVID 위기 4).jpg

길어지는 시드니 지역의 봉쇄 조치와 지속적인 감염자 발생은 다른 주에서도 우려와 함께 보다 강력한 봉쇄 규정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은 NSW 록다운 상황을 설명하는 브래드 하자드 NSW 보건부 장관.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백신 또한 뜨거운 논쟁이 되고 있다. 다른 주에서 화이자 백신의 일부 지원에 대한 NSW 주의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

 

NSW 주에서는 시드니 감염 사태로 화이자 백신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NSW 주 브래드 하자드(Brad Hazzard) 보건부 장관은 지난 24일(토) “크게 실망했다”며 “산불을 진압하는 것, 홍수 문제를 해결하는 것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를 물리치는 것의 차이를 모르겠다”는 말로 백신 양보를 거부한 다른 주의 태도를 간접적으로 비난했다.

 

하자드 장관은 이어 “NSW 주의 상황이 악화되면 호주 전역에 상당한 문제로 이어진다”며 “NSW 주는 다른 주로 가는 길목”이라고 은근한 엄포를 가했다.

 

이에 대해 남부호주(SA) 스티븐 마샬(Steven Marshall. 남부호주 주 또한 빅토리아 주와 마찬가지로 노동당이 집권 여당이다) 주 총리는 “현 상황이 ‘정치적 점수 매기기’(political point-scoring)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하자드 장관의 말을 일축하면서 “현재 남부호주도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봉쇄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백신을 다른 주에 나누어 줄 수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데이터는 상당히 명백하다

 

모리슨 총리는 지난 7월 23일(금) 내각 회의 후 가진 연설에서 광역시드니의 감염자 발생 상황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했다.

 

총리는 “NSW 주의 데이터에 주목하고 싶은 것은, 다른 국가들에서 보는 것처럼 기하급수적 감염자 발생을 막았다는 것”이라며 “이는 델타 변이를 장악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광역시드니 내 일부 지역(suburb)에서의 감염사례는 계속 증가했다. 라 트로보대학교(La Trobe University) 통계분석 전문가인 다스윈 드 실바(Daswin De Silva) 부교수는 “시드니 지역 감염자 발생 수치를 라인 그래프(line graph)로 표시하면 7일 동안은 다소 기하급수적”이라며 “약간의 하락이 있지만 여전히 감염자 수는 상승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 일어나는 일을 전에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기시감(deja vu)을 갖고 있는 이들이라면, 비록 아직은 제한적이지만 백신 가용성으로 인해 이번 시드니 감염자 발생이 지난해와 크게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사실 다른 지역에서의 록다운이 시행되면서 백신접종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두 차례의 접종 기간을 3주에서 6주로 늘림으로써 NSW 주에서는 더 많은 이들이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받을 수 있다. 물론 현 상황에서 두 번째 접종 시기는 장담하기 어렵지만.

 

베넷 교수는 “백신접종은 분명 (감염자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모든 사람들이 록다운과 같은 조치가 (감염자 발생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한 조치임을 이해하고 이의 규정을 잘 지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위기 1).jpg (File Size:80.9KB/Download:10)
  2. 종합(COVID 위기 2).jpg (File Size:130.7KB/Download:10)
  3. 종합(COVID 위기 3).jpg (File Size:94.3KB/Download:6)
  4. 종합(COVID 위기 4).jpg (File Size:51.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77 호주 코로나19 백신 관련, 호주인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6 호주 ‘No jab no joy & no job’... 각 국가별 백신접종 관련 정책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5 호주 QLD 및 NSW 주의 주요 아웃백 이벤트, 연기 또는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4 호주 “봉쇄 조치 해제는 낮은 수치의 감염자 발생에 달려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3 호주 코로나19 록다운, 광역시드니 지역별 경제적 격차 더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2 호주 “장기적으로, COVID-19 ‘백신여권’ 불기피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1 호주 “모든 타스마니아 방문자에게 백신접종 요구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70 호주 전염병 사태 이후의 ‘sea-tree change’, 수치가 말해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69 호주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 상황 불구, 부동산 가격 상승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68 호주 예비 주택구매자들, 가격 치솟은 단독주택 대신 아파트로 눈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67 호주 호바트(TAS) 주택가격, 지난 12개월 사이 28.4% 급등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6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뉴포트의 ‘entry-level’ 주택, 215만5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8.26.
5465 호주 연방 의회위원회, “숙련기술자 영주권 취득 절차 완화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64 호주 델타 변이, 젊은층에 심각한 심장 합병증 유발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63 호주 호주 소비자 심리 최저 수준으로 하락... “백신이 희망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62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61 호주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 COVID-19로 인한 위험 더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60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59 호주 호주통계청,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독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58 호주 선샤인코스트 주택가격 상승, 퀸즐랜드 주요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57 호주 NSW 노스 코스트 지역 중간 임대료, 각 주 도시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56 호주 크라운 그룹, ‘HIA Australian Apartment Complex’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5455 호주 모리슨 총리, “모든 직장의 ‘no-jab no-job’ 허용하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54 호주 전염병 사태 이후 50명 이상 호주 시민, 해외에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53 호주 호주 TGA, mRNA 유형의 모더나 백신 ‘조만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52 호주 바이러스 백신접종 비율 높은 국가들의 입국자 관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51 호주 광역시드니의 장기화되는 봉쇄 조치, 여성-젊은 근로자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50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감염 위험 낮추는 유일한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9 호주 RBA 총재, “경제적 피해 줄이려면 백신접종 서둘러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8 호주 ‘모더나’ 사, 6개월-12세 아동 백신시험으로 호주 포함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7 호주 주택가격, 가장 크게 치솟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6 호주 Waterfall by Crown Group, 도시설계 우수성 인정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5 호주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관련 한국어 안내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2.
5444 호주 호주 고위 공무원, ‘카운터파트’ 국가들에 비해 연봉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3 호주 각국 1만5천여 부자들, 전염병 기간 중 호주 영주비자 취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2 호주 정부, 백신접종률 70% 도달시 접종자 혜택 방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1 호주 ‘델타’ 바이러스 이어 ‘람다’ 변이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40 호주 “일관성 없는 호주 백신 정책, 인명손실 초래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9 호주 호주 와인 영국 수출, 10년 만에 최고 수준... 한국 시장도 11% ↑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8 호주 호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안내문 우편 발송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7 호주 광역시드니 ‘독립형 주택’ 중위가격 140만 달러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6 호주 바이러스 봉쇄 조치로 주요 도시 소매공실률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5 호주 크라운 그룹, 럭셔리 아파트의 ‘매매 전 객실 체험’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4 호주 부동산 개발회사 ‘지오콘’, 지난해 최대 성과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5433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이스트우드 주택 2019년 판매가의 두 배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8.05.
» 호주 NSW 주 ‘골드 스탠다드’ 방역, 어떻게 ‘국가 비상사태’가 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31 호주 연방정부, 재난지원-복지 수혜자에 주 150달러 추가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30 호주 광역시드니 록다운 연장에 따른 새 봉쇄 조치 규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9 호주 광역시드니-멜번 록다운, 호주의 마지막 봉쇄 조치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
5428 호주 12-15세 청소년에게 ‘화이자’ COVID 백신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9.